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국제영화상
아카데미 국제영화상(Academy Award for Best International Feature Film)은 미국 영화예술과학 아카데미에서 해마다 시상하는 아카데미상의 부문 중 하나로, 2020년 이전에는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Academy Award for Best Foreign Language Fim)이라 불렸다.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제작된 장편영화를 대상으로 삼는 부문이며, 외국어영화상 시절에는 비영어권 언어로 제작된 영화들을 대상으로 삼도록 하였다.[1] 여타 부문과는 달리 미국에서 반드시 상영될 필요는 없다는 조건도 존재한다.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 |
---|---|
수상대상 | 훌륭한 국제영화 |
주최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
장소 | 로스엔젤레스 |
나라 | 미국 |
첫 시상 | 1956년 |
최다 수상 | 이탈리아 (14회) |
최다 후보 | 프랑스 (37회) |
최근 수상 | 존 오브 인터레스트 (2023) |
웹사이트 | www |
1929년 5월 16일 제1회 아카데미상이 거행되고 난 이래, 초창기 아카데미상에는 외국어 영화를 대상으로 한 부문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후 1947년부터 1955년 아카데미상까지 미국 내에서 개봉된 외국어 영화를 대상으로 특별명예상을 수여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특별명예상은 정규부문이 아닌 말 그대로 특별상이었기에 1953년에는 수상작이 없었고, 또 다른 부문과는 달리 경쟁작을 내세우지 않고 단 한 작품만 골라 시상하는 방식이었다. 1956년 제29회 아카데미상부터 비로소 아카데미상 경쟁부문에 '국제영화상'이 생겼으며, 그때부터 오늘날까지 해마다 수여되고 있다.
국제영화상이 여타 부문과 구분되는 또 한가지 특징은, 어느 한 특정 인물 (감독)이나 작품에게 수여되는 상이 아니라 해당작을 제출한 국가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본다는 것이다. 따라서 역대 국제영화상을 집계할 때에도 감독이 아닌 국가별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역대 국제영화상의 대륙별 수여 현황을 살펴보면 2019년 기준으로 유럽 영화가 57편,[2] 아시아 영화가 7편,[3] 아메리카 영화가 5편, 아프리카 영화가 3편으로 유럽에서 제작된 영화가 사실상 독식해 왔다.
국제영화상 최다수상자는 이탈리아의 감독 페데리코 펠리니로 총 네 편의 작품이 국제영화상을 수상하였다. 다만 명예상 시절 기록까지 합치면 역시 같은 이탈리아 출신인 비토리오 데 시카도 네 편을 수상하였다. 최다 수상국은 이탈리아로 수상 실적은 총 14회 (특별상 시절 3회)에 후보지명 28회이다. 후보지명 횟수순으로 따지면 프랑스가 37회에 수상 12회로 (특별상 시절 3회)최다 기록을 갖고 있으며, 수상하지 못한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이 후보로 오른 국가는 이스라엘 (10회)이다. 가장 많이 출품하였지만 한 번도 후보에 오르지 못한 국가는 포르투갈 (34회)이다.
내력
편집1929년 제1회 아카데미상이 개최되었으나 당시 외국어 영화상은 시상되지 않았다. 전후 시대 초기 (1947-1955)에는 8편의 외국어 영화가 특별 또는 명예상을 수상하였다.
수상작
편집1947~1955년
편집아카데미상 경쟁부문이 아닌 특별상, 명예상으로 수여되던 기간의 수상작 목록이다.
연도 |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언어 |
---|---|---|---|---|---|
1947년 (제20회) |
구두닦이 | Sciuscià | 비토리오 데 시카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영어 |
1948년 (제21회) |
뱅상 씨 | Monsieur Vincent | 모리스 클로슈 | 프랑스 | 프랑스어 |
1949년 (제22회) |
자전거 도둑 | Ladri di biciclette | 비토리오 데 시카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50년 (제23회) |
말라파가의 성벽 | Au-delà des grilles Le mura di Malapaga |
르네 클레망 | 프랑스-이탈리아 (합작) |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
1951년 (제24회) |
라쇼몽 | 羅生門 | 구로사와 아키라 | 일본 | 일본어 |
1952년 (제25회) |
금지된 장난 | Jeux interdits | 르네 클레망 | 프랑스 | 프랑스어 |
1953년 (제26회) |
수상하지 않음 | ||||
1954년 (제27회) |
지옥문 | 地獄門 | 기누가사 데이노스케 | 일본 | 일본어 |
1955년 (제28회) |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 宮本武蔵 | 이나가키 히로시 | 일본 | 일본어 |
1955년~1959년
편집연도 |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
1956년 (제29회) | ||||
길 | La Strada | 페데리코 펠리니 | 이탈리아 | |
목로주점 | Gervaise | 르네 클레망 | 프랑스 | |
버마의 하프 | ビルマの竪琴 | 이치가와 곤 | 일본 | |
쾨페닉의 선장 | Der Hauptmann von Köpenick | 헬무트 코이트너 | 서독 | |
키비토크 | Qivitoq | 에릭 발링 | 덴마크 | |
1957년 (제30회) | ||||
카비리아의 밤 | Le notti di Cabiria | 페데리코 펠리니 | 이탈리아 | |
파리의 문 | Porte des Lilas | 르네 클레르 | 프랑스 | |
어머니 인도 | Mother India / मदर इण्डिया | 메부브 칸 | 인도 | |
악마는 밤에 왔다 | Nachts, wenn der Teufel kam | 로베르트 지오드막 | 서독 | |
아홉 생명 | Ni Liv | 아르네 스코우엔 | 노르웨이 | |
1958년 (제31회) | ||||
나의 아저씨 | Mon oncle | 자크 타티 | 프랑스 | |
무기와 인간 | Helden | 프란츠 페터 비르트 | 서독 | |
1년 길이의 길 | La Strada lunda un anno Цеста дуга годину дана |
주세페 데 산티스 | 유고슬라비아 | |
마돈나 거리에서 한탕 | I soliti ignoti | 마리오 모니첼리 | 이탈리아 | |
라 벤간사 | La venganza | 후안 안토니오 바르뎀 | 스페인 | |
1959년 (제32회) | ||||
흑인 오르페 | Orfeu Negro | 마르셀 카뮈 | 프랑스 | |
다리 | Die Brücke | 베른하르트 비키 | 서독 | |
위대한 전쟁 | La grande guerra | 마리오 모니첼리 | 이탈리아 | |
앞발 | Paw | 아스트리드 헤닝 옌센 | 덴마크 | |
강변 마을 | Dorp aan de rivier | 폰스 라데마케르스 | 네덜란드 |
1960년대
편집1970년대
편집연도 |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
1970년 (제43회) | ||||
완전 범죄 | Indagine su un cittadino al di sopra di ogni sospetto | 엘리오 페트리 | 이탈리아 | |
트루게네프의 첫사랑 | Erste Liebe | 막시밀리안 셀 | 스위스 | |
호아빈 | Hoa-Binh | 라울 쿠타르 | 프랑스 | |
들판 위의 평화 | Paix sur les champs | 자크 부아젤로 | 벨기에 | |
트리스타나 | Tristana | 루이스 부뉴엘 | 스페인 | |
1971년 (제44회) | ||||
핀치 콘티니의 정원 | Il giardino dei Finzi-Contini | 비토리오 데 시카 | 이탈리아 | |
도데스카덴 | どですかでん | 구로사와 아키라 | 일본 | |
우트반드라나 | Utvandrarna | 얀 트로엘 | 스웨덴 | |
경찰관 | השוטר אזולאי | 에브라임 키숀 | 이스라엘 | |
차이코프스키 | Чайковский | 이고르 탈란킨 | 소련 | |
1972년 (제45회) | ||||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 Le Charme discret de la bourgeoisie | 루이스 부뉴엘 | 프랑스 | |
이곳의 새벽은 고요하다 | А зори здесь тихие | 스타니슬라프 로스토츠키 | 소련 | |
사랑해 로자 | אני אוהב אותך רוזה | 모셰 미즈라히 | 이스라엘 | |
가장 귀중한 여인 | Mi querida señorita | 하이메 데 아르미냔 | 스페인 | |
새로운 땅 | Nybyggarna | 얀 트로엘 | 스웨덴 | |
1973년 (제46회) | ||||
아메리카의 밤 | La Nuit américaine | 프랑수아 트뤼포 | 프랑스 | |
첼루체 거리의 집 | הבית ברחוב שלוש | 모셰 미즈라히 | 이스라엘 | |
초대 | L'Invitation | 클로드 고레타 | 스위스 | |
고독한 보행자 | Der Fußgänger | 막시밀리안 셸 | 서독 | |
사랑을 위한 죽음 | Turks Fruit | 폴 버호벤 | 네덜란드 | |
1974년 (제47회) | ||||
아마코드 | Amarcord | 페데리코 펠리니 | 이탈리아 | |
고양이의 놀이 | Macskajáték | 코로이 모크 | 헝가리 | |
크미치스 | Potop | 예지 호프만 | 폴란드 | |
뤼시앵의 청춘 | Lacombe Lucien | 루이 말 | 프랑스 | |
휴전 | La Tregua | 세르히오 레난 | 아르헨티나 | |
1975년 (제48회) | ||||
데르수 우잘라 | Дерсу Узала | 구로사와 아키라 | 소련 | |
마루시아에서 온 편지 | Actas de Marusia | 미구엘 리틴 | 멕시코 | |
약속의 땅 | Ziemia obiecana | 안제이 바이다 | 폴란드 | |
산다칸 8번 창관 망향 | サンダカン八番娼館 望鄕 | 구마이 게이 | 일본 | |
여인의 향기 | Profumo di donna | 디노 리시 | 이탈리아 | |
1976년 (제49회) | ||||
흑과 백 | La Victoire en chantant | 장 자크 아노 | 코트디부아르 | |
사촌들 | Cousin, cousine | 장 샤를 타셸라 | 프랑스 | |
야콥의 거짓말 | Jacob, der Lügner | 프랑크 바이어 | 동독 | |
밤과 낮 | Noce i dnie | 예지 안차크 | 폴란드 | |
일곱 미인 | Pasqualino Settebellezze | 리나 베르트뮐러 | 이탈리아 | |
1977년 (제50회) | ||||
마담 로사 | Madame Rosa | 모셰 미즈라히 | 프랑스 | |
이피게네이아 | Ιφιγένεια | 미카일 카코야니스 | 그리스 | |
벼락 작전 | מבצע יונתן | 메나헴 골란 | 이스라엘 | |
특별한 날 | Una giornata particolare | 에토레 스콜라 | 이탈리아 | |
욕망의 모호한 대상 | Cet obscur objet du désir (프) Ese oscuro objeto del deseo (스) |
루이스 부뉴엘 | 스페인 | |
1978년 (제51회) | ||||
손수건을 꺼내라 | Préparez vos mouchoirs | 베르트랑 블리에 | 프랑스 | |
유리방 | Die gläserne Zelle | 한스 W. 가이센되르퍼 | 서독 | |
헝가리인들 | Magyarok | 졸탄 파브리 | 헝가리 | |
이탈리아 만세 | I nuovi mostri | 마리오 모니첼리 디노 리시 에토레 스콜라 |
이탈리아 | |
하얀 여자 검은 귀 | Белый Бим Чёрное ухо | 스타니슬라프 로스토츠키 | 소련 | |
1979년 (제52회) | ||||
양철북 | Die Blechtrommel | 폴커 슐뢴도르프 | 서독 | |
윌코의 소녀들 | Panny z Wilka | 안제이 바이다 | 폴란드 | |
엄마는 백 번을 돈다 | Mamá cumple cien años | 카를로스 사우라 | 스페인 | |
어떤 이혼녀 | Une histoire simple | 클로드 소테 | 프랑스 | |
베네치아를 잊기 위해 | Dimenticare Venezia | 프랑코 브루사티 | 이탈리아 |
1980년대
편집연도 |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
1980년 (제53회) | ||||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 Москва слезам не верит | 블라디미르 멘쇼프 | 소련 | |
믿음 | Bizalom | 이슈트반 사보 | 헝가리 | |
카게무샤 | 影武者 | 구로사와 아키라 | 일본 | |
마지막 지하철 | Le Dernier Métro | 프랑수아 트뤼포 | 프랑스 | |
둥지 | El nido | 하이메 데 아르미냔 | 스페인 | |
1981년 (제54회) | ||||
메피스토 | Mephisto | 이슈트반 사보 | 헝가리 | |
우리 배는 다 찼다 | Das Boot ist voll | 마르쿠스 임후프 | 스위스 | |
철의 사나이 | Człowiek z żelaza | 안제이 바이다 | 폴란드 | |
진흙강 | 泥の河 | 오구리 고헤이 | 일본 | |
삼형제 | Tre fratelli | 프란체스코 로시 | 이탈리아 | |
1982년 (제55회) | ||||
재출발 | Volver a empezar | 호세 루이스 가르시 | 스페인 | |
알시노와 콘도르 | Alsino y el cóndor | 미구엘 리틴 | 니카라과 | |
대청소 | Coup de torchon |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 프랑스 | |
독수리호의 모험 | Ingenjör Andrées luftfärd | 얀 트로엘 | 스웨덴 | |
사생활 | Частная жизнь | 율리 라이즈만 | 소련 | |
1983년 (제56회) | ||||
화니와 알렉산더 | Fanny och Alexander | 잉마르 베리만 | 스웨덴 | |
카르멘 | Carmen | 카를로스 사우라 | 스페인 | |
우리들 사이 | Coup de foudre | 디안 퀴리 | 프랑스 | |
욥의 반항 | Jób lázadása | 이마레 디왼디외시 바르나 카바이 |
헝가리 | |
르 발 | Le Bal | 에토르 스콜라 | 알제리 | |
1984년 (제57회) | ||||
위험한 행마 | La Diagonale du fou | 리샤르 당보 | 스위스 | |
장벽을 넘어서 | מאחורי הסורגים | 유리 바바슈 | 이스라엘 | |
카밀라 | Camila | 마리아 루이사 벰베르그 | 아르헨티나 | |
동시 상영 | Sesión continua | 호세 루이스 가르시 | 스페인 | |
전시의 로맨스 | Военно-полевой роман | 표트르 토도르프스키 | 소련 | |
1985년 (제58회) | ||||
오피셜 스토리 | La historia oficial | 루이스 푸엔조 | 아르헨티나 | |
전장의 로망스 | Bittere Ernte | 아그니스츠카 홀란트 | 서독 | |
레들 대령 | Oberst Redl | 이슈트반 사보 | 헝가리 | |
세 남자와 아기 바구니 | Trois Hommes et un couffin | 콜린 세로 | 프랑스 | |
아빠는 출장중 | Отац на службеном путу | 에미르 쿠스투리차 | 유고슬라비아 | |
1986년 (제59회) | ||||
한밤의 암살자 | De aanslag | 폰스 라데마케르스 | 네덜란드 | |
38 | 38 – Auch das war Wien | 볼프강 글뤽 | 오스트리아 | |
베티블루 | 37°2 le matin | 장 자크 베네 | 프랑스 | |
아메리카 제국의 몰락 | Le Déclin de l'empire américain | 데니스 아칸드 | 캐나다 | |
나의 작은 마을 | Vesničko má středisková | 이르지 멘젤 | 체코슬로바키아 | |
1987년 (제60회) | ||||
바베트의 만찬 | Babettes gæstebud | 가브리엘 악셀 | 덴마크 | |
굿바이 칠드런 | Au revoir les enfants | 루이 말 | 프랑스 | |
완성된 길 | Asignatura aprobada | 호세 루이스 가르시 | 스페인 | |
가족 | La famiglia | 에토레 스콜라 | 이탈리아 | |
길라잡이 | Ofelaš (사미) Veiviseren (노르) |
닐스 고이프 | 노르웨이 | |
1988년 (제61회) | ||||
정복자 펠레 | Pelle Erobreren | 빌레 아우구스트 | 덴마크 | |
하누센 | Hanussen | 이슈트반 사보 | 헝가리 | |
가면 속의 아리아 | Le maître de musique | 제라르 코르비오 | 벨기에 | |
살람 봄베이 | Salaam Bombay! सलाम बॉम्बे |
미라 나이르 | 인도 | |
신경쇠약 직전의 여자 | Mujeres al borde de un ataque de nervios | 페드로 알모도바르 | 스페인 | |
1989년 (제62회) | ||||
시네마 천국 | Nuovo cinema Paradiso | 주세페 토르나토레 | 이탈리아 | |
까미유 끌로델 | Camille Claudel | 브뤼노 뉘탕 | 프랑스 | |
몬트리올의 예수 | Jésus de Montréal | 데니스 아칸드 | 캐나다 | |
아름다운 시절 | Dansen med Regitze | 카스파르 로스트루프 | 덴마크 | |
산티아고에서 생긴 일 | Lo que le pasó a Santiago | 하코보 모랄레스 | 푸에르토리코[4] |
1990년대
편집2000년대
편집2010년대
편집2020년대
편집연도 | 제목 | 원제 | 감독 | 국가 |
---|---|---|---|---|
2020/21년 (93회) | ||||
어나더 라운드 | Druk | 토마스 빈터베르 | 덴마크 | |
소년시절의 너 | Shàonián dě nǐ (少年的你) | 정궈샹 | 홍콩 | |
콜렉티브 | Colectiv | 알레그잔데르 나나우 | 루마니아 | |
더 맨 후 솔드 히스 스킨 | The Man Who Sold His Skin | 카우테르 벤 하니아 | 튀니지 | |
쿠오바디스, 아이다 | Quo Vadis, Aida? | 야스밀라 주바니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2021년 (94회) | ||||
드라이브 마이 카 | Doraibu mai kā (ドライブ・マイ・カー) | 하마구치 류스케 | 일본 | |
나의 집은 어디인가 | Flugt | 요나스 포헤르 라스무센 | 덴마크 | |
신의 손 | È stata la mano di Dio | 파올로 소렌티노 | 이탈리아 | |
교실 안의 야크 | লুনানা | 파우 초이닝 도르지 | 부탄 | |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 | Verdens verste menneske | 요아킴 트리에르 | 노르웨이 | |
2022년 (95회) |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 Im Westen nichts Neues | 에드바르트 베르거 | 독일 | |
아르헨티나, 1985년 | Argentina, 1985 | 산티아고 미트레 | 아르헨티나 | |
클로즈 | Close | 뤼카스 돈트 | 벨기에 | |
EO | IO | 예지 스콜리모프스키 | 폴란드 | |
말없는 소녀 | An Cailín Ciúin | 콤 바이레아드 | 아일랜드 | |
2023년 (96회) | ||||
존 오브 인터레스트 | The Zone of Interest | 조너선 글레이저 | 영국 | |
이오 카피타노 | Io Capitano | 마테오 가로네 | 이탈리아 | |
퍼펙트 데이즈 | Perfect Days | 빔 벤더스 | 일본 | |
안데스 설원의 생존자들 | La sociedad de la nieve | 후안 안토니오 바요나 | 스페인 | |
티처스 라운지 | Das Lehrerzimmer | 일케르 차타크 | 독일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80th Academy Awards – Special Rules for the Best Foreign Language Film Award”. 2007년 제80회 아카데미상 홈페이지.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여기서 유럽 영화에는 소련 영화와 구소련 국가 영화 (후보 14회, 수상 4회)도 포함된다. 특별명예상 시절 기록도 포함하며, 이탈리아 영화 2회와 프랑스 영화 2회, 이탈리아-프랑스 합작 영화 (말라파가의 벽, 1949년작) 1회가 된다.
- ↑ 명예상 시절 일본 영화 3편 포함
- ↑ 푸에르토리코는 미국의 자치령이지만 이 당시만 해도 외국어영화상에 출품이 가능했다. 따라서 1989년 제62회 아카데미상 외국어영화상 부문에는 사상 처음으로 푸에르토리코 작품이 최종후보로 올랐다. 2011년 이후로는 규정 변경으로 푸에르토리코의 참가가 불가능하게 됐다.
- ↑ 후보 자격을 상실했다. 원래는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작품 자체가 우루과이가 아닌 아르헨티나에서 제작되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아카데미측이 최종 후보에서 배제시켰다.
- ↑ 가 나 영어가 아닌 웨일스어로 제작된 영화였기에 외국어영화상 부문에 출품이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