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해석학 에서 연속 쌍대 공간 (連續雙對空間, 영어 : continuous dual space )은 주어진 위상 벡터 공간 위의 연속 선형 범함수 들로 구성된 벡터 공간 이다. 그 위에 다양한 위상 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유한 차원의 경우 (대수적) 쌍대 공간 과 일치하나, 무한 차원일 경우 대수적 쌍대 공간의 부분 집합이다.
위상환
K
{\displaystyle K}
위의 위상 왼쪽 가군
K
V
{\displaystyle _{K}V}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V
{\displaystyle V}
의 연속 쌍대 가군 (連續雙對加群, 영어 : continuous dual module )
V
∗
{\displaystyle V^{*}}
는 쌍대 가군
V
∨
=
hom
(
K
V
,
K
K
)
{\displaystyle V^{\vee }=\hom(_{K}V,_{K}K)}
가운데, 연속 함수
f
:
V
→
K
{\displaystyle f\colon V\to K}
를 이루는 것들의 부분 집합이다.[ 1] :48, §II.4 [ 2] :129, §V.1 이는 자연스럽게
K
{\displaystyle K}
-위상 오른쪽 가군 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위상 오른쪽 가군의 연속 쌍대 가군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위상 왼쪽 가군 을 이룬다.
만약
K
{\displaystyle K}
가 위상체 라면, 그 위의 위상 벡터 공간 의 연속 쌍대 가군은 연속 쌍대 공간 이라고 한다.
연속 쌍대 공간 위에는 흔히 강한 위상 과 약한-* 위상 이라는 두 위상이 사용된다.
강한 위상에서, 연속 쌍대 공간의 모든 원소는 (유계 집합 에 제한되었을 때) 균등 연속 함수 를 이룬다.
약한-* 위상에서, 연속 쌍대 공간의 모든 원소는 연속 함수 를 이룬다.
보통, 특별한 부가 설명이 없다면 강한 위상을 의미한다.
만약 어떤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가 어떤 위상 벡터 공간
W
{\displaystyle W}
의 (강한 위상을 부여한) 연속 쌍대 공간
W
′
{\displaystyle W'}
과 동형이라면,
W
{\displaystyle W}
를
V
{\displaystyle V}
의 원쌍대 공간 (原雙對空間, 영어 : predual space )이라고 한다. 원쌍대 공간은 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위상환
K
{\displaystyle K}
은 (덧셈에 대하여 아벨 위상군 이므로) 자연스럽게 균등 공간 을 이룬다.
V
{\displaystyle V}
의 유계 집합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B
⊆
V
{\displaystyle B\subseteq V}
이다.
임의의
0
∈
V
{\displaystyle 0\in V}
의 근방
N
∋
0
{\displaystyle N\ni 0}
에 대하여,
B
⊆
α
N
{\displaystyle B\subseteq \alpha N}
이 되는
α
∈
K
{\displaystyle \alpha \in K}
가 존재한다.
V
{\displaystyle V}
의 유계 집합들의 족
Born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Born} (V)}
은
V
{\displaystyle V}
의 덮개 를 이룬다.
그렇다면, 덮개
Born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Born} (V)}
에 대한, 함수 공간
K
V
{\displaystyle K^{V}}
위의 균등 수렴 위상 을 정의할 수 있다. 연속 쌍대 가군
V
∗
{\displaystyle V^{*}}
위의 강한 위상 은 유계 집합에 대한 균등 수렴 위상이다. 즉, 유계 집합
B
⊆
V
{\displaystyle B\subseteq V}
에 제한하였을 때 그 원소들
{
ϕ
↾
B
:
ϕ
∈
V
∗
}
{\displaystyle \{\phi \upharpoonright B\colon \phi \in V^{*}\}}
이 모두 균등 연속 함수가 되게 하는 가장 엉성한 위상 이다.
만약
K
∈
{
R
,
C
}
{\displaystyle K\in \{\mathbb {R} ,\mathbb {C} \}}
이며
V
{\displaystyle V}
가 노름 공간 이라면,
V
∗
{\displaystyle V^{*}}
위의 강한 위상은 쌍대 노름으로 정의되는 거리 위상 과 같다.
연속 쌍대 공간 위에는 강한 위상 대신 약한-* 위상 (弱한-* 位相, 영어 : weak-* topology , "약한-스타 위상"으로 읽음)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이름은 원래 위상 가군 위의 약한 위상 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위상환
K
{\displaystyle K}
위의 위상 왼쪽 가군
K
V
{\displaystyle _{K}V}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중 연속 쌍대 가군으로의 자연스러운 포함 사상
ι
:
V
→
V
∗
∗
{\displaystyle \iota \colon V\to V^{**}}
ι
:
v
↦
(
ϕ
↦
ϕ
(
v
)
)
{\displaystyle \iota \colon v\mapsto (\phi \mapsto \phi (v))}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연속 쌍대 공간
V
∗
{\displaystyle V^{*}}
위의 약한-* 위상 은 범함수족
{
ι
(
v
)
:
v
∈
V
}
{\displaystyle \{\iota (v)\colon v\in V\}}
로 생성되는 시작 위상 이다. 즉, 구체적으로 모든 열린집합
U
⊂
K
{\displaystyle U\subset K}
와 모든
v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v
−
1
(
U
)
=
{
ϕ
∈
V
∨
:
ϕ
(
v
)
∈
U
}
⊂
V
∨
{\displaystyle v^{-1}(U)=\{\phi \in V^{\vee }\colon \phi (v)\in U\}\subset V^{\vee }}
꼴의 집합들을 부분 기저 로 한다.
약한-* 위상은 강한 위상보다 더 섬세한 위상 이다.
만약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이며,
(
V
,
‖
‖
V
)
{\displaystyle (V,\|\|_{V})}
가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V
∗
{\displaystyle V^{*}}
위에는 다음과 같은 노름 이 존재한다.
‖
ϕ
‖
V
∗
=
sup
v
∈
V
‖
v
‖
V
≤
1
|
ϕ
(
v
)
|
{\displaystyle \|\phi \|_{V^{*}}=\sup _{\scriptstyle v\in V \atop \scriptstyle \|v\|_{V}\leq 1}|\phi (v)|}
이를 쌍대 노름 (雙對norm, 영어 : dual norm )이라고 하며, 이는 작용소 노름 의 특수한 경우이다.
이에 따라,
(
V
∗
,
‖
‖
V
∗
)
{\displaystyle (V^{*},\|\|_{V^{*}})}
은 항상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위상환 위의 연속 쌍대 가군은 (대수적) 쌍대 가군 의 부분 가군을 이룬다.
즉, 임의의 위상환
K
{\displaystyle K}
위의 위상 왼쪽 가군
K
V
{\displaystyle _{K}V}
에 대하여, 연속 쌍대 가군에서 (대수적) 쌍대 가군
V
∨
{\displaystyle V^{\vee }}
으로 가는, 다음과 같은 표준적 단사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이 존재한다.
V
∗
→
V
∨
{\displaystyle V^{*}\to V^{\vee }}
그러나 위 사상은 일반적으로 전단사 함수 가 아니다.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에 대하여,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V
{\displaystyle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V
∗
{\displaystyle V^{*}}
이 (쌍대 노름 위상에 대하여) 분해 가능 공간 이라면,
V
{\displaystyle V}
역시 (노름 위상에 대하여) 분해 가능 공간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르베그 공간
ℓ
1
(
K
)
{\displaystyle \ell ^{1}(\mathbb {K} )}
는 분해 가능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이지만, 그 연속 쌍대 공간
ℓ
∞
(
K
)
{\displaystyle \ell ^{\infty }(\mathbb {K} )}
는 분해 가능 공간 이 아닌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이다.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에 대하여,
K
{\displaystyle \mathbb {K} }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와 그 부분 벡터 공간
W
⊆
V
{\displaystyle W\subseteq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자연스러운 제한 사상
(
↾
W
)
:
V
∗
↦
W
∗
{\displaystyle (\upharpoonright W)\colon V^{*}\mapsto W^{*}}
(
↾
W
)
:
ϕ
↦
ϕ
↾
W
{\displaystyle (\upharpoonright W)\colon \phi \mapsto \phi \upharpoonright W}
이 존재한다. 이는 선형 변환 이다.
만약
V
{\displaystyle V}
가 추가로
K
{\displaystyle \mathbb {K} }
-국소 볼록 공간 이라면,
(
↾
W
)
{\displaystyle (\upharpoonright W)}
는 전사 함수 이다.[ 2] :129, Theorem V.3
임의의 위상환
K
{\displaystyle K}
위의 위상 왼쪽 가군
K
V
{\displaystyle _{K}V}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연속 선형 변환 이 존재한다.
V
→
V
∗
∗
{\displaystyle V\to V^{**}}
v
↦
(
ϕ
↦
ϕ
(
v
)
)
{\displaystyle v\mapsto (\phi \mapsto \phi (v))}
만약
V
{\displaystyle V}
가 하우스도르프 국소 볼록 공간 이라면, 이 사상은 단사 함수 이다.
만약
V
{\displaystyle V}
가 노름 공간 이라면, 이 사상은 한-바나흐 정리 에 따라서 등거리 변환 이다 (그러나 전단사 함수 가 아닐 수 있다). 만약 이 사상이 전단사 함수라면,
V
{\displaystyle V}
를 반사 바나흐 공간 (反射Banach空間, 영어 : reflexive Banach space )이라고 한다. (이러한 노름 공간은 물론 항상 바나흐 공간이어야 한다.)
바나흐-앨러오글루 정리 (-定理, 영어 : Banach–Alaoglu theorem )에 따르면, 노름 공간 의 연속 쌍대 공간의 닫힌 공 은 약한-* 위상 아래 콤팩트 집합 이다.
구체적으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K
{\displaystyle \mathbb {K} }
-위상 쌍대 공간
V
{\displaystyle V}
0
∈
V
{\displaystyle 0\in V}
의 근방
0
∈
N
⊆
V
{\displaystyle 0\in N\subseteq V}
그렇다면, 다음을 구성할 수 있다.
V
{\displaystyle V}
의 연속 쌍대 공간
V
∗
{\displaystyle V^{*}}
. 이 역시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을 이룬다.
집합
N
∘
=
{
ϕ
∈
V
∗
:
∀
v
∈
N
:
|
ϕ
(
v
)
|
≤
1
}
⊆
V
∗
{\displaystyle N^{\circ }=\{\phi \in V^{*}\colon \forall v\in N\colon |\phi (v)|\leq 1\}\subseteq V^{*}}
.
V
∗
{\displaystyle V^{*}}
위에는 쌍대 노름 에 대한 거리 위상 대신 약한-* 위상을 부여할 수 있다.
바나흐-앨러오글루-부르바키 정리 (-定理, 영어 : Banach–Alaoglu–Bourbaki theorem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N
∘
{\displaystyle N^{\circ }}
에 약한-* 위상 을 부여했을 때, 이는 콤팩트 공간 을 이룬다.
증명:
다음 위상 공간 을 정의하자.
D
=
∏
v
∈
N
{
α
∈
K
:
|
α
|
≤
1
}
{\displaystyle D=\prod _{v\in N}\{\alpha \in \mathbb {K} \colon |\alpha |\leq 1\}}
절댓값 이 1 이하인 스칼라들의 공간
{
α
∈
K
:
|
α
|
≤
1
}
{\displaystyle \{\alpha \in \mathbb {K} \colon |\alpha |\leq 1\}}
은 콤팩트 공간 이다. 티호노프 정리 에 따라서, 그 곱공간
D
{\displaystyle D}
역시 콤팩트 공간 이다.
이제,
N
∘
{\displaystyle N^{\circ }}
는 다음과 같이
D
{\displaystyle D}
의 부분 집합 으로 여겨질 수 있다.
ι
:
N
∘
→
D
{\displaystyle \iota \colon N^{\circ }\to D}
ι
:
ϕ
↦
(
ϕ
(
v
)
)
v
∈
N
{\displaystyle \iota \colon \phi \mapsto (\phi (v))_{v\in N}}
즉,
ι
{\displaystyle \iota }
는 단사 함수 이다. (이는
N
{\displaystyle N}
이
0
∈
V
{\displaystyle 0\in V}
의 근방 이기 때문이다.)
N
∘
{\displaystyle N^{\circ }}
에 약한-* 위상을 부여한다면,
ι
{\displaystyle \iota }
는 연속 함수 이며, 또한 그 정의역 과 치역 사이의 위상 동형 을 정의한다. (이는 약한-* 위상의 정의에 의한 것이다.)
이제,
ι
{\displaystyle \iota }
의 치역 이 닫힌집합 임을 보이면 족하다. 즉, 임의의 그물
I
→
N
∘
{\displaystyle I\to N^{\circ }}
i
↦
ϕ
i
{\displaystyle i\mapsto \phi _{i}}
의
ι
{\displaystyle \iota }
에 대한 상이 극한
lim
i
∈
I
(
ϕ
i
(
v
)
)
v
∈
N
→
(
α
v
)
v
∈
N
{\displaystyle \lim _{i\in I}(\phi _{i}(v))_{v\in N}\to (\alpha _{v})_{v\in N}}
을 갖는다면, 이는 (곱위상 의 정의에 따라) 대하여 점별 수렴
∀
v
∈
N
:
lim
i
∈
I
ϕ
i
(
v
)
=
α
v
{\displaystyle \forall v\in N\colon \lim _{i\in I}\phi _{i}(v)=\alpha _{v}}
인 것과 동치 이며, 이 경우
v
↦
lim
i
∈
I
ϕ
i
(
v
)
∈
K
{\displaystyle v\mapsto \lim _{i\in I}\phi _{i}(v)\in \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선형 변환 이며, (약한-* 위상의 정의에 따라) 그물
(
ϕ
i
)
i
∈
I
{\displaystyle (\phi _{i})_{i\in I}}
의 약한-* 위상에 대한 극한 이다.
그 특수한 경우로, 만약
V
{\displaystyle V}
가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이며,
N
=
{
v
∈
V
:
‖
v
‖
V
≤
1
}
{\displaystyle N=\{v\in V\colon \|v\|_{V}\leq 1\}}
이 그 속의 단위 닫힌 공 이라고 할 때,
N
∘
=
{
ϕ
∈
V
∗
:
‖
ϕ
‖
V
∗
≤
1
}
{\displaystyle N^{\circ }=\{\phi \in V^{*}\colon \|\phi \|_{V^{*}}\leq 1\}}
은
V
∗
{\displaystyle V^{*}}
의 단위 닫힌 공 이다. 이에 따라, 노름 공간 의 쌍대 노름 공간의 닫힌 공 은 약한-* 위상에서 콤팩트 공간 을 이룬다. 이 특수한 경우를 바나흐-앨러오글루 정리 라고 한다.
바나흐-앨러오글루(-부르바키) 정리의 증명은 티호노프 정리 , 즉 선택 공리 의 한 형태를 필요로 한다.[ 3]
임의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
V
,
‖
‖
V
)
{\displaystyle (V,\|\|_{V})}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이중 연속 쌍대 공간으로 가는 표준적 사상
ι
:
V
→
V
∗
∗
{\displaystyle \iota \colon V\to V^{**}}
을 생각하자. 이는 단사 함수 이자 등거리 변환 이므로, 이 경우,
V
{\displaystyle V}
의 단위 닫힌 공
cl
(
ball
V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operatorname {ball} _{V}(0,1))}
의 상은
V
∗
∗
{\displaystyle V^{**}}
의 단위 닫힌 공
cl
(
ball
V
∗
∗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operatorname {ball} _{V^{**}}(0,1))}
의 부분 집합이다. 이제,
V
∗
∗
{\displaystyle V^{**}}
에 약한-* 위상을 부여했을 때,
cl
(
ball
V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operatorname {ball} _{V}(0,1))}
는
cl
(
ball
V
∗
∗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operatorname {ball} _{V^{**}}(0,1))}
의 조밀 집합 이다 (골드스틴 정리 -定理, 영어 : Goldstine theorem ).
그러나 골드스틴 정리는 노름 위상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반례 :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라고 하자.
K
{\displaystyle \mathbb {K} }
계수 영 수렴 수열 공간
c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0}(\mathbb {K} )}
의 연속 쌍대 공간은
K
{\displaystyle \mathbb {K} }
-계수 1-르베그 공간
ℓ
1
(
K
)
{\displaystyle \ell ^{1}(\mathbb {K} )}
이며,
ℓ
1
(
K
)
{\displaystyle \ell ^{1}(\mathbb {K} )}
의 연속 쌍대 공간은
K
{\displaystyle \mathbb {K} }
계수 ∞-르베그 공간
ℓ
∞
(
K
)
{\displaystyle \ell ^{\infty }(\mathbb {K} )}
이다.
이제,
ℓ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ell } ^{0}(\mathbb {K} )}
의 닫힌 단위 공
ball
ℓ
∞
(
K
)
(
0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operatorname {\ell } ^{\infty }(\mathbb {K} )}(0,1)}
은 집합으로서 곱집합
{
α
∈
K
:
|
α
|
≤
1
}
N
{\displaystyle \{\alpha \in \mathbb {K} \colon |\alpha |\leq 1\}^{\mathbb {N} }}
(즉, 모든 성분의 절댓값 이 1 이하인
K
{\displaystyle \mathbb {K} }
-수열)이며,
c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0}(\mathbb {K} )}
의 닫힌 단위 공
ball
c
0
(
K
)
(
0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operatorname {c} _{0}(\mathbb {K} )}(0,1)}
은 그 속에서 0으로 수렴하는
K
{\displaystyle \mathbb {K} }
-수열들로 구성된 부분 집합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0이 아닌 다른 값
r
{\displaystyle r}
로 수렴하는 수열
α
=
(
α
i
)
i
∈
N
∈
ball
ℓ
0
(
K
)
(
0
,
1
)
{\displaystyle \alpha =(\alpha _{i})_{i\in \mathbb {N} }\in \operatorname {ball} _{\operatorname {\ell } ^{0}(\mathbb {K} )}(0,1)}
에 대하여, 반지름
r
{\displaystyle r}
의 열린 공
ball
ℓ
0
(
C
)
(
α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ell ^{0}(\mathbb {C} )}(\alpha ,r)}
는
ball
c
0
(
K
)
(
0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operatorname {c} _{0}(\mathbb {K} )}(0,1)}
와 겹치지 않는다.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이고,
V
=
K
n
{\displaystyle V=\mathbb {K} ^{n}}
이 (곱위상 을 갖춘) 유한 차원 위상 벡터 공간이라면,
V
{\displaystyle V}
의 연속 쌍대 공간은 (대수적) 쌍대 공간과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 으로서 같다.
그러나 예를 들어
V
{\displaystyle V}
가 무한 차원 힐베르트 공간 이라면
V
{\displaystyle V}
의 대수적 쌍대 공간 은 연속 쌍대 공간보다 훨씬 더 크다.
다음과 같은 르베그 공간 을 생각하자.
ℓ
p
(
C
)
=
L
p
(
N
;
C
)
=
{
(
a
i
)
i
∈
N
∈
C
N
:
∑
i
=
0
∞
|
a
i
|
p
<
∞
}
{\displaystyle \ell ^{p}(\mathbb {C} )=\operatorname {L} ^{p}(\mathbb {N} ;\mathbb {C} )=\left\{(a_{i})_{i\in \mathbb {N} }\in \mathbb {C} ^{\mathbb {N} }\colon \sum _{i=0}^{\infty }|a_{i}|^{p}<\infty \right\}}
이 경우, 노름
‖
a
‖
p
=
∑
i
=
0
∞
|
a
i
|
p
p
{\displaystyle \|a\|_{p}={\sqrt[{p}]{\sum _{i=0}^{\infty }|a_{i}|^{p}}}}
을 부여하면 이는
1
<
p
<
∞
{\displaystyle 1<p<\infty }
에 대하여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이 경우, 만약
1
/
p
+
1
/
q
=
1
{\displaystyle 1/p+1/q=1}
이라면,
ℓ
p
(
C
)
{\displaystyle \ell ^{p}(\mathbb {C} )}
의 연속 쌍대 공간은
ℓ
q
(
C
)
{\displaystyle \ell ^{q}(\mathbb {C} )}
이다.
또한,
ℓ
1
(
C
)
{\displaystyle \ell ^{1}(\mathbb {C} )}
의 연속 쌍대 공간은 유계 수열 공간
ℓ
∞
(
C
)
=
{
(
a
i
)
i
∈
N
∈
C
N
:
sup
i
∈
N
|
a
i
|
<
∞
}
{\displaystyle \ell ^{\infty }(\mathbb {C} )=\left\{(a_{i})_{i\in \mathbb {N} }\in \mathbb {C} ^{\mathbb {N} }\colon \sup _{i\in \mathbb {N} }|a_{i}|<\infty \right\}}
이다.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두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수렴 수열 공간
c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수열 가운데 수렴 하는 것들의 공간이다.
영 수렴 수열 공간
c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0}(\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수열 가운데 0으로 수렴 하는 것들의 공간이다.
두 경우 다 부여되는 노름은 ∞-노름
‖
a
‖
∞
=
sup
i
∈
N
|
a
i
|
{\displaystyle \textstyle \|a\|_{\infty }=\sup _{i\in \mathbb {N} }|a_{i}|}
이다.
이 경우,
c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mathbb {K} )}
의 연속 쌍대 공간과
c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0}(\mathbb {K} )}
의 연속 쌍대 공간 둘 다 1-르베그 공간
ℓ
1
(
K
)
{\displaystyle \ell ^{1}(\mathbb {K} )}
이다. 그러나
c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mathbb {K} )}
와
c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0}(\mathbb {K} )}
는 서로 (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으로서) 동형이 아니다.
내적 공간 의 연속 쌍대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 이며, 원래 내적 공간은 그 연속 쌍대 공간의 조밀 집합 을 이룬다. 특히, 힐베르트 공간 은 스스로의 연속 쌍대 공간과 (반)동형이다 (리스 표현 정리 Riesz表現定理, 영어 :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
구체적으로,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K
{\displaystyle \mathbb {K} }
-내적 공간
(
V
,
⟨
−
,
−
⟩
V
)
{\displaystyle (V,\langle -,-\rangle _{V})}
그렇다면,
V
{\displaystyle V}
의 연속 쌍대 공간
V
∗
{\displaystyle V^{*}}
은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이다. 이 경우,
V
∗
{\displaystyle V^{*}}
은 항상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ι
:
V
→
V
∗
{\displaystyle \iota \colon V\to V^{*}}
ι
:
v
↦
⟨
v
,
−
⟩
{\displaystyle \iota \colon v\mapsto \langle v,-\rangle }
리스 표현 정리 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R
{\displaystyle \mathbb {R} }
-선형 변환 이며, 만약
K
=
C
{\displaystyle \mathbb {K} =\mathbb {C} }
일 경우, 추가로 반선형 변환이다. 즉,
∀
λ
∈
C
:
ι
(
λ
v
)
=
λ
¯
ι
(
v
)
{\displaystyle \forall \lambda \in \mathbb {C} \colon \iota (\lambda v)={\bar {\lambda }}\iota (v)}
이다.
단사 함수 이다.
(
V
∗
{\displaystyle V^{*}}
의 쌍대 노름에 대하여) 등거리 변환 이다.
ι
{\displaystyle \iota }
의 치역 은 (
V
∗
{\displaystyle V^{*}}
의 쌍대 노름에 대하여)
V
∗
{\displaystyle V^{*}}
의 조밀 집합 이다. 이에 따라,
V
{\displaystyle V}
의 내적을
V
∗
{\displaystyle V^{*}}
위에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
lim
i
u
i
,
lim
j
v
j
⟩
V
∗
=
lim
i
,
j
⟨
u
i
,
v
i
⟩
{\displaystyle \langle \lim _{i}u_{i},\lim _{j}v_{j}\rangle _{V^{*}}=\lim _{i,j}\langle u_{i},v_{i}\rangle }
이에 따라
V
∗
{\displaystyle V^{*}}
은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을 이루며,
V
{\displaystyle V}
는 그 조밀 집합 이다.
특히,
V
{\displaystyle V}
가 이미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일 때,
ι
{\displaystyle \iota }
는 전단사 함수 이며,
ι
{\displaystyle \iota }
는 스스로의 연속 쌍대 공간과의 반동형 사상(反同型寫像, 영어 : anti-isomorphism )을 이룬다. (물론, 만약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라면 이는 동형 사상 이다.)
특히,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은 항상
K
{\displaystyle \mathbb {K} }
-반사 바나흐 공간이다.
연속 쌍대 공간이 자명한 위상 벡터 공간
편집
만약
V
{\displaystyle V}
가 국소 볼록 공간 이라면, 이중 연속 쌍대 공간으로의 표준적 사상
V
→
V
∗
∗
{\displaystyle V\to V^{**}}
은 단사 함수 이며, 따라서 만약
V
≠
{
0
}
{\displaystyle V\neq \{0\}}
라면
V
∗
≠
{
0
}
{\displaystyle V^{*}\neq \{0\}}
이다. 그러나 국소 볼록 공간 조건을 가정하지 않으면,
V
≠
{
0
}
{\displaystyle V\neq \{0\}}
이지만
V
∗
=
{
0
}
{\displaystyle V^{*}=\{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
<
p
<
1
{\displaystyle 0<p<1}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구간 위의
p
{\displaystyle p}
-르베그 공간
L
p
(
[
0
,
1
]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0,1];\mathbb {R} )}
의 연속 쌍대 공간은 자명하다.[ 4] :816, Theorem 1
L
p
(
[
0
,
1
]
;
R
)
∗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0,1];\mathbb {R} )^{*}=\{0\}}
증명:
실수 선형 변환
ϕ
:
L
p
(
[
0
,
1
]
;
R
)
→
R
{\displaystyle \phi \colon \operatorname {L} ^{p}([0,1];\mathbb {R} )\to \mathbb {R} }
가
ϕ
≠
0
{\displaystyle \phi \neq 0}
이라고 하자.
ϕ
{\displaystyle \phi }
가 연속 함수 가 아님을 보이면 족하다. 특히,
‖
ϕ
(
f
i
)
‖
p
≥
1
∀
i
∈
N
{\displaystyle \|\phi (f_{i})\|_{p}\geq 1\qquad \forall i\in \mathbb {N} }
‖
f
i
‖
p
=
2
(
p
−
1
)
i
‖
f
0
‖
p
{\displaystyle \|f_{i}\|_{p}=2^{(p-1)i}\|f_{0}\|_{p}}
이 되는 코시 함수열
f
0
,
f
1
,
f
2
,
…
∈
L
p
(
[
0
,
1
]
;
R
)
{\displaystyle f_{0},f_{1},f_{2},\ldots \in \operatorname {L} ^{p}([0,1];\mathbb {R} )}
을 찾으면,
f
i
→
0
{\displaystyle f_{i}\to 0}
ϕ
(
f
i
)
↛
0
{\displaystyle \phi (f_{i})\not \to 0}
이므로 족하다. 이러한 함수열을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하자.
우선,
ϕ
≠
0
{\displaystyle \phi \neq 0}
이므로 정의에 따라
ϕ
(
f
0
)
≥
1
{\displaystyle \phi (f_{0})\geq 1}
인
f
0
∈
L
p
(
[
0
,
1
]
;
R
)
{\displaystyle f_{0}\in \operatorname {L} ^{p}([0,1];\mathbb {R} )}
를 찾을 수 있다.
이제, 만약
f
i
∈
L
p
(
[
0
,
1
]
;
R
)
{\displaystyle f_{i}\in \operatorname {L} ^{p}([0,1];\mathbb {R} )}
가 주어졌으면, 다음과 같은 함수를 생각하자.
[
0
,
1
]
↦
R
{\displaystyle [0,1]\mapsto \mathbb {R} }
t
↦
∫
0
t
|
f
i
(
x
)
|
p
d
x
{\displaystyle t\mapsto \int _{0}^{t}|f_{i}(x)|^{p}\,\mathrm {d} x}
이는 연속 함수 이다. 따라서, 중간값 정리 에 따라
∫
0
t
i
|
f
i
(
x
)
|
p
d
x
=
1
2
∫
0
1
|
f
i
(
x
)
|
p
d
x
{\displaystyle \int _{0}^{t_{i}}|f_{i}(x)|^{p}\,\mathrm {d} x={\frac {1}{2}}\int _{0}^{1}|f_{i}(x)|^{p}\,\mathrm {d} x}
인
0
≤
t
i
≤
1
{\displaystyle 0\leq t_{i}\leq 1}
이 존재한다. 이제,
g
i
=
2
χ
[
0
,
t
i
]
f
{\displaystyle g_{i}=2\chi _{[0,t_{i}]}f}
h
i
=
2
χ
[
t
i
,
1
]
f
{\displaystyle h_{i}=2\chi _{[t_{i},1]}f}
를 정의하자 (
χ
{\displaystyle \chi }
는 지시 함수 ). 이제
f
i
+
1
=
{
g
i
|
ϕ
(
g
i
)
|
≥
|
ϕ
(
h
i
)
|
h
i
|
ϕ
(
g
i
)
|
<
|
ϕ
(
h
i
)
|
{\displaystyle f_{i+1}={\begin{cases}g_{i}&|\phi (g_{i})|\geq |\phi (h_{i})|\\h_{i}&|\phi (g_{i})|<|\phi (h_{i})|\end{cases}}}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삼각 부등식 에 따라
1
≤
|
ϕ
(
f
i
)
|
=
1
2
|
ϕ
(
g
i
)
+
ϕ
(
h
i
)
|
≤
1
2
(
|
ϕ
(
g
i
)
|
+
|
ϕ
(
h
i
)
|
)
≤
max
{
|
ϕ
(
g
i
)
|
,
|
ϕ
(
h
i
)
|
}
{\displaystyle 1\leq |\phi (f_{i})|={\frac {1}{2}}|\phi (g_{i})+\phi (h_{i})|\leq {\frac {1}{2}}(|\phi (g_{i})|+|\phi (h_{i})|)\leq \max \left\{|\phi (g_{i})|,|\phi (h_{i})|\right\}}
이다. 또한 (편의상
f
i
+
1
=
g
i
{\displaystyle f_{i+1}=g_{i}}
라고 하면)
‖
f
i
+
1
‖
p
=
∫
0
1
|
f
i
+
1
|
p
=
∫
0
t
i
|
2
f
i
|
p
=
2
p
∫
0
t
i
|
f
i
|
p
=
2
p
−
1
∫
0
1
|
f
i
|
p
=
2
p
−
1
‖
f
i
‖
p
{\displaystyle \|f_{i+1}\|_{p}=\int _{0}^{1}|f_{i+1}|^{p}=\int _{0}^{t_{i}}|2f_{i}|^{p}=2^{p}\int _{0}^{t_{i}}|f_{i}|^{p}=2^{p-1}\int _{0}^{1}|f_{i}|^{p}=2^{p-1}\|f_{i}\|_{p}}
이다. (
f
i
+
1
=
h
i
{\displaystyle f_{i+1}=h_{i}}
인 경우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함수열
f
i
{\displaystyle f_{i}}
는 필요한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과 연속 함수 의 범주를
CompHaus
{\displaystyle \operatorname {CompHaus} }
라고 표기하고, 실수 바나흐 공간 과 유계 작용소 의 범주를
Ban
R
{\displaystyle \operatorname {Ban} _{\mathbb {R} }}
로 표기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함자 들이 존재한다.
C
(
−
;
R
)
:
CompHaus
→
Ban
R
op
{\displaystyle {\mathcal {C}}(-;\mathbb {R} )\colon \operatorname {CompHaus} \to \operatorname {Ban} _{\mathbb {R} }^{\operatorname {op} }}
C
(
−
;
R
)
:
V
↦
C
(
V
;
R
)
{\displaystyle {\mathcal {C}}(-;\mathbb {R} )\colon V\mapsto {\mathcal {C}}(V;\mathbb {R} )}
C
(
−
;
R
)
:
(
f
:
X
→
Y
)
↦
(
g
∈
C
(
Y
;
R
)
↦
f
∘
g
)
{\displaystyle {\mathcal {C}}(-;\mathbb {R} )\colon (f\colon X\to Y)\mapsto (g\in {\mathcal {C}}(Y;\mathbb {R} )\mapsto f\circ g)}
(
−
)
∗
:
Ban
R
op
→
Ban
R
{\displaystyle (-)^{*}\colon \operatorname {Ban} _{\mathbb {R}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Ban} _{\mathbb {R} }}
(
−
)
∗
:
V
↦
V
∗
{\displaystyle (-)^{*}\colon V\mapsto V^{*}}
(
−
)
∗
:
(
T
:
V
→
W
)
↦
(
T
∗
:
W
∗
→
V
∗
)
{\displaystyle (-)^{*}\colon (T\colon V\to W)\mapsto (T^{*}\colon W^{*}\to V^{*})}
여기서 연속 쌍대 공간
(
−
)
∗
{\displaystyle (-)^{*}}
에는 강한 위상을 부여한다.
이 밖에도, 다음과 같은 함자를 정의할 수 있다.
M
:
CompHaus
→
Ban
R
{\displaystyle M\colon \operatorname {CompHaus} \to \operatorname {Ban} _{\mathbb {R} }}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M
(
X
)
{\displaystyle M(X)}
는
X
{\displaystyle X}
위의 부호를 갖는 실수 유한 보렐 측도 들의 집합이다. 즉,
X
{\displaystyle X}
위의 베르 시그마 대수
Baire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ire} (X)}
위의 두 측도
(
μ
1
,
μ
2
)
{\displaystyle (\mu _{1},\mu _{2})}
의 차들의 동치류 집합이다.
M
{\displaystyle M}
위에서 측도의 전변동 은 노름 을 정의하며, 이에 따라
M
(
X
)
{\displaystyle M(X)}
는 실수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임의의 연속 함수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에 대하여,
M
(
f
)
:
M
(
X
)
→
M
(
Y
)
{\displaystyle M(f)\colon M(X)\to M(Y)}
는 다음과 같다.
f
(
μ
)
(
S
)
=
μ
(
f
−
1
(
S
)
)
∀
S
∈
Baire
(
Y
)
{\displaystyle f(\mu )(S)=\mu (f^{-1}(S))\qquad \forall S\in \operatorname {Baire} (Y)}
그렇다면, 리스-마르코프-가쿠타니 표현 정리 (Riesz-Марков-[角谷]表現定理, 영어 : Riesz–Markov–Kakutani representation theorem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자연 동형
∫
:
M
⇒
(
−
)
∗
∘
C
(
−
;
R
)
{\displaystyle \textstyle \int \colon M\Rightarrow (-)^{*}\circ {\mathcal {C}}(-;\mathbb {R} )}
이 존재한다.[ 5]
∫
X
:
M
(
X
)
→
C
(
X
,
R
)
∗
(
X
∈
CompHaus
)
{\displaystyle \int _{X}\colon M(X)\to {\mathcal {C}}(X,\mathbb {R} )^{*}\qquad (X\in \operatorname {CompHaus} )}
∫
X
:
μ
↦
(
f
↦
∫
X
f
d
μ
)
{\displaystyle \int _{X}\colon \mu \mapsto \left(f\mapsto \int _{X}f\;\mathrm {d} \mu \right)}
즉,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
Ban
R
op
C
(
−
;
R
)
↗
∫
⇑
∫
↘
(
−
)
∗
CompHaus
→
M
(
−
)
Ban
R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Ban} _{\mathbb {R} }^{\operatorname {op} }\\&^{{\mathcal {C}}(-;\mathbb {R} )}\nearrow &{\color {White}\scriptstyle \int }\Uparrow {\scriptstyle \int }&\searrow ^{(-)^{*}}\\&\operatorname {CompHaus} &{\xrightarrow[{M(-)}]{}}&\operatorname {Ban} _{\mathbb {R} }\end{matrix}}}
리스-마르코프-가쿠타니 정리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에서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으로 쉽게 일반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의 연속 함수를 콤팩트 지지 연속 함수 로 대체하여야 한다.
X
{\displaystyle X}
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M
(
X
)
{\displaystyle M(X)}
를
X
{\displaystyle X}
위의 국소 유한 베르 측도 의 집합(즉, 모든 콤팩트 집합 이 유한 측도를 갖는 측도)이라고 하자. 이에 전변동 을 노름으로 삼으면 이는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또한,
C
0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_{0}(X,\mathbb {R} )}
가 무한에서 0이 되는 실수 값 연속 함수
X
→
R
{\displaystyle X\to \mathbb {R} }
의 집합이라고 하자. 이 역시 실수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자연 동형 이 존재한다.
∫
:
M
⇒
(
−
)
∗
∘
C
0
(
−
;
R
)
{\displaystyle \int \colon M\Rightarrow (-)^{*}\circ {\mathcal {C}}_{0}(-;\mathbb {R} )}
∫
X
:
M
(
X
)
→
C
0
(
M
;
R
)
(
X
∈
lcHaus
)
{\displaystyle \int _{X}\colon M(X)\to {\mathcal {C}}_{0}(M;\mathbb {R} )\qquad (X\in \operatorname {lcHaus} )}
∫
X
:
μ
↦
∫
X
f
d
μ
{\displaystyle \int _{X}\colon \mu \mapsto \int _{X}f\;\mathrm {d} \mu }
즉,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
Ban
R
op
C
0
(
−
;
R
)
↗
∫
⇑
∫
↘
(
−
)
∗
lcHaus
→
M
(
−
)
Ban
R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Ban} _{\mathbb {R} }^{\operatorname {op} }\\&^{{\mathcal {C}}_{0}(-;\mathbb {R} )}\nearrow &{\color {White}\scriptstyle \int }\Uparrow {\scriptstyle \int }&\searrow ^{(-)^{*}}\\&\operatorname {lcHaus} &{\xrightarrow[{M(-)}]{}}&\operatorname {Ban} _{\mathbb {R} }\end{matrix}}}
여기서
특히,
따라서, 임의의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수 위상 벡터 공간 들의 동형이 존재한다.
C
compact
0
(
X
;
R
)
∗
≅
C
0
0
(
X
;
R
)
≅
M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_{\text{compact}}^{0}(X;\mathbb {R} )^{*}\cong {\mathcal {C}}_{0}^{0}(X;\mathbb {R} )\cong M(X;\mathbb {R} )}
여기서
C
compact
0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_{\text{compact}}^{0}(X;\mathbb {R} )}
는 콤팩트 지지 실수 값 함수
X
→
R
{\displaystyle X\to \mathbb {R} }
들의 실수 노름 공간 이다. 이 경우 균등 노름 을 부여한다.
C
0
0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_{0}^{0}(X;\mathbb {R} )}
는 무한대에서 0이 되는 연속 함수 의 공간이다. 즉, 임의의 양의 실수
ϵ
>
0
{\displaystyle \epsilon >0}
에 대하여,
sup
x
∈
X
∖
K
‖
f
(
x
)
‖
<
ϵ
{\displaystyle \textstyle \sup _{x\in X\setminus K}\|f(x)\|<\epsilon }
인 콤팩트 집합
K
⊆
X
{\displaystyle K\subseteq X}
가 존재한다. 이 경우 균등 노름 을 부여한다. 이는
C
compact
0
(
X
;
R
)
{\displaystyle {\mathcal {C}}_{\text{compact}}^{0}(X;\mathbb {R} )}
의 완비화 이다.
리스-마르코프-가쿠타니 표현 정리에 따라, 다음 위상 벡터 공간 들이 서로 동형이다.
C
compact
0
(
N
;
R
)
∗
=
C
0
0
(
N
;
R
)
∗
=
L
1
(
N
;
R
)
{\displaystyle {\mathcal {C}}_{\text{compact}}^{0}(\mathbb {N} ;\mathbb {R} )^{*}={\mathcal {C}}_{0}^{0}(\mathbb {N} ;\mathbb {R} )^{*}=\operatorname {L} ^{1}(\mathbb {N} ;\mathbb {R} )}
여기서
C
compact
0
(
N
;
R
)
=
{
s
∈
R
N
:
∃
N
∈
N
∀
i
≥
N
:
s
i
=
0
}
{\displaystyle {\mathcal {C}}_{\text{compact}}^{0}(\mathbb {N} ;\mathbb {R} )=\{s\in \mathbb {R} ^{\mathbb {N} }\colon \exists N\in \mathbb {N} \forall i\geq N\colon s_{i}=0\}}
는 유한 지지 실수열들의 노름 공간 이다.
C
0
0
(
N
;
R
)
=
{
s
∈
R
N
:
lim
i
∈
N
s
i
=
0
}
{\displaystyle {\mathcal {C}}_{0}^{0}(\mathbb {N} ;\mathbb {R} )=\{s\in \mathbb {R} ^{\mathbb {N} }\colon \textstyle \lim _{i\in \mathbb {N} }s_{i}=0\}}
는 유계 수열로 구성된 바나흐 공간 이며,
C
compact
0
(
N
,
R
)
{\displaystyle {\mathcal {C}}_{\text{compact}}^{0}(\mathbb {N} ,\mathbb {R} )}
의 완비화 이다.
ℓ
1
=
L
1
(
N
;
R
)
=
{
s
∈
R
N
:
∑
i
=
0
∞
|
s
|
<
∞
}
{\displaystyle \ell ^{1}=L^{1}(\mathbb {N} ;\mathbb {R} )=\{s\in \mathbb {R} ^{\mathbb {N} }\colon \textstyle \sum _{i=0}^{\infty }|s|<\infty \}}
는 절대 수렴 실수열들의 바나흐 공간 이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H}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위의 모든
H
→
H
{\displaystyle H\to H}
유계 작용소 들의 폰 노이만 대수
B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B} (H)}
및 그 부분 집합인, 대각합류 작용소 들의 복소수 바나흐 공간
S
1
(
H
)
⊆
B
(
H
)
{\displaystyle {\mathfrak {S}}_{1}(H)\subseteq \operatorname {B} (H)}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S
1
(
H
)
{\displaystyle {\mathfrak {S}}_{1}(H)}
의 연속 쌍대 공간은
B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B} (H)}
와 동형이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A
∈
S
1
(
H
)
{\displaystyle A\in {\mathfrak {S}}_{1}(H)}
및
B
∈
B
(
H
)
{\displaystyle B\in \operatorname {B} (H)}
에 대하여,
⟨
A
,
B
⟩
=
tr
(
A
B
)
=
tr
(
B
A
)
{\displaystyle \langle A,B\rangle =\operatorname {tr} (AB)=\operatorname {tr} (BA)}
이다. (다시 말해, 대각합류 작용소 와 유계 작용소 의 합성 은 항상 대각합류 작용소 이다.)
특히, 이에 따라
S
1
(
H
)
∗
≅
B
(
H
)
{\displaystyle {\mathfrak {S}}_{1}(H)^{*}\cong \operatorname {B} (H)}
위에 약한-* 위상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초약 위상 (超弱位相, 영어 : ultraweak topology )이라고 한다.
C* 대수
A
{\displaystyle A}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이 경우,
A
{\displaystyle A}
의 원쌍대 공간
A
∗
{\displaystyle A_{*}}
은 동형 사상 아래 유일하다.
구체적으로, 만약 어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H}
에 대하여
A
⊆
B
(
H
)
{\displaystyle A\subseteq \operatorname {B} (H)}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A
{\displaystyle A}
의 원쌍대 공간
A
∗
{\displaystyle A_{*}}
는 복소수 선형 변환
ϕ
:
A
→
C
{\displaystyle \phi \colon A\to \mathbb {C} }
가운데,
A
{\displaystyle A}
에 초약 위상을 부여했을 때 연속 함수 가 되는 것들로 구성된 집합이다.
↑ Schaefer, Helmuth H.; Wolff, M. P. (1999). 《Topological vector space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3 2판. Springer. doi :10.1007/978-1-4612-1468-7 . ISBN 978-1-4612-7155-0 . ISSN 0072-5285 . Zbl 0983.46002 .
↑ 가 나 Reed, Michael C.; Simon, Barry (1980). 《Functional analysis》. Methods of moder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 . Academic Press. ISBN 0-12-585050-6 . Zbl 0459.46001 .
↑ Rossi, Stefano (2009). “The Banach–Alaoglu theorem is equivalent to the Tychonoff theorem for compact Hausdorff spaces” (영어). arXiv :0911.0332 . Bibcode :2009arXiv0911.0332R .
↑ Day, Mahlon M. (1940). “The spaces L p with 0<p <1”.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6 (10): 816–823. doi :10.1090/S0002-9904-1940-07308-2 . ISSN 0273-0979 . MR 2700 .
↑ Hartig, Donald G. (1983년 4월). “The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revisited”.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90 (4): 277–280. doi :10.2307/2975760 . ISSN 0002-9890 . JSTOR 2975760 .
↑ Riesz, Frédéric (1907년 6월 24일). “Sur une espèce de Géométrie analytique des systèmes de fonctions sommables” (PDF) .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144 : 1409–1411. 2016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Fréchet, M. (1907). “Sur les ensembles de fonctions et les opérations linéaires”.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144 : 1414–1416.
↑ Riesz, Frédéric (1909). “Sur les opérations fonctionnelles linéaires” (PDF) .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149 : 974–977. 2016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Gray, J. D. (1984). “The shaping of the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a chapter in the history of analysis”. 《Archive for History in the Exact Sciences》 (영어) 31 (2): 127–187. doi :10.1007/BF00348293 . ISSN 0003-9519 .
↑ Markoff, A. (1938). “On mean values and exterior densities” . 《Матема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영어) 4 (1): 165–190. ISSN 0368-8666 . Zbl 0020.10804 .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Kakutani, Shizuo (1941년 10월). “Concrete representation of abstract (M )-spaces (a characterization of the space of continuous function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2 (4): 994–1024. doi :10.2307/1968778 . ISSN 0003-486X . JSTOR 1968778 . MR 0005778 .
↑ Banach, Stefan (1932). “Théorie des opérations linéaires” (프랑스어). 바르샤바 : Instytut Matematyczny Polskiej Akademi Nauk. 2017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Alaoglu, Leon (1940년 1월). “Weak topologies of normed linear space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1 (1): 252–267. doi :10.2307/1968829 . ISSN 0003-486X . JSTOR 1968829 .
↑ Bourbaki, Nicolas (1953). 《Espaces vectoriels topologiques. Chapitres I et II》. Actualités scientifiques et industrielles (프랑스어) 1189 . Hermann. MR 54161 . Zbl 0050.10703 .
↑ Bourbaki, Nicolas (1955). 《Espaces vectoriels topologiques. Chapitres III, IV et V》. Actualités scientifiques et industrielles (프랑스어) 1229 . Hermann. Zbl 0066.35301 .
“Adjoint space”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ak topology”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trong topology”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econd dual space”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Reflexive space”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Dual normed space”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Reflexive Banach space”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Stover, Christopher. “Banach-Alaoglu theorem”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Banach-Alaoglu theorem” . 《nLab》 (영어).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 《nLab》 (영어).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Hilbert spaces)” . 《ProofWiki》 (영어). 2020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Tao, Terrence (2009년 1월 17일). “245B, notes 5: Hilbert spaces” . 《What’s New》 (영어). 2017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Tao, Terrence (2009년 3월 2일). “245B, Notes 12: Continuous functions on locally compact Hausdorff spaces” . 《What’s New》 (영어). 2017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Bertrand, Mike (2015년 5월 24일). “Riesz Proves the Riesz Representation Theorem” . 《Ex Libris》 (영어). 2016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0일에 확인함 .
“Is the topological dual of a Banach space weakly* closed in its algebraic dual?” (영어). Math Overflow.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Algebraic dual / continuous dual” (영어). Math Overflow.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Dual of bounded uniformly continuous functions” (영어). Math Overflow. 2017년 1월 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Johnson, C. (2008년 7월 20일). “The continuous dual space” . 《Mathematics Prelims》 (영어). 2016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