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루카스트
몬테루카스트(montelukast)는 싱귤레어(Singulair)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약물로, 천식 치료의 유지 요법에 사용한다.[5] 보통 천식 치료제로서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ICS)보다는 덜 선호된다.[5] 또한 급성 천식 발작에는 유용하지 못하고, 다른 천식 치료제로 반응이 좋지 않을 때 주로 사용한다.[5] 다른 적응증에는 알레르기성 비염과 장기간의 두드러기가 있다.[5]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는 2차 치료제로 쓰인다.[6]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E,Z)-2-(1-((1-(3-(2-(7-Chloroquinolin-2-yl)vinyl)phenyl)-3-(2-(2-hydroxypropan-2-yl)phenyl)propylthio)methyl)cyclopropyl)acetic acid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58966-92-8 |
ATC 코드 | R03DC03 |
PubChem | 5281040 |
드러그뱅크 | DB00471 |
ChemSpider | 4444507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35H36ClNO3S |
분자량 | ? |
물리적 성질 | |
녹는점 | 145–148 °C (293–298 °F)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63~73% |
단백질 결합 | 99%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주로 CYP2C8, 그 외 CYP3A4와 CYP2C9)[1] |
생물학적 반감기 | 2.7~5.5시간[2] |
배출 | 담도[2]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B1(오스트레일리아)[3]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
흔한 부작용은 복통, 기침, 두통이 있다.[5] 심각한 부작용에는 아나필락시스나 호산구증가증 같은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5] 임신 중 사용은 안전하다고 여겨진다.[5] 몬테루카스트는 약리학적 기전상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항류코트리엔제)에 속한다.[5] 폐에 존재하는 류코트리엔 D4의 작용을 차단해 염증을 줄이고 평활근을 이완시킨다.[5]
의학적 사용은 1998년 승인되었다.[5]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다.[7] 2021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 3,0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14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기록되었다.[8][9]
의학적 사용
편집천식, 운동 유발성 기관지연축, 알레르기성 비염, 두드러기 등 다양한 알레르기 관련 질환의 치료에 쓰인다.[10] 성인의 경우 흡입 스테로이드제 단독 요법의 치료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기존 치료에 추가해 보조 치료제로 주로 사용한다. 또한 면역글로불린 치료 도중 알레르기 반응이나 천식 발작을 예방하기 위해 쓰기도 한다. 비만세포증 대증치료 중 보조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11] 경구 투여 약제로, 정제, 저작정(츄어블정), 산제 등의 제형이 있다.[5]
약리학
편집몬테루카스트는 항류코트리엔제에 속하며, 폐에 있는 류코트리엔 D4의 작용을 차단해 염증을 줄이고 평활근을 이완시킨다.[5] 류코트리엔은 면역계에서 만들어 내는 염증 매개 물질로,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등의 병에서 기관지수축]]과 염증을 일으키며 미세혈관 투과성과 점액 분비를 증가시킨다.[12]
몬테루카스트는 펙시다르티닙과 병용 시 신경의 재수초화(remyelination)에 영향을 줄 수 있다.[13]
상호작용
편집몬테루카스트는 사이토크롬 P450에 속하는 CYP2C8 효소를 억제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몬테루카스트를 CYP2C8 기질 약제(항말라리아제인 아모디아퀸 등)와 병용할 시 이 약제들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14][15] 그러나 여러 임상 연구에서 몬테루카스트와 다른 CYP2C8 기질 약제 간의 약물 상호작용은 극히 적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몬테루카스트의 혈장 단백질 결합이 높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6]
부작용
편집흔한 부작용에 설사, 구역질, 구토, 가벼운 발진, 무증상인 간 효소 수치 상승, 발열 등이 있다. 흔하지 않은 부작용에는 피로감과 근육통, 행동 변화, 감각 이상, 발작, 근육 경련, 코피 등이 있다. 드문, 즉 전체 복용 환자 10,000명당 1명 꼴로 발생하는 부작용으로는 자살 생각, 혈관부종, 다형홍반, 간염 등이 있다.[1][17]
2019년과 2020년, 신경정신 반응 관련 문제가 영국과 미국 약물 라벨에 추가되었다. 많이 보고된 신경정신 부작용은 악몽, 우울감, 불면증 (100명에서 1,000명당 1명 꼴), 공격성, 불안, 비정상 행동 (1,000명에서 10,000명당 1명 꼴) 이 있었다.[18][19] 이 때문에 대한민국 국내 시장도 19년과 20년에 타격을 입었으나, 2023년 들어서는 시장이 회복세에 들어섰다.[20]
2024년, 유아에서 야경증, 통제 불가능한 공격성, 침투적 사고, 우울감, 그리고 드물게는 환각이나 자살 생각 등의 보고가 있어 영국 의약품규제청(MHRA)에서 "추가 우려" 확인 후 위험 조사에 들어갔다.[21]
FDA 조사
편집2009년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류코트리엔 조절제에서 신경정신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22] 임상시험에서는 불면증 위험이 증가한다고 밝혔으나, 시판후조사에서는 자살 생각이 증가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신운동성 초조, 공격성, 불안, 악몽, 환각, 우울감, 과민성, 진전 등 기타 부작용 역시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알려졌다.[22]
2019년 9월에는 소아 자문 위원회(Pediatric Advisory Committee)와 약물 안전성 및 위험 관리 자문 위원회(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가 회의를 열어 몬테루카스트로 인한 유아 신경정신 부작용 관련 안전성 토의를 거쳤다.[23]
2020년 3월, FDA가 몬테루카스트에 블랙박스 경고를 추가했다. 이는 기존에 이미 존재하던 신경정신병 발생 위험 관련 경고를 강화한 것으로, 2008년 FDA가 최초로 경고한 이래로 신경정신병 발생 증례 보고가 늘어나면서 주의를 재차 환기했다.[24][25][19] 블랙박스 경고문에서는 경증 환자, 특히 알레르기성 비염에는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다른 항알레르기제가 많으므로 몬테루카스트 처방을 피할 것을 권고했다.[24] 그러나 이런 부작용을 지나치게 우려하는 것은 좋은 치료제를 처방하는 데에 방해가 되며, 몬테루카스트를 스테로이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 무엇이 원인일지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상술한 블랙박스 경고문은 새로운 위험 발견이 아닌, 기존에 이미 알려져 있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다시 상기시킨 것이다.[26]
게다가 FDA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환자들이 스스로 병원에 온 기록을 바탕으로 작성한 증례 보고와 달리, 몬테루카스트 복용 후 신경정신병 발생 경향은 흡입 스테로이드제보다 크지 않았다. 또한 남성, 여성, 12세 이상 성인, 신경정신병 병력이 이미 있는 환자 등에서 새로운 신경정신병이 생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은 존재하지 않았다.[25]
각주
편집- ↑ 가 나 다 “Singulair 10 mg film-coated tablets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emc)》. 2020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Elsevier – Drug Monograph │Montelukast”. 《Elsevier's Healthcare Hub》. 2020년 3월 4일. 2023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월 27일에 확인함.
Montelukast and its metabolites are excreted almost exclusively via the bile; less than 0.2% of the drug is excreted in urine. Mean elimination half-life (half-life) of montelukast is 2.7 to 5.5 hours in healthy young adults.
- ↑ “Montelukast (Singulair)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12월 13일. 2019년 8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 ↑ “Singulair- montelukast sodium granule Singulair- montelukast sodium tablet, chewable Singulair- montelukast sodium tablet, film coated”. 《DailyMed》. 2020년 4월 29일. 2020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Montelukast Sodium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AHFS. 2019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Grainger J, Drake-Lee A (October 2006). “Montelukast in allergic rhin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Otolaryngology》 (Wiley) 31 (5): 360–367. doi:10.1111/j.1749-4486.2006.01276.x. PMID 17014443. S2CID 27200676.
- ↑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76》 76판. Pharmaceutical Press. 2018. 269쪽. ISBN 978-0-85711-338-2.
- ↑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4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Montelukast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Montelukast Sodium”.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9년 6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4월 3일에 확인함.
- ↑ Cardet JC, Akin C, Lee MJ (October 2013). “Mastocytosis: update on pharmacotherapy and future directions”. 《Expert Opinion on Pharmacotherapy》 14 (15): 2033–2045. doi:10.1517/14656566.2013.824424. PMC 4362676. PMID 24044484.
- ↑ Scott JP, Peters-Golden M (September 2013). “Antileukotriene agents for the treatment of lung disease”.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8 (5): 538–544. doi:10.1164/rccm.201301-0023PP. PMID 23822826.
- ↑ “New Strategies for Restoring Myelin on Damaged Nerve Cells”. 《Neuroscience News》. 2020년 11월 6일. 202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Artesunate Amodiaquine Winthrop (artesunate, amodiaquine)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Gentilly, France: Sanofi-aventis; August 2010.” (PDF). 2016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4일에 확인함.
- ↑ German P, Greenhouse B, Coates C, Dorsey G, Rosenthal PJ, Charlebois E, Lindegardh N, Havlir D, Aweeka FT (March 2007). “Hepatotoxicity due to a drug interaction between amodiaquine plus artesunate and efavirenz”.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44 (6): 889–891. doi:10.1086/511882. PMID 17304470.
- ↑ Backman JT, Filppula AM, Niemi M, Neuvonen PJ (January 2016). “Role of Cytochrome P450 2C8 in Drug Metabolism and Interactions”. 《Pharmacological Reviews》 68 (1): 168–241. doi:10.1124/pr.115.011411. PMID 26721703. S2CID 29099906.
- ↑ Levine D, Respaut R, Cooke K, Spector M, Lesser B (2023년 6월 26일). “A son died, his parents tried to sue. How U.S. courts protect Big Pharma”. 《Reuters》. 2023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27일에 확인함.
- ↑ “Montelukast (Singulair): reminder of the risk of neuropsychiatric reactions”. 2019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Singulair (montelukast) and All Generics: Strengthened Boxed Warning”.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0년 3월 4일. 202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 ↑ “[데일리팜] 천식약 몬테루카스트 시장 부활…부작용 악재 탈출”. 2024년 6월 3일에 확인함.
- ↑ Ungoed-Thomas, Jon (2024년 3월 3일). “Safety fears over asthma drug after young children suffer severe side effects”. 《\The Observer》.
- ↑ 가 나 “Updated Information on Leukotriene Inhibitors: Montelukast (marketed as Singulair), Zafirlukast (marketed as Accolate), and Zileuton (marketed as Zyflo and Zyflo CR)”.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09년 6월 12일. 2017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일에 확인함.
- ↑ “Regulations.gov”. 《www.regulations.gov》. 2022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FDA Requires Stronger Warning About Risk of Neuropsychiatric Events Associated with Asthma and Allergy Medication Singulair and Generic Montelukas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보도 자료). 2020년 3월 4일. 202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 ↑ 가 나 “FDA requires Boxed Warning about serious mental health side effects for asthma and allergy drug montelukast (Singulair); advises restricting use for allergic rhinitis”. 《U.S.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0년 3월 4일. 2020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4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 ↑ 최선. “미FDA 몬테루카스트 부작용 경고에 국내 전문가 과하다”. 《메디칼타임즈》. 2024년 6월 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