가환환
R
{\displaystyle R}
위의 2차 자유 가군
R
2
{\displaystyle R^{2}}
위의 두 이차 형식
Q
,
Q
′
:
R
2
→
R
{\displaystyle Q,Q'\colon R^{2}\to R}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서로 동치 라고 하자.
Q
∼
Q
′
⟺
∃
M
∈
GL
(
2
;
R
)
,
r
∈
R
×
=
GL
(
1
;
R
)
:
r
Q
(
M
(
−
)
)
=
Q
′
{\displaystyle Q\sim Q'\iff \exists M\in \operatorname {GL} (2;R),r\in R^{\times }=\operatorname {GL} (1;R)\colon rQ(M(-))=Q'}
이에 따라, 이차 형식은 사실 임의의 1차
R
{\displaystyle R}
-자유 가군
L
{\displaystyle L}
의 값을 갖는 함수
Q
:
V
→
L
{\displaystyle Q\colon V\to L}
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수들의 공간은
Q
∈
Sym
R
2
V
∗
⊗
R
L
=
L
⊗
R
V
∗
⊗
R
V
∗
(
u
⊗
R
v
−
v
⊗
R
u
)
u
,
v
∈
V
∗
{\displaystyle Q\in \operatorname {Sym} _{R}^{2}V^{*}\otimes _{R}L=L\otimes _{R}{\frac {V^{*}\otimes _{R}V^{*}}{(u\otimes _{R}v-v\otimes _{R}u)_{u,v\in V^{*}}}}}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의 계수 2의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국소 자유 가군층
V
{\displaystyle V}
및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역 가군층
L
{\displaystyle L}
이 주어졌을 때,
V
{\displaystyle V}
위의
L
{\displaystyle L}
값의 이차 형식
Q
∈
Γ
(
X
;
Sym
O
X
2
(
V
)
⊗
O
X
L
)
{\displaystyle Q\in \Gamma (X;\operatorname {Sym} _{{\mathcal {O}}_{X}}^{2}(V)\otimes _{{\mathcal {O}}_{X}}L)}
은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Sym
O
X
2
(
V
)
⊗
O
X
L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_{{\mathcal {O}}_{X}}^{2}(V)\otimes _{{\mathcal {O}}_{X}}L}
의 단면 이다.
만약
R
{\displaystyle R}
가 국소환 일 경우, 그 위의 2차 자유 가군
R
2
{\displaystyle R^{2}}
위의 이차 형식
Q
:
R
2
→
R
{\displaystyle Q\colon R^{2}\to R}
Q
(
x
,
y
)
=
a
x
2
+
b
x
y
+
c
y
2
{\displaystyle Q(x,y)=ax^{2}+bxy+cy^{2}}
의 판별식은
Disc
(
Q
)
=
b
2
−
4
a
c
{\displaystyle \operatorname {Disc} (Q)=b^{2}-4ac}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의, 2차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국소 자유 가군층
M
{\displaystyle {\mathcal {M}}}
위의,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역층
L
{\displaystyle {\mathcal {L}}}
값의 이차 형식
Q
∈
Γ
(
Sym
O
X
2
(
M
∗
)
⊗
O
X
L
)
{\displaystyle Q\in \Gamma (\operatorname {Sym} _{{\mathcal {O}}_{X}}^{2}(M^{*})\otimes _{{\mathcal {O}}_{X}}{\mathcal {L}})}
의 판별식
Disc
(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sc} (Q)}
는 국소적으로 위와 같이 주어지며, 대역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역층 의 대역적 단면 을 이룬다.
Disc
(
Q
)
∈
Γ
(
X
;
(
Sym
O
X
2
(
M
∗
)
⊗
O
X
L
)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sc} (Q)\in \Gamma \left(X;\left(\operatorname {Sym} _{{\mathcal {O}}_{X}}^{2}(M^{*})\otimes _{{\mathcal {O}}_{X}}{\mathcal {L}}\right)^{\otimes 2}\right)}
가환환
R
{\displaystyle R}
위의 이차 대수 (영어 : quadratic algebra )
R
→
A
{\displaystyle R\to A}
는 다음과 같은 가환
R
{\displaystyle R}
-결합 대수 이다.
임의의 소 아이디얼
p
∈
Spec
R
{\displaystyle {\mathfrak {p}}\in \operatorname {Spec} R}
에 대하여
A
⊗
R
R
p
{\displaystyle A\otimes _{R}R_{\mathfrak {p}}}
는 2차
R
p
{\displaystyle R_{\mathfrak {p}}}
-자유 가군 이다. (즉,
A
{\displaystyle A}
는 계수 2의
R
{\displaystyle R}
-평탄 가군 이다.)
R
{\displaystyle R}
위의 이차 대수
A
{\displaystyle A}
위의 가군
M
{\displaystyle M}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대각합 가능 가군 (영어 : traceable module )이라고 한다.
M
{\displaystyle M}
은
R
{\displaystyle R}
위의 계수 2의 평탄 가군 이다.
임의의 원소
a
∈
A
{\displaystyle a\in A}
에 대하여, 다음 두 함수가 일치한다.
tr
A
/
R
:
A
→
R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A/R}\colon A\to R}
tr
A
/
R
:
a
↦
tr
R
(
a
⋅
:
A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A/R}\colon a\mapsto \operatorname {tr} _{R}(a\cdot \colon A\to A)}
tr
M
/
R
:
A
→
R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R}\colon A\to R}
tr
M
/
R
:
a
↦
tr
R
(
a
⋅
:
M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R}\colon a\mapsto \operatorname {tr} _{R}(a\cdot \colon M\to M)}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의 이차 대수층 은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환 대수층 가운데 2차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국소 자유 가군층 을 이루는 것이다. 이차 대수층
A
{\displaystyle {\mathcal {A}}}
위의 대각합 가능 가군층
M
{\displaystyle {\mathcal {M}}}
은
A
{\displaystyle {\mathcal {A}}}
-가군층 가운데,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으로서 계수 2의 국소 자유 가군층 이다.
임의의 열린집합
U
⊆
X
{\displaystyle U\subseteq X}
의 단면
a
∈
Γ
(
U
;
A
)
{\displaystyle a\in \Gamma (U;{\mathcal {A}})}
에 대하여, 다음 두 함수가 일치한다.
tr
A
/
O
X
:
Γ
(
U
;
A
)
→
Γ
(
U
;
O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athcal {A}}/{\mathcal {O}}_{X}}\colon \Gamma (U;{\mathcal {A}})\to \Gamma (U;{\mathcal {O}}_{X})}
tr
A
/
O
X
:
a
↦
tr
Γ
(
U
;
O
X
)
(
a
⋅
:
A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athcal {A}}/{\mathcal {O}}_{X}}\colon a\mapsto \operatorname {tr} _{\Gamma (U;{\mathcal {O}}_{X})}(a\cdot \colon A\to A)}
tr
M
/
O
X
:
A
→
R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athcal {M}}/{\mathcal {O}}_{X}}\colon A\to R}
tr
M
/
O
X
:
a
↦
tr
Γ
(
U
;
O
X
)
(
a
⋅
:
M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athcal {M}}/{\mathcal {O}}_{X}}\colon a\mapsto \operatorname {tr} _{\Gamma (U;{\mathcal {O}}_{X})}(a\cdot \colon M\to M)}
두
A
{\displaystyle A}
-가군
M
,
M
′
{\displaystyle M,M'}
이 주어졌을 때, 텐서곱
M
⊗
A
M
′
{\displaystyle M\otimes _{A}M'}
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A
{\displaystyle A}
-가군 들의 동형류들은 가환 모노이드 를 이룬다.
A
{\displaystyle A}
-가역 가군 (즉, 1차원 자유 가군 )의 경우, 이는 아벨 군 을 이룬다.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의 이차 대수층
A
{\displaystyle {\mathcal {A}}}
위의 대각합 가능 가군층
M
{\displaystyle {\mathcal {M}}}
의 판별식 은 대각합 사상
tr
A
/
O
X
:
A
→
O
X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athcal {A}}/{\mathcal {O}}_{X}}\colon {\mathcal {A}}\to {\mathcal {O}}_{X}}
의 행렬식
Disc
(
A
,
M
)
=
det
(
tr
A
/
O
X
)
∈
Γ
(
X
;
(
⋀
2
A
)
⊗
(
−
2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sc} ({\mathcal {A}},{\mathcal {M}})=\det \left(\operatorname {tr} _{{\mathcal {A}}/{\mathcal {O}}_{X}}\right)\in \Gamma \left(X;\left(\bigwedge ^{2}{\mathcal {A}}\right)^{\otimes (-2)}\right)}
이다. 이는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역층
(
⋀
2
A
)
⊗
(
−
2
)
{\displaystyle \textstyle \left(\bigwedge ^{2}{\mathcal {A}}\right)^{\otimes (-2)}}
의 대역적 단면 이다.
임의의 가환환
R
{\displaystyle R}
및 그 위의 2차 자유 가군
V
=
R
2
{\displaystyle V=R^{2}}
에 대하여, 다음 두 집합 사이에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들
Q
:
V
→
L
{\displaystyle Q\colon V\to L}
의 동치류 들의 집합
R
{\displaystyle R}
위의 이차 대수
A
{\displaystyle A}
와 그 위의 대각합 가능 가군
M
{\displaystyle M}
들의 동치류들의 집합
구체적으로,
(
A
,
M
)
{\displaystyle (A,M)}
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R
{\displaystyle R}
-가군 준동형 을 생각하자.
(
A
/
R
)
⊗
R
⋀
2
(
M
;
R
)
→
Sym
2
(
M
;
R
)
{\displaystyle (A/R)\otimes _{R}\bigwedge ^{2}(M;R)\to \operatorname {Sym} ^{2}(M;R)}
(
a
+
R
)
⊗
R
(
m
∧
R
m
′
)
↦
(
a
m
)
⊗
R
m
′
−
m
⊗
R
(
a
m
′
)
{\displaystyle (a+R)\otimes _{R}(m\wedge _{R}m')\mapsto (am)\otimes _{R}m'-m\otimes _{R}(am')}
이는
R
{\displaystyle R}
-가군
(
(
A
/
R
)
⊗
R
⋀
2
(
M
;
R
)
→
Sym
2
(
M
;
R
)
)
∗
⊗
R
Sym
2
(
M
;
R
)
{\displaystyle \left((A/R)\otimes _{R}\bigwedge ^{2}(M;R)\to \operatorname {Sym} ^{2}(M;R)\right)^{*}\otimes _{R}\operatorname {Sym} ^{2}(M;R)}
의 원소를 정의하며, 이는
M
∗
{\displaystyle M^{*}}
위에 정의된,
L
=
(
(
A
/
R
)
⊗
R
⋀
2
(
M
;
R
)
→
Sym
2
(
M
;
R
)
)
∗
{\displaystyle L=\left((A/R)\otimes _{R}\bigwedge ^{2}(M;R)\to \operatorname {Sym} ^{2}(M;R)\right)^{*}}
값의 이차 형식을 이룬다.
또한, 이 대응성은 판별식을 보존한다.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가 원시 이차 형식(영어 : primitive quadratic form )인 것은
M
{\displaystyle M}
이
A
{\displaystyle A}
-가역층 을 이루는 것과 같으며, 따라서 주어진 판별식의 원시 이차 형식들은 텐서곱 에 따라 아벨 군 을 이룬다. 이를 가우스 합성 이라고 한다.
Z
{\displaystyle \mathbb {Z} }
위의 이차 형식의
GL
(
2
;
Z
)
×
GL
(
1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2;\mathbb {Z} )\times \operatorname {GL} (1;\mathbb {Z} )}
-동치류는 다음과 같은 구조와 대응한다.
2차
Z
{\displaystyle \mathbb {Z} }
-환
A
D
{\displaystyle A_{D}}
. 이는 그 판별식
D
∈
4
Z
+
{
0
,
1
}
{\displaystyle D\in 4\mathbb {Z} +\{0,1\}}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A
D
=
{
Z
[
t
]
/
(
t
2
)
D
=
0
Z
⋅
(
1
,
1
)
+
D
(
Z
2
)
D
∈
Z
∖
{
0
}
Z
[
D
+
D
2
]
D
∉
Z
{\displaystyle A_{D}={\begin{cases}\mathbb {Z} [t]/(t^{2})&D=0\\\mathbb {Z} \cdot (1,1)+{\sqrt {D}}(\mathbb {Z} ^{2})&{\sqrt {D}}\in \mathbb {Z} \setminus \{0\}\\\mathbb {Z} \left[{\frac {D+{\sqrt {D}}}{2}}\right]&{\sqrt {D}}\not \in \mathbb {Z} \end{cases}}}
A
{\displaystyle A}
-가군
M
{\displaystyle M}
가운데 아벨 군 으로서
Z
2
{\displaystyle \mathbb {Z} ^{2}}
이며,
tr
A
/
Z
:
A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A/\mathbb {Z} }\colon A\to \mathbb {Z} }
가
tr
M
/
Z
:
A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M/\mathbb {Z} }\colon A\to \mathbb {Z} }
가 같은 것 (둘째 조건은
M
{\displaystyle M}
이
A
{\displaystyle A}
-아이디얼 일 경우 자동적으로 충족된다).
특히,
D
≠
0
{\displaystyle D\neq 0}
일 때,
M
{\displaystyle M}
은 항상
A
D
{\displaystyle A_{D}}
의 아이디얼 과 동형이다. 그러나
D
=
0
{\displaystyle D=0}
일 경우 일반적으로
M
{\displaystyle M}
은 아이디얼 로 나타낼 수 없다. 예를 들어, 값이 0인 상수 이차 형식의 경우
A
0
=
Z
[
t
]
/
(
t
2
)
{\displaystyle A_{0}=\mathbb {Z} [t]/(t^{2})}
이며
M
=
Z
x
⊕
Z
y
{\displaystyle M=\mathbb {Z} x\oplus \mathbb {Z} y}
,
t
x
=
t
y
=
0
M
{\displaystyle tx=ty=0_{M}}
이다.
Z
{\displaystyle \mathbb {Z} }
위의 이차 형식의
GL
(
2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2;\mathbb {Z} )}
-동치류를 분류하려면,
(
A
,
M
)
{\displaystyle (A,M)}
및
M
{\displaystyle M}
의 방향
ϵ
∈
{
±
1
}
{\displaystyle \epsilon \in \{\pm 1\}}
을 사용하여야 한다.[ 1]
가환환
R
{\displaystyle R}
가 정역 일 때,
R
{\displaystyle R}
계수의 비퇴화 2항 이차 형식의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이차 대수
A
{\displaystyle A}
및
A
{\displaystyle A}
-가군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M
{\displaystyle M}
은 항상
A
{\displaystyle A}
의 아이디얼 과 동형이다. 따라서, 이 경우 가군 대신 아이디얼 들의 유군을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