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대한민국 경기도의 특례시
(경기도 용인시에서 넘어옴)

용인시(龍仁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특례시이다.[5] 동쪽으로 이천시, 서쪽으로 수원시·의왕시·화성시, 남쪽으로 평택시·안성시, 북쪽은 성남시·광주시와 접한다. 4 3 28행정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로, 3개의 행정구(처인구, 기흥구, 수지구)가 설치되어 있다. 시청 소재지는 처인구 삼가동이고, 명소로는 에버랜드한국민속촌이 있다.

용인시
Yongin City
특례시
용인 시청
용인 시청
시기
용인시의 위치
용인시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행정 구역3구 4읍 3면 31행정동 35법정동
청사 소재지(17019)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삼가동)
시장이상일(국민의힘)
국회의원: 이상식(더불어민주당[1])
: 손명수(더불어민주당[2])
: 부승찬(더불어민주당[3])
: 이언주(더불어민주당[4])
역사
옛 명칭용인군
지리
면적591.23 km2
인문
인구1,075,566명(2023년)
지역어표준어
상징
시목전나무
시화철쭉
시조
지역 부호
지역번호031
웹사이트www.yongin.go.kr

용인시는 산으로 둘러싸인 여러 개의 좁은 분지들로 이루어진 지형이어서 일핵(一核) 구조가 아니라 도심이 여러 곳에 분산된 다핵도시(多核都市)이며, 용인시는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에 걸쳐 영동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등이 관통한다.

역사

편집

지명 유래

편집

용인시에서 '용(龍)'자가 들어가게 된 유래에는 이런 설화가 내려온다. 용인시의 좌측으로는 투구봉이 있고 우측으로는 칼봉이 자리 잡고 있는데, 봉우리의 형상이 투구와 칼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투구봉과 칼봉 사이에는 넓은 터가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장군대지형의 땅'으로 믿고 있다. 장군이 무술을 연마하기에 꼭 알맞을 정도의 넓은 지형이다. 옛날에 남씨 문중에서 이곳에 묘를 썼는데, 그 후 얼마 안 있어 그 문중 가운데 한 집에서 아기장수를 낳았다. 아기는 낳은 지 사흘 만에 옆구리에 날개가 돋아났으며, 힘 또한 장사여서 상대할 사람이 없었다.

아기장수(우투리)가 태어날 무렵은 당파싸움이 치열하던 때로, 자신의 가문을 보존하기 위해 서로 간에 암투가 끊이지 않아, 혹 다른 집안 자제 가운데 장차 훌륭하게 될 소지가 있는 아이가 있으면 그 아이는 물론 그 집안 전체를 몰살하였다. 열세에 몰려 있던 남씨 문중에선 아기장수가 태어난 것이 오히려 화근이 될 것이라고 불안해했다. 남씨 문중에서는 전체 회의를 열어 숙고한 끝에 아기장수가 성장하기 전에 처단할 것을 결의하였다. 워낙 힘이 센지라 여럿이 커다란 바위로 눌러 죽였다. 아기를 양지 쪽에 묻어 주려고 땅을 파보았더니 거기에서 투구와 칼이 나왔다고 한다.

한편, 남씨 가문에서 아기장수가 태어날 때 장군대지형에서 마주 보이는 액교산에 있는 바위에서 용마(龍馬)가 나와 울었다고 한다. 이 용마는 아기장수가 죽자 태울 주인이 없음을 슬퍼하며 성산(城山, 석성산)을 향해 달려나갔다. 현재 고림리의 액교산에는 용마가 났다는 용마바위가 아직도 전하는데, 용마가 몸부림치며 울부짖던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다고 한다. 이곳 지역은 이런 설화가 많다. 「고장군 묘소 전설」, 「아기장수와 용마바위」, 「유방리의 남씨네 아기장수」등이 내용이 비슷하다. 이것이 훗날에 조선시대남이장군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이런 전설들이 전해져 삼국시대의 구성현(駒城縣)이 고려 초 용구현(龍駒縣)으로 바뀌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좌전고개 만세운동

편집
 
용인 3.1만세운동 기념탑(처인구 원삼면 좌항리 좌전고개 정상)

좌전고개 만세운동은 일제 강점기 때 일어난 운동으로 용인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를 기념하는 기념탑이 현재 사적지의 기념물로 용인 독립만세운동의 역사를 알려주고 있다. 「좌전고개 만세운동」이라고 불리는 용인 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1일 오전 3시 주민 1천여 명이 참가해 벌인 용인 최초의 독립만세운동으로, 이날을 계기로 1만3천여 명이 동참했고 이 중 700여 명이 일제에 의해 죽거나 실종됐다.

연혁

편집

용인은 고구려구성현(駒城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거서현(巨黍縣)이라 개칭하고 한주(漢州)에 속했다.

지리

편집
 
수지구 단국대(檀國大)와 탄천 발원지(내대지천)

경기도 남부 내륙에 있으며,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역내는 광주산맥의 여맥이 기복하여 구릉이 각처에 발달하고 소분지가 점재하며, 하천은 중앙지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흐른다.

하천으로는 탄천이 북류(北流)하여 한강에 합하고, 구흥천이 남으로 흘러 평택시를 지나 분향만으로 유입되며, 동남쪽으로 청미천의 상류가 흘러 유역의 소분지를 관개한다. 용인 일대는 광주산맥의 낮은 구릉이 경안(京安)과 김량장의 침식곡으로 동서로 분단된 서쪽 지방이다. 용인시의 땅 모양이 거북과 같다 하여, 이른바 풍수지리에서 이야기하는 길지로 알려진 곳이 많다. 그리하여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자봉산 기슭에는 숭례문풍남문을 축성한 평도공(平度公) 최유경(崔有慶)의 효행심으로부터 '생거진천 사거용인(生居鎭川 死居龍仁)'이라는 표현이 유래하였다.[33]

기후

편집

내륙부에 위치하여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 기온 11.3도, 1월 평균 -4.8도, 8월 평균 26도, 연평균 강수량 1,300mm이다.[34]

행정 구역

편집
 
용인시 행정구역

용인시의 행정 구역은 3 4 3 28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 전체의 5.8%에 해당하는 591.36 km2이며, 2020년 1월 실제 거주자 숫자를 기준으로 인구는 1,004,081 명, 371,685 가구다.[35]

한자 면적 인구 세대
처인구 處仁區 467.6 253,896 107,785
기흥구 器興區 81.7 437,146 165,355
수지구 水枝區 42.1 370,398 135,054
용인시 龍仁市 591.3 1,061,440 408,194
  • 인구·세대는 2020년 1월 주민등록 기준
  • 본청: 6국 31과
  • 직속기관: 4, 사업소: 4
  • 본청 660명, 의회 25명, 직속기관 180명, 사업소 279명
  • 구청 598명, ·· 424명
  • 공무원: 2,166명

인구

편집

용인시의 인구는 2017년 6월 30일 주민등록(내국인) 기준으로 99만 6894명이며, 이 가운데 남자는 495,643명, 여자는 501,251명으로 여자가 다소 많아 성비는 98.8이다. 외국인은 15,761명이다. 유소년 인구비율은 18.3%, 노인 인구비율은 10.3%이다.

용인시 전체 면적의 20.9%를 차지하는 기흥구, 수지구에 시 전체 인구의 77%가 거주해 인구가 시의 서북부에 집중되어 있다. 처인구에는 229,588명(23%)이, 기흥구에는 418,336명(42%), 수지구에는 348,970명(35%)이 거주한다.

용인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총인구
1966년 105,179명
1970년 96,551명
1975년 111,442명
1980년 135,537명
1985년 153,767명
1990년 187,975명
1995년 242,048명
2000년 384,741명
2005년 686,842명
2010년 847,138명
2015년 971,327명
2020년 1,089,087명
2022년 1,092,840명

시청

편집
  • 현재 용인시청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삼동에 위치하고 있다.

경제

편집
 
용인중앙시장

원래 농업이 주산업으로 미맥을 주로 생산하였으나, 1970년대 이후 수도권 분산정책의 일환으로 기흥구·수지구 일대에 많은 화학·전자·섬유·기계·식품 등의 생산업체가 들어섰다. 과거에는 수지구·기흥구·모현읍 일대에 목장이 많았으나, 현재는 골프장이 많다.

수지구에는 단국대학교를 중심으로 민관학 협력 거버넌스가 구축되면서 2001년 6월 5일 정보통신부경기도 용인시에 소프트웨어 지원센터의 신규 설치를 확정하였으며, 2002년 7월 31일에 용인소프트웨어지원센터가 개소하였다. 2006년 7월 26일에는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으로 변경되었다.[36]

2012년 2월 23일 용인시는 미국의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인 프렉스에어코리아㈜가 1180억원을 들여 기흥구에 공장을 신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장은 기흥구 농서동 24,029m2부지에 연면적 4,243m2 규모로 건설되며, 제조 및 부대시설을 갖춘 초고순도 질소가스 제조 공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2018년 기준 용인시의 재정자립도는 62.07%로 경기도에서 화성시와 성남시에 이어 3번째로 높다.[37]

지역 내 총생산

편집

용인시의 지역내 총생산(GRDP)는 32조 6,000억원으로 고양, 성남, 수원시와 더불어 경기도 지역 내 총생산의 51.3%를 차지하고 있다. 농림어업(1차 산업)은 4,188억원으로 1%의 비중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9조 855억원으로 72.7%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1조 7,628억원으로 26.8%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대규모 택지개발의 영향으로 사업서비스(4.1%)와 건설업(3.0%), 도소매업(2.7%)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2.7%)이 주를 이루고 있다. [38]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편집

용인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842,069명이고 주간인구는 769,49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91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76,883명, 유출인구는 147,073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8,526명, 유출인구는 20,915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72,579명 더 많은데,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특별시와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39]

산업별 종사자 현황

편집

2020년 용인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52,723개 사업장과 337,516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6.5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48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59,208명으로 20.6%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28,330명으로 79.4%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3.0%), 사업서비스업(12.7%)과 교육서비스업(11.1%), 숙박 및 음식점업(9.3%)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40]

백화점

편집

기흥구

편집

수지구

편집

대형마트, 창고형마트

편집

기흥구

편집

수지구

편집

처인구

편집

영화관

편집

기흥구

편집

수지구

편집

처인구

편집
  • CGV 용인 (김량장동)
  • CGV DRIVE IN 용인크랙사이드 (역북동)
  • 롯데시네마 용인역북 (역북동)

관광

편집
 
한국민속촌

관광지로는 한국민속촌에버랜드 등이 있는데, 이 두 곳은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41]

경기도 기념물 제44호로써 용인시 남사읍 아곡리 43번지에 위치해 있다. 총면적 5,820평의 장방형으로 된 토성으로 본래 고려 때 군창(軍倉)으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추정되며, 백제 때 축성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고려김윤후 장군이 퇴세를 만회하고 몽골의 세력을 몰아내게 한 장소이다.

김수환 추기경의 묘소가 있다. 하루 평균 800명의 추모객이 다녀간다.[42]

백암면 옥산리의 비봉산(372m)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원장 이택주 씨가 1979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해서 2003년 5월부터 일반인들에게 개방되었다. 현재 총면적이 30만평쯤 되는 이 식물원에는 8000여종, 720만 그루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43]

대한불교열반종의 총본산으로 1970년 실향민인 김해근(법명 해곡 삼장법사)이 세운 호국 사찰로 용인시 해곡동 산43번지에 위치해 있다. 와우정사 내 건물 중 열반전에는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온 통향나무를 다듬어 만든 길이 12m, 높이 3m의 열반상(와불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향나무로 조성한 세계 최대의 목불상으로 기네스북에 기록이 올라 있다.[44]

높이는 106m. 죽전역 인근에 있다. 이 타워는 하수처리장의 굴뚝을 토대로 지어졌다. 그래서 건물 내부가 속이 대부분 비어있고 겉에만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있다. 전망대에 올라가면 수지구 일대를 한번에 조망할 수 있다.

박물관

편집

군사

편집

용인시 처인구에는 지상작전사령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에 속한 55사단이 포곡읍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한국 전쟁 당시 터키군이 김량장동에서 중공군에 맞서 금양장 전투를 치렀다. 터키군은 이 전투에서 '백병전'으로 10배 가까운 중공군을 괴멸시키고 승리해 군우리 전투에서의 패배를 설욕했다. 금양장 전투 당시 전사자는 중공군이 1900명, 터키군은 12명이었다.

교통

편집
 
버스전용차선으로 지정된 경부고속도로의 신갈 분기점 일원

철도

편집

2004년 11월 26일 분당선 보정임시역이 개통되면서 용인에도 철도 교통 시대가 열렸다. 같은 노선 죽전역2007년 12월 24일에, 죽전 ~ 기흥 구간이 2011년 12월 28일에, 상갈역2012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다. 용인 경전철2013년 4월 26일에 전 구간 개통되었다. 신분당선 정자역 ~ 광교역 연장 구간이 2016년 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일반 여객 철도인 수려선이 이용객 감소로 1972년에 폐지된 이후, 일반 여객 철도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를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수원역으로 가야 한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이 계획 중이다.

버스

편집

도로

편집

1971년 영동고속도로가, 2009년용인서울고속도로가, 2022년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경부고속도로가 시의 서부를 지나가고 영동고속도로와 신갈분기점에서 만난다. 국도는 동서를 관통하는 국도 제42호선, 남북을 관통하는 국도 제45호선과 양지를 종점으로 하는 국도 제17호선이 있다.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스포츠

편집
 
용인대학교 생활관

용인시에 위치한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용인대학교에서 하계, 동계 올림픽을 비롯하여 여러 스포츠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다. 김학범, 박지성, 손웅정을 배출한 명지대학교는 FISU 대학월드컵축구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축구, 농구 외에도 수영, 쇼트트랙, 테니스, 태권도, 럭비, 골프 등과 용인시청 소속의 볼링, 씨름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서 강세를 보인다. 처인구 동부동에는 1982년에 준공된 관람석 12,000석의 용인종합운동장이 위치해 있다.

교육 기관

편집

사립대학교

편집

사립전문대학

편집

갤러리

편집

출신 인물

편집

용인시 캐릭터 조아용

편집
  • 용인시의 지명에 있는 용(龍)에서 착안해 만든 용 캐릭터이다.
  • 상상 속 동물 ‘용’의 특징인 뿔과 수염, 날카로운 이빨을 활용해 용의 모습을 현대식으로 재구성했다.
  • SNS[45]매체에서 호감의 표시를 나타낼 때 ‘좋아요’를 사용하는 것과 용인의 용자를 결합해 ‘조아용’으로 명칭을 정했다.
  • 조아용은 성별과 나이는 미상으로 하여 시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장난꾸러기 캐릭터로 정했다. 성향은 기분파로 기쁨, 신남, 화남, 슬픔 등 다양한 표정을 갖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자매 도시

편집

교류

편집

각주

편집
  1. 처인구 일원 해당.
  2. 기흥구 신갈동, 영덕1동, 영덕2동, 구갈동, 상갈동, 보라동, 기흥동, 서농동, 동백2동, 상하동 해당.
  3. 수지구 풍덕천1동, 풍덕천2동, 신봉동, 동천동, 상현1동, 상현3동, 성복동 해당.
  4. 기흥구 보정동, 구성동, 마북동, 동백1동, 동백3동, 수지구 상현2동, 죽전1동, 죽전11ㅌ 죽전3동 해당.
  5. 최영은 (2022년 1월 13일). “수원·용인·고양·창원특례시 출범...달라지는 점?”. KTV. 
  6.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용인의 연혁
  7.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8.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9.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10.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동아일보, 1937.12.16.
  11.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12.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13.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14.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3년 2월 15일.
  15.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1조 제14항, 제15항
  16.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년 9월 26일)
  17.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1995년 12월 6일)
  18. 용인군 조례 제1444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1996년 2월 27일)
  19. 용인군 조례 제1140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1996년 1월 9일)
  20. 용인군 조례 제277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0년 8월 21일)
  21. 용인시 조례 제368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1년 12월 24일)
  22. 용인시 조례 제437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3년 3월 31일)
  23. 용인군 조례 제495호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4년 1월 15일)
  24. 용인시 조례 제651호 구와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년 10월 5일)
  25. 용인시 조례 제648호 구와 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년 10월 5일)
  26. 전라남도 나주시 등 4개 시·군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19875호 (2007년 2월 8일)
  27. 노호근 (2007년 4월 29일). “수원.용인 경계일부-어정동 분동 등 관할구역 변화”. 뉴시스.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28. 노호근 (2007년 7월 2일). “<소식>용인시 동백동, 상하동 사무소 개소”. 뉴시스. 2017년 11월 20일에 확인함. 
  29. 용인시 100만 인구 돌파..기초자치단체 중 4번째 연합뉴스, 2017.9.3.
  30. 경기도 수원시와 용인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30036호 (2019년 8월 13일)
  31. 이재상 (2019년 8월 6일). “부산·수원·용인 등 관할구역 변경…불합리한 행정구역 조정”. 뉴스1. 2019년 8월 19일에 확인함. 
  32. 용인시 조례 제1997호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20년 1월 10일)
  33. “‘살만한 곳’ 용인”. 굿모닝용인(용인시민신문). 2009년 3월 18일. 2010년 5월 5일에 확인함. 
  34.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후
  35.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18년 2월 12일 확인.
  36. [1], 디지털용인문화대전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 항목
  37. “경기지역 24개 시·군 재정자립도 ↓···안산·과천 하락폭 커”. 2018년 4월 15일. 2018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4일에 확인함. 
  38.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9.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40. 경기도 사업체조사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41.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용인의 교통·관광
  42. 권혁재 기자 (2009년 6월 4일). “<week&커버스토리> 추모여행, 세상에서 가장 경건한 '소풍'. 중앙일보사. 2015년 7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6월 17일에 확인함. 
  43. 양영훈 (2006). 《똑똑한 여행책》. 열번째행성. 45쪽. 
  44. “두산백과”. 
  45. “용인의 상징 < 용인시 소개 < 용인소개 < HOME : 용인시청 대표포털”. 2022년 5월 29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