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 염색
그람 염색(영어: Gram stain 또는 Gram staining) 또는 그람 염색법(영어: Gram's method)은 미생물학 및 세균학에서 세균을 그람양성세균과 그람음성세균의 두 가지 큰 부류로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염색 방법이다. 1884년에 이 기법을 개발한 덴마크의 세균학자인 한스 크리스티안 그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그람 염색은 세포벽의 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이용해 세균을 구별하는 방법이다. 그람양성세균은 세포벽에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을 가지고 있어서 1차 염색제인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머금을 수 있다. 그람음성세균은 보다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을 가지고 있어서 에탄올로 세척하면 크리스탈 바이올렛이 씻겨 나간다. 그람음성세균은 일반적으로 사프라닌 또는 푸크신을 이용한 대비염색에 의해 분홍색 또는 빨간색으로 염색된다.[2]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루골 용액)은 세포막과 염색액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사용한 후에 항상 첨가된다.
그람 염색은 거의 대부분에서 세균의 부류를 식별하는 첫 번째 단계이다. 그람 염색은 임상 및 연구 환경 모두에서 귀중한 진단 도구이지만 모든 세균들이 그람 염색으로 명확하게 분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그람가변세균 및 그람불확정세균을 발생시킨다.
역사
편집그람 염색이라 명칭은 1884년에 베를린의 시립 병원의 영안실에서 카를 프리들란더와 함께 근무하면서 이 방법을 개발한 덴마크의 세균학자인 한스 크리스티안 그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람은 세균을 다른 종과 구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폐 조직의 염색된 부분에서 세균을 더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이 방법을 고안했다.[3] 그람은 1884년에 자신이 고안한 방법을 발표했으며, 그의 짧은 보고서에서 발진티푸스 간균이 염색되지 않는다는 관찰 내용을 포함시켰다.[4]
용도
편집그람 염색은 세포벽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따라 세균 종을 두 개의 큰 부류(그람양성세균과 그람음성세균)으로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세균학적 실험 기술이다.[5][6] 그람 염색은 고세균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미생물은 계통발생학적 분류군을 따르지 않는 매우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이다.[7]
일부 세균들은 그람 가변적(그람음성 또는 그람양성으로 염색될 수 있음을 의미)이다. 일부 세균들은 그람 염색법에 사용된 염료로 염색되지 않고 보이지 않는다. 현대의 환경 또는 분자미생물학 연구실에서 대부분의 식별은 유전자 서열 및 기타 분자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차등 염색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의료
편집그람 염색은 감염이 의심될 때 체액 또는 생검으로 수행된다. 그람 염색은 배양보다 훨씬 더 빨리 결과가 나오며 감염이 환자의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차이를 만들 때 특히 중요하다. 수막염의 경우 뇌척수액, 패혈성 관절염의 경우 활액이 그 예이다.[8][9]
염색 메커니즘
편집그람양성세균은 펩티도글리칸(세포외막의 50~90%)으로 이루어진 그물망 형태의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 크리스탈 바이올렛에 의해 보라색으로 염색된다. 반면에 그람음성세균은 더 얇은 층(세포외막의 10%)을 가지기 때문에 보라색 염색을 유지하지 못하고 사프라닌에 의해 분홍색으로 대비염색된다. 그람 염색의 4가지 기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세균 배양액의 열 고정 도말에 1차 염색(크리스탈 바이올렛)을 적용한다. 열 고정은 일부 세균을 죽이지만 주로 세균을 슬라이드에 부착시켜 염색 과정 중에 헹구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결합하여 세포 안에 가두는 역할을 하는 아이오딘의 첨가
- 에탄올 또는 아세톤으로 신속하게 탈색함
- 사프라닌으로 대비염색함.[10] 카르볼 푸크신은 혐기성 세균을 더 강하게 염색하기 때문에 때때로 사프라닌 대신 사용되지만 대비염색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11]
적용 | 시약 | 세포의 색 | |||
---|---|---|---|---|---|
그람양성세균 | 그람음성세균 | ||||
1차 염료 | 크리스탈 바이올렛 | 보라색 | 보라색 | ||
매염제 | 아이오딘 | 보라색 | 보라색 | ||
탈색제 | 에탄올/아세톤 | 보라색 | 무색 | ||
대비염색 | 사프라닌/카르볼 푸크신 | 보라색 | 분홍색 또는 빨간색 |
크리스탈 바이올렛(CV)은 수용액에서 CV+
및 염화물(Cl−
) 이온으로 해리된다. 이들 이온은 그람양성세균 및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을 관통한다. CV+
이온은 세균 세포의 음전하 부분과 상호작용하여 세포를 보라색으로 염색한다.[12]
아이오딘화물(I−
또는 I−
3)은 CV+
와 상호작용하여 세포의 내층과 외층 내에서 크리스탈 바이올렛과 아이오딘의 거대 복합체(CV–I)를 형성한다. 아이오딘은 보통 매염제로 언급되지만, CV–I 복합체의 제거를 방지하여 세포를 착색시키는 포획제이다.[13]
에탄올이나 아세톤과 같은 탈색제가 첨가되면 세포막의 지질과 상호작용한다.[14] 그람음성세균은 외부의 지질다당류 막을 잃고 내부의 펩티도글리칸 층이 노출된 상태로 남는다. CV–I 복합체는 외막과 함께 그람음성세균에서 세척된다.[15] 대조적으로 그람양성세균은 에탄올 처리로 인해 탈수된다. 거대 CV–I 복합체는 펩티도글리칸의 다층 특성으로 인해 그람양성세균 내에 갇히게 된다.[15] 탈색 단계는 매우 중요하며 시간을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 탈색제를 너무 오래(몇 초) 방치하면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이 그람양성세균과 그람음성세균 모두에서 제거된다.[16]
탈색 후 그람양성세균은 보라색을 유지하며 그람음성세균은 보라색을 잃게 된다.[16] 일반적으로 양전하를 띤 사프라닌 또는 염기성 푸크신으로 대비염색을 마지막에 수행하여 탈색된 그람음성세균을 분홍색 또는 빨간색으로 만든다.[2][17] 그람양성세균과 그람음성세균 모두에 대비염색을 한다. 그러나 대비염색을 해도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이 더 진하기 때문에 그람양성세균은 여전히 보라색을 띠게 된다.
예
편집그람양성세균
편집그람양성세균은 일반적으로 두꺼운 펩티도글리칸으로 둘러싸인 단일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것은 후벽균문(몰리쿠테스강과 네가티비쿠테스강은 제외)과 방선균문의 두 개의 문에서 적용된다.[6][18] 대조적으로 녹만균류(녹색비황세균)의 구성원들은 단일막이지만 얇거나 없는(데할로콕코이데스강) 펩티도글리칸을 가지고 있으며, 음성, 양성 또는 불확실하게 염색될 수 있다. 데이노코쿠스문은 양성으로 염색되지만 두꺼운 펩티도글리칸을 가진 2개의 막을 가지고 있다.[6][18]
역사적으로 그람양성세균은 현재 가장 큰 그룹에 사용되는 이름인 후벽균문(Firmicutes)을 구성했다. 여기에는 락토바실루스속, 바실루스속, 리스테리아속, 포도상구균속, 연쇄상구균속, 장내구균속, 클로스트리디움속과 같은 잘 알려져 있는 많은 속들이 포함되어 있다.[19] 또한 미코플라스마 및 테르모플라스마와 같은 세포벽이 없어서 그람 염색이 불가능하지만 그러한 형태에서 파생된 세균인 몰리쿠테스강강을 포함하도록 확정되었다.[20]
일부 세균은 염색을 유지하는 데 특히 유리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다른 그람양성세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람 염색에서 양성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항산균이라고 하며, 특수한 염색 절차(질-닐슨 염색)을 통해서 다른 그람양성세균과 구별할 수 있다.[21]
그람음성세균
편집그람음성세균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막(diderm) 사이에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을 가지고 있다.[22] 지질다당류(LPS)는 대부분의 그람음성세균의 세포 표면에 가장 풍부한 항원으로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의 외막의 최대 80%까지 차지한다.[23] 대부분의 세균의 문은 남세균, 녹색황세균 및 대부분의 프로테오박테리아를 포함(예외는 리케차목의 일부 구성원 및 장내세균목의 곤충-내공생균)하여 그람 음성이다.[6][18]
그람가변세균 및 그람불확정세균
편집일부 세균은 그람 염색으로 염색한 후에 분홍색과 보라색 세포가 혼합되어 보이는 그람가변패턴을 나타낸다.[15][24] 바실루스, 부티리비브리오, 클로스트리디움의 배양에서 생장하는 동안 펩티도글리칸의 두께 감소는 그람음성으로 염색되는 세포 수의 증가와 일치한다.[24] 또한 그람 염색을 이용하여 염색한 모든 세균은 배양 시간이 염색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4]
그람불확정세균은 그람 염색에 예상대로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그람양성세균 또는 그람음성세균으로 결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소결핵균(Mycobacterium bovis), 나균(Mycobacterium leprae),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을 포함하여 많은 종의 미코박테리움이 포함되며, 나균 및 결핵균은 각각 나병 및 결핵의 원인 병원체이다.[25][26] 미코플라스마속의 세균은 세포막 주위에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8] 그람 염색법으로 염색되지 않으며, 세포벽 합성을 표적으로 하는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낸다.[27][28]
철자법
편집그람 염색(Gram stain)이라는 용어는 한스 크리스티안 그람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그람(Gram)은 대문자로 표시되지만 과학 용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명사인 염색(stain)은 대문자로 표시하지 않는다.[29] 명칭의 시조가 되는 형용사인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의 첫 문자는 작성 중인 문서를 관리하는 스타일 가이드가 있는 경우에 따라 대문자 G 또는 소문자 g가 될 수 있다. 소문자 스타일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및 AMA 스타일 등에서 사용된다.[30] 사전은 소문자,[31][32] 대문자[33][34][35][36] 또는 둘 다[37][38]를 사용할 수 있다.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의 대문자 표기는 많은 과학 저널 기사 및 간행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38][39][40] 논문이 저널에 제출되면 각 저널은 포스트프린트 버전에 하우스 스타일을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프리프린트 버전에는 저자가 우연히 사용한 스타일이 포함되어 있다. 형용사인 그람양성(gram-positive) 및 그람음성(gram-negative)에 소문자를 사용하는 스타일의 용법에서 조차도 일반적으로 그람 염색(Gram stain)에 대해서는 대문자를 사용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olco, R. (2005). “Gram Staining”. 《Current Protocols in Microbiology》. Appendix 3 (1): Appendix 3C. doi:10.1002/9780471729259.mca03cs00. ISBN 978-0471729259. PMID 18770544. S2CID 32452815.
- ↑ 가 나 Beveridge, T. J.; Davies, J. A. (November 1983). “Cellular responses of Bacillus subtilis and Escherichia coli to the Gram stain”. 《Journal of Bacteriology》 156 (2): 846–58. doi:10.1128/JB.156.2.846-858.1983. PMC 217903. PMID 6195148.
- ↑ Austrian, R. (1960). “The Gram stain and the etiology of lobar pneumonia, an historical note”. 《Bacteriological Reviews》 24 (3): 261–265. doi:10.1128/MMBR.24.3.261-265.1960. PMC 441053. PMID 13685217.
- ↑ Gram, Hans Christian (1884). “Über die isolierte Färbung der Schizomyceten in Schnitt- und Trockenpräparaten”. 《Fortschritte der Medizin》 (독일어) 2: 185–189..
English translation in: Brock, T. D. (1999). 《Milestones in Microbiology 1546–1940》 2판. ASM Press. 215–218쪽. ISBN 978-1-55581-142-6.
Translation is also at: Brock, T. D. “Pioneers in Medical Laboratory Science: Christian Gram 1884”. 《HOSLink.com》. 2016년 8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Ryan, K. J.; Ray, C. G., 편집.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판. McGraw Hill. 232f쪽. ISBN 978-0838585290.
- ↑ 가 나 다 라 Madigan, M. T.; Martinko, J.; Parker, J. (2004).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0판.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ISBN 978-0-13-066271-2.
- ↑ Beveridge, T. J. (2001). “Use of the Gram stain in microbiology”. 《Biotechnic & Histochemistry》 76 (3): 111–118. doi:10.1080/714028139. PMID 11475313.
- ↑ 가 나 Ryan KJ, Ray CG (editors)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4판. McGraw Hill. 409–12쪽. ISBN 978-0-8385-8529-0.
- ↑ Søgaard, M.; Nørgaard, M.; Schønheyder, H. (2007). “First notification of positive blood cultures: High accuracy of the Gram stain report”.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5 (4): 1113–1117. doi:10.1128/JCM.02523-06. PMC 1865800. PMID 17301283.
- ↑ Black, Jacquelyn G. (1993). 《Microbiology: Principles and Explorations》. Prentice Hall. 65쪽.
- ↑ “Medical Chemical Corporation”. 《Med-Chem.com》. 2016년 3월 9일에 확인함.
- ↑ Leboffe, Michael (2014). 《Microbiology Laboratory Theory and Application》 3판. Englewood, Colorado: Morton Publishing Company. 105쪽. ISBN 978-1617312809.
- ↑ “Stain theory – What a mordant is not”. 《StainsFile.info》. 2016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9일에 확인함.
- ↑ “Gram Stain”. 《Microbugz》. Austin Community College. 2017년 5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im, Sandle (2015년 10월 21일). 《Pharmaceutical Microbiology: Essentials for 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ISBN 9780081000229. OCLC 923807961.
- ↑ 가 나 Hardy, Jay; Maria, Santa. “Gram's Serendipitous Stain” (PDF). 《Hardy's Diagnostics》. 2017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 ↑ Davies, J. A.; Anderson, G. K.; Beveridge, T. J.; Clark, H. C. (November 1983). “Chemical mechanism of the Gram stain and synthesis of a new electron-opaque marker for electron microscopy, which replaces the iodine mordant of the stain”. 《Journal of Bacteriology》 156 (2): 837–845. doi:10.1128/JB.156.2.837-845.1983. PMC 217902. PMID 6195147.
- ↑ 가 나 다 Brenner, Don J.; Krieg, Noel R.; Staley, James T. (2005년 7월 26일) [1984]. Garrity, George M., 편집. 《Introductory Essays》.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A 2판. New York: Springer. 304쪽. ISBN 978-0-387-24143-2. British Library no. GBA561951.
- ↑ Galperin, Michael Y. (2013년 12월 27일). “Genome Diversity of Spore-forming Firmicutes”. 《Microbiology Spectrum》 1 (2): TBS–0015–2012–. doi:10.1128/microbiolspectrum.tbs-0015-2012. ISSN 2165-0497. PMC 4306282. PMID 26184964.
- ↑ Hashem, Hams H. “Practical Medical Microbiology”. 《University of Al-Qadisiya》.[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The Acid Fast Stain”. 《www2.Highlands.edu》. Georgia Highlands College. 2017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10일에 확인함.
- ↑ Megrian D, Taib N, Witwinowski J, Gribaldo S (2020). “One or two membranes? Diderm Firmicutes challenge the Gram-positive/Gram-negative divide”. 《Molecular Microbiology》 113 (3): 659–671. doi:10.1111/mmi.14469. PMID 31975449. S2CID 210882600.
- ↑ Avila-Calderón ED, Ruiz-Palma MD, Contreras-Rodríguez A (2021). “Outer Membrane Vesicles of Gram-Negative Bacteria: An Outlook on Biogenesis”. 《Frontiers in Microbiology》 12: 557902. doi:10.3389/fmicb.2021.557902. PMC 7969528. PMID 33746909.
- ↑ 가 나 다 Beveridge, Terry J. (March 1990). “Mechanism of Gram Variability in Select Bacteria”. 《Journal of Bacteriology》 172 (3): 1609–1620. doi:10.1128/jb.172.3.1609-1620.1990. PMC 208639. PMID 1689718.
- ↑ Black, Jacquelyn (2012). 《Microbiology: Principles and Exploration》 8판. John Wiley & Sons. 68쪽. ISBN 978-0-470-54109-8.
- ↑ Reynolds, J.; Moyes, R. B.; Breakwell, D. P. (2009). 〈Appendix 3〉. 《Differential staining of bacteria: Acid fast stain》. 《Current Protocols in Microbiology》. Appendix 3. H쪽. doi:10.1002/9780471729259.mca03hs15. ISBN 978-0471729259. PMID 19885935. S2CID 45685776.
- ↑ Lee EH, Winter HL, van Dijl JM, Metzemaekers JD, Arends JP (December 2012). “Diagnosis and antimicrobial therapy of Mycoplasma hominis meningitis in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302 (7–8): 289–92. doi:10.1016/j.ijmm.2012.09.003. PMID 23085510.
- ↑ Gautier-Bouchardon AV (July 2018). “Antimicrobial Resistance in Mycoplasma spp”. 《Microbiology Spectrum》 6 (4): 425–446. doi:10.1128/microbiolspec.ARBA-0030-2018. ISBN 9781555819798. PMID 30003864. S2CID 51616821.
- ↑ Waddingham, Anne (2014년 8월 28일). 《New Hart's Rules: The Oxford Style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05쪽. ISBN 978-0199570027.
- ↑ “Preferred Usag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Style Guid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판. Elsevier. 2020년 6월 5일에 확인함. Use search terms such as gram-negative.
- ↑ “gram–positive”, 《Merriam-Webster.com》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 ↑ “Gram-positive”. 《CollinsDictionary.com》. HarperCollins.
- ↑ “Gram stain”. 《Lexico.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0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Gram-positive”. 《MedicineNet》. 2015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4일에 확인함.
- ↑ “Gram negative/positive”. 《BusinessDictionary.com》. 2016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gram-pos·i·tive or Gram-pos·i·tive”.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Houghton Mifflin.
- ↑ 가 나 “Gram-positive”. 《Dictionary.com》.
- ↑ Brown, Lisa; Wolf, Julie M.; Prados-Rosales, Rafael; Casadevall, Arturo (2015). “Through the wall: Extracellular vesicles in Gram-positive bacteria, mycobacteria and fungi”.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3 (10): 620–630. doi:10.1038/nrmicro3480. PMC 4860279. PMID 26324094.
- ↑ Mueller, Kristen L. (2015년 6월 12일). “Detecting Gram-negative bacteria”. 《Science》 348 (6240): 1218. doi:10.1126/science.348.6240.1218-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