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순공주
경순공주(慶順公主, ? ~ 1407년 9월 17일(음력 8월 7일)) 또는 경순궁주(慶順宮主) 조선의 공주로, 태조 이성계의 장녀이자 적장녀이며 어머니는 신덕왕후 강씨이다.
경순공주
慶順公主 | |
---|---|
조선 태조의 공주 | |
이름 | |
별호 | 경순궁주(慶順宮主)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1370년대 초) |
사망일 | 1407년 9월 17일 (양력) |
부친 | 태조 이성계 |
모친 | 신덕왕후 강씨 |
배우자 | 흥안군(興安君) 이제(李濟) |
종교 | 불교 |
생애
편집출생
편집조선을 건국한 이성계(태조)와 이성계의 경처(京妻)인 강씨(康氏, 신덕왕후)의 딸로 태어났다.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조년의 증손자이자, 권신 이인임의 조카인 흥안군(興安君) 이제(李濟)와 혼인하였다.
실록과 《선원록》, 《돈녕보첩》에는 태조의 셋째 딸로 기록되어 있으며, 태조와 신의왕후의 딸인 경신공주를 장녀라고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고려 말 금석문의 기록을 통해 이성계의 다섯 딸 중 가장 먼저 태어났음을 알 수 있다. 경순공주의 할아버지이자 이성계의 아버지인 이자춘의 신도비의 기록에는 1387년 당시 경순공주가 이미 남편 이제(李濟)와 혼인한 상태로 기록되어 있다.[1]
경순공주의 태어난 해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자춘 신도비(1387년)》의 기록과 어머니 신덕왕후가 태어난 해(1356년), 당시 여성의 혼인 적령기가 15~16세인 점을 종합하여 볼 때, 1370년대 초반에 태어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신의왕후의 딸들인 경신공주와 경선공주는 나이가 어리다는 기록과 함께 혼인하지 않은 상태임도 알 수 있다.[1]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 조정에서 요동 정벌에 출정한 장수들의 가족들을 인질로 삼으려 하자 경순공주의 이복 오빠인 이방원(태종)이 가족들을 대피시켰는데, 이때 신의왕후의 딸들인 경신공주와 경선공주 및 신덕왕후의 아들인 무안대군 방번과 의안대군 방석의 나이가 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경순공주는 경신공주와 경선공주보다 먼저 태어났음을 알 수 있다.[2]
공주 시절
편집조선이 건국된 후 경순궁주(慶順宮主)에 봉해졌다.
남편인 이제는 태조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건국하는데 공을 세웠다. 1392년(태조 원년) 10월, 이성계는 사위인 이제를 일등 개국공신으로 봉하고 공신 교서를 하사했다. 이때 하사받은 공신교서인 《이제 개국공신교서》는 국보 제324호로 지정되어 있다.[3]
1396년(태조 5년), 어머니 신덕왕후를 여의었다.[4]
1398년(태조 7년) 8월 26일, 제1차 왕자의 난이 발발하여 남편인 이제와 남동생 무안대군 방번, 의안대군 방석이 모두 살해되었다.[5] 이후 남편을 잃은 경순공주는 아버지 태조에 의해 비구니가 되어 출가하였다.[6]
사망
편집1407년(태종 7년) 8월 7일 졸하였다. 경순공주가 죽자 태종은 덕수궁에 나아가 경순공주를 조문하였다.[7] 흥안군 이제는 세종대에 신원되어 태조의 묘향에 배향되었다. 1872년(고종 9년), 조선 초기 궁주(宮主)들의 봉작을 공주(公主)로 바꾸면서 경순공주로 봉해졌다.[8]
가족 관계
편집경순공주가 등장한 작품
편집드라마
편집- 《용의 눈물》(KBS1, 1996년~1998년, 배우 : 김나우)
- 《정도전》 (KBS1, 2014년~2014년, 배우 : 고주연)
- 《태종 이방원》 (KBS1, 2021년~2022년, 배우 : 최다혜)
영화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이자춘 신도비(1387년)》 및 《정릉 신도비명(1393년)》
- ↑ 《태조실록》 1권, 총서
요동 공략에 나선 장수의 가족을 볼모로 삼으려하자, 태종이 포천의 가족을 피신시키다 - ↑ “태조 이성계 직접 내린 '이제 개국공신교서' 국보 지정”. 중앙일보. 2018년 6월 27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태조실록》 10권, 태조 5년(1396년 명 홍무(洪武) 29년) 8월 13일 (무술)
밤에 현비가 이득분의 집에서 훙하다
밤에 현비(신덕왕후)가 이득분의 집에서 훙(薨)하였다.임금이 통곡하고 슬퍼하기를 마지 아니하였고, 조회와 저자를 10일간 정지하였다.
- ↑ 《태조실록》 14권, 태조 7년(1398년 명 홍무(洪武) 31년) 8월 26일 (기사)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 정도전 · 남은 · 심효생 등이 숙청되다 - ↑ 《정종실록》 2권, 정종 1년(1399년 명 건문(建文) 1년) 9월 10일 (정축)
태상왕이 경순궁주로 하여금 여승이 되게 하다 - ↑ 《태종실록》 14권, 태종 7년(1407년 명 영락(永樂) 5년) 8월 7일 (무자)
덕수궁에 나아가 경순궁주의 죽음을 조상하다 - ↑ 《승정원일기》 2783책 (탈초본 130책) 고종 9년(1872년 청 동치(同治) 11년) 12월 1일 (신해)
경신궁주 등의 봉작을 고치는 일에 대해 정사를 열어 하비할 것을 청하는 이돈하의 계 - ↑ 성주 이씨 족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