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베르 공간(Baire空間, 영어: Baire space)은 가산 개의 조밀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이 조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점들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정의
편집쇼케 게임
편집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2인(人) 게임을 생각하자.
- 두 선수 갑(甲)과 을(乙)이 있다.
- 갑과 을은 수(手)를 두는 것을 반복하며, 갑이 먼저 수를 둔다. 여기서, 수를 둔다는 것은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 를 고르는 것이다. 수들을 라고 하자. (즉, 갑은 를 두고, 을은 를 둔다.) 각 선수는 이전에 놓인 모든 수(手)들을 알고 있으며, 또한 이어야 한다.
- 만약 라면 갑이 이기며, 아니라면 을이 이긴다.
이를 쇼케 게임(영어: Choquet game) 이라고 한다.[1]:43, Definition 8.10[2]:39–40, §1[3]:234, §4
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2인(人) 게임을 생각하자.
- 두 선수 갑(甲)과 을(乙)이 있다.
- 갑과 을은 수(手)를 두는 것을 반복하며, 갑이 먼저 수를 둔다. 여기서, 수를 둔다는 것은 열린집합과 그 속의 점의 순서쌍 를 고르는 것이다. 수들을 라고 하자. (즉, 갑은 를 두고, 을은 를 둔다.) 각 선수는 이전에 놓인 모든 수(手)들을 알고 있으며, 또한 이며 이어야 한다.
- 만약 라면 갑이 이기며, 아니라면 을이 이긴다.
이를 강한 쇼케 게임(영어: strong Choquet game) 이라고 한다.
베르 공간과 쇼케 공간
편집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베르 공간이라고 한다.
- ㈀ 내부가 공집합인, 임의의 가산 개의 닫힌집합들의 합집합의 내부는 항상 공집합이다.
- ㈁ 임의의 가산 개의 조밀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은 조밀 집합이다.[1]:41, Proposition 8.1(iii)
- ㈂ 제1 범주 열린집합은 공집합 밖에 없다.[1]:41, Proposition 8.1(i)
- ㈃ 모든 제1 범주 집합의 여집합이 조밀 집합이다.[1]:41, Proposition 8.1(ii)
- ㈄ 공집합이거나, 또는 쇼케 게임 에서, 갑이 필승 전략을 갖지 않는다.[1]:43, Theorem 8.11[2]:41, Theorem 1
증명:
조건 ㈀ ⇒ 조건 ㈂: 가 조건 ㈀을 만족시키며, 가 제1 범주 열린집합이라고 하자. 이며, 가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조건 ㈂ ⇒ 조건 ㈃: 가 조건 ㈀을 만족시키며, 가 제1 범주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제1 범주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이다. 따라서 는 조밀 집합이다.
조건 ㈃ ⇒ 조건 ㈁: 가 조건 ㈃을 만족시키며, 가 조밀 열린집합들의 열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제1 범주 집합이다. 따라서, 는 조밀 집합이다.
조건 ㈁ ⇒ 조건 ㈄: 쇼케 게임 의 합법적인 수들로 구성된 나무를 로 쓰자. 에서 갑의 필승 전략 가 주어졌다고 하자. 즉, 는 함수이며,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그렇다면, 에서 조건 ㈁이 거짓임을 보이면 족하다.
라고 쓰자. 초른 보조정리에 따라, 임의의 에 대하여,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극대 집합족이라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 는 서로소 집합들의 집합이다.
그렇다면, 은 의 조밀 집합이다. (만약 가 의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이며, 와 서로소라면, 가 위 두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모순이다.) 이제,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각 는 의 조밀 집합이다. 따라서, 각 는 의 조밀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을 보이면 족하다. 귀류법을 사용하여,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나무 에서, 각 에 대하여 인 극대 사슬 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며, 이는 가 갑의 필승 전략인 것과 모순이다.
조건 ㈄ ⇒ 조건 ㈀: 가 내부가 공집합인, 의 닫힌집합들의 열이지만, 의 내부가 공집합이 아니라고 하자. 그렇다면, 쇼케 게임 에서 갑의 필승 전략을 찾으면 족하다. 지금까지 둔 수가 일 때, 갑이 를 두는 갑의 전략을 생각하자. ( 의 내부가 공집합이므로, 반드시 이다.) 그렇다면, 이므로, 이다. 즉, 이는 갑의 필승 전략이다.
위상 공간 가 공집합이거나, 또는 그 쇼케 게임에서 을이 필승 전략을 갖는다면, 를 쇼케 공간(Choquet空間, 영어: Choquet space)이라고 한다.[1]:Definition 8.12 위상 공간 가 공집합이거나, 또는 그 강한 쇼케 게임에서 을이 필승 전략을 갖는다면, 를 강한 쇼케 공간(Choquet空間, 영어: strong Choquet space)이라고 한다. 따라서, 모든 쇼케 공간은 베르 공간이며, 모든 강한 쇼케 공간은 쇼케 공간이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들은 그 쇼케 게임의 성질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세 종류로 분류된다.
쇼케 게임의 성질 | 갑이 필승 전략을 가짐 | 갑·을 아무도 필승 전략을 갖지 못함 | 을이 필승 전략을 가짐 |
---|---|---|---|
위상 공간의 성질 | 베르 공간이 아닌 공간 | 쇼케 공간이 아닌 베르 공간 | 쇼케 공간 |
성질
편집베르 공간의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이 아니다. 특히, 공집합이 아닌 베르 공간의 제1 범주 집합의 여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다.
함의 관계
편집베르 범주 정리(Baire範疇定理, 영어: Baire category theorem)는 어떤 위상 공간이 베르 공간이 될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두 개의 정리를 일컫는다.[4]:415–417
- (제1 베르 범주 정리)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은 베르 공간이다.[5]:296[6]:97[7]:345[1]:41, Theorem 8.4[8]:57, Theorem I.17.1
- (제2 베르 범주 정리)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베르 공간이다.[9]:234[1]:41, Theorem 8.4[8]:57, Theorem I.17.1
제1 베르 범주 정리의 증명:
제2 베르 범주 정리의 증명:
제1 베르 범주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의존적 선택 공리가 필요하다.[10]
사실, 모든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과 모든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11]:12, Proposition 9.1은 강한 쇼케 공간이다.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에서, “국소 콤팩트”는 모든 점이 콤팩트 국소 기저를 갖는 조건을 일컫는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 | ||||||||
⇘ | ||||||||
강한 쇼케 공간 | ⇒ | 쇼케 공간 | ⇒ | 베르 공간 | ||||
⇗ | ||||||||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 ⇒ |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 |
증명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은 강한 쇼케 공간):
연산에 대한 닫힘
편집베르 공간의 임의의 열린집합은 베르 공간이다.[5]:297[1]:41, Proposition 8.3 마찬가지로, 쇼케 공간의 열린집합은 쇼케 공간이다.[1]:44, Exercise 8.13 그러나 베르 공간의 닫힌집합은 베르 공간이 아닐 수 있다.
증명 (베르 공간의 열린집합은 베르 공간):
베르 공간 조건은 국소적이다. 즉, 위상 공간 X의 모든 점들이 베르 근방을 가질 때 X도 베르 공간이 된다.[5]:299
베르 공간들의 곱공간은 베르 공간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쇼케 공간들의 곱공간은 항상 쇼케 공간이다.[1]:44, Exercise 8.13
가 베르 공간, 가 거리화 가능 공간이라 하자. 이때 연속 함수들의 열 ( )이 어떤 함수 로 점별 수렴한다면, 가 연속 함수인 점들의 집합은 의 조밀 집합이다.[5]:297
예
편집공집합은 (자명하게) 베르 공간이다.
모든 하우스도르프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국소 콤팩트 공간이므로) 베르 공간이다.
모든 폴란드 공간은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이므로) 베르 공간이다.
연속 함수 공간
편집연속 함수의 집합 위에 거리 함수 를 주면, 이는 완비 거리 공간이며, 따라서 베르 공간이다.
적어도 한 점에서 미분 가능한 연속 함수의 집합은 안에서 제1 범주 집합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그 여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다. 이는 어떤 점에서도 미분 가능하지 않은 함수의 예이다.[9]:238–240
유리수에서만 연속인 함수의 부재
편집실수선 는 완비 거리 공간이자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따라서 베르 공간이다.
가 조밀 집합이며, 함수 가 에서 연속 함수라고 하자. 이 경우, 가 연속이 아닌 실수들의 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이다. 무리수의 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이 아니므로, 유리수에서만 연속인 함수는 존재하지 않는다.[9]:237–238
극대 원소 집합
편집연속 dcpo 위에 스콧 위상을 부여하였을 때, 그 극대 원소의 집합 는 강한 쇼케 공간이며, 특히 베르 공간이다.[12]:182, Theorem 5.1
역사
편집실수선 위의 베르 범주 정리는 미국의 수학자 윌리엄 포그 오스굿(영어: William Fogg Osgood, 1864~1943)이 1896년 8월에 최초로 발표하였다.[13][14]
이후 이와 독자적으로 프랑스의 수학자 르네루이 베르가 1899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베르 범주 정리와 제1 범주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15][16]
쇼케 게임은 귀스타브 쇼케(프랑스어: Gustave Choquet, 1915~2006)가 1958년에 도입하였다.[17][18]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Kechris, Alexander Sotirios (1995). 《Classical descriptive set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6.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4190-4. ISBN 978-1-4612-8692-9. ISSN 0072-5285. MR 1321597. Zbl 0819.04002.
- ↑ 가 나 Cao, Jiling; Moors, Warren B. (2006). “A survey on topological games and their applications in analysis” (PDF). 《Revista de la Real Academia de Ciencias Exactas, Físicas y Naturales Serie A Matemáticas》 (영어) 100 (1–2): 39–49. ISSN 1578-7303. Zbl 1114.91024. 2015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 Telgársky, Rastislav (1987). “Topological games: on the 50th anniversary of the Banach–Mazur game”. 《Rocky Mountai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17 (2). doi:10.1216/RMJ-1987-17-2-227. ISSN 0035-7596. MR 892457.
- ↑ 박대희; 안승호 (2009). 《위상수학》. 경문사.
- ↑ 가 나 다 라 마 Munkres, James R. (2000). 《Topology》 (영어) 2판. Prentice Hall. ISBN 978-0-13-181629-9. MR 0464128. Zbl 0951.54001.
- ↑ Rudin, Walter (1987). 《Real and Complex Analysis》 (영어) 3판. McGraw-Hill. ISBN 978-0-07-054234-1. MR 0924157. Zbl 0925.00005.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유정옥 (2006). 《알기쉬운 위상수학》. 교우사.
- ↑ 가 나 Bredon, Glen E. (1993). 《Topology and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39.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757-6848-0. ISBN 978-0-387-97926-7. ISSN 0072-5285.
- ↑ 가 나 다 김승욱 (2004). 《위상수학: 집합론을 중심으로》 2판. 경문사. ISBN 89-7282-587-5.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Blair, Charles E. (1977). “The Baire category theorem implies the principle of dependent choices”. 《Bulletin de l’Académie Polonaise des Sciences. Série des Sciences Mathématiques, Astronomiques et Physiques》 (영어) 25 (10): 933–934. ISSN 0001-4117. Zbl 0377.04011.
- ↑ de Brecht, Matthew; Goubault-Larrecq, Jean; Jia, Xiaodong; Lyu, Zhenchao (2019). “Domain-complete and LCS-complete spaces”. 《Electronic Note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영어) 345: 3–35. arXiv:1902.11142. doi:10.1016/j.entcs.2019.07.014. ISSN 1571-0661. MR 4025962.
- ↑ Martin, Keye (2003). “Topological games in domain theory”.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29 (2): 177–186. doi:10.1016/S0166-8641(02)00147-5. ISSN 0166-8641. MR 1961398. Zbl 1026.06012.
- ↑ Osgood, William Fogg (1897년 4월). “Non-uniform convergence and the integration of series term by term”.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19 (2): 155–190. doi:10.2307/2369589. ISSN 0002-9327. JFM 28.0221.01. JSTOR 2369589.
- ↑ Osgood, William Fogg (1901). “Note on the functions defined by infinite series whose terms are analytic functions of a complex variable; with corresponding theorems for definite integral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3 (1–4): 25–34. doi:10.2307/1967630. ISSN 0003-486X. JFM 32.0399.01. JSTOR 1967630. MR 1502274.
- ↑ Baire, R. (1899). “Sur les fonctions de variables réelles”. 《Annali di Matematica Pura ed Applicata》 (프랑스어) 3: 1–123. doi:10.1007/BF02419243. ISSN 0373-3114. JFM 30.0359.01.
- ↑ Jones, Sara Hawtrey (1999). “Applications of the Baire category theorem”. 《Real Analysis Exchange》 (영어) 23 (2): 363–394. ISSN 0147-1937. MR 1640007. Zbl 0943.26013.
- ↑ Choquet, Gustave (1958년 1월 13일). “Une classe régulière d’espaces de Baire”.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46: 218-220.
- ↑ Choquet, Gustave (1969). 《Lectures on analysis. Volume I: integration and topological vector spaces》 (영어). W. A. Benjamin. MR 0250011.
외부 링크
편집- “Baire spac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aire theor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anach-Mazur gam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Baire spac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Baire category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Baire space”. 《nLab》 (영어).
- “Baire space”. 《Topospaces》 (영어). 2016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 property is open subspace-closed”. 《Topospaces》 (영어). 2016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Completely metrizable implies Baire”. 《Topospaces》 (영어). 2016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Locally compact Hausdorff implies Baire”. 《Topospaces》 (영어). 2016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Definition: Baire space (topology)”. 《ProofWiki》 (영어). 2014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Equivalence of definitions of Baire space”. 《ProofWiki》 (영어). 2017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 space iff open sets are non-meager”. 《ProofWiki》 (영어). 2015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 category theorem”. 《ProofWiki》 (영어). 201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Osgood theorem”. 《ProofWiki》 (영어). 201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Tao, Terry (2009년 2월 1일). “The Baire category theorem and its Banach space consequences”. 《What’s new》 (영어).
- Ma, Dan (2012년 8월 12일). “Baire category theorem and the finite intersection property”. 《Dan Ma’s Topology Blog》 (영어). 2016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Ma, Dan (2012년 6월 2일). “A question about the rational numbers”. 《Dan Ma’s Topology Blog》 (영어). 2016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Ma, Dan (2012년 6월 8일). “The Banach-Mazur game”. 《Dan Ma’s Topology Blog》 (영어). 2016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Salvatore, James (2012년 1월 5일). “Baire category theorem”. 《Dyinglovegrape》 (영어). 2016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Classic applications of Baire category theorem” (영어). Math Over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