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단조
바단조(-短調)는 바(F)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의 조성이다. 음계는 기본적으로 F, G, A♭, B♭, C, D♭, E♭로 되어있다.
다른 언어 이름 | |
---|---|
영어 | F minor |
독일어 | F-moll |
프랑스어 | Fa mineur |
이탈리아어 | Fa minore |
관계조 | |
나란한조 | 내림가장조 |
같은으뜸조 | 바장조 |
딸림조 | 다단조 |
버금딸림조 | 내림나단조 |
구성음 | |
F, G, A♭, B♭, C, D♭, E♭ |
음계와 화음 종류
편집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이 조성의 음악
편집바단조의 유명한 작품으로는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2번, 발라드 4번, 하이든의 교향곡 49번, 라 파시오네,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 4번 등이 있다.
글렌 굴드(Glenn Gould)는 자신이 어떤 조성이라도 될 수 있다면 바단조가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왜냐하면 "복잡함과 안정감의 중간, 직립과 음탕함, 회색과 진한 색조 사이... 어느 정도 경사가 있다"는 것 때문이다.[1]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는 바단조를 비참하고 우울하다고 묘사한 적이 있다. 크리스티안 슈바르트(Christian Schubart)는 이 조성을 "깊은 우울증, 장례적 애도, 비참한 신음, 무덤에 대한 그리움"으로 묘사했다.[2]
유명 작품
편집- 안토니오 비발디
- 사계 중 "겨울", RV 297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 하프시코드 협주곡 5번
- "Ich ruf zu dir, Herr Jesu Christ", BWV 639
- 요제프 하이든
- 교향곡 49번
- 변주곡 바단조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피가로의 결혼 제4막 중 아리아 "L'ho perduta, me meschina"
- 기계식 오르간을 위한 환상곡 K.594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에그몬트 Op. 84: 서곡
- 피아노 소나타 1번, Op. 2/1
-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 Op. 57
- 현악 4중주 11번 (세리오소), Op. 95
- 펠릭스 멘델스존
- 카를 마리아 폰 베버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 프레데리크 쇼팽
- 발라드 4번, Op. 52
- 환상곡 바단조, Op. 49
- 에튀드 Op. 10, 9번
- 에튀드 Op. 25, 2번
- 전주곡 Op. 28, 18번 "Suicide"
- 피아노 협주곡 2번, Op. 21
- 녹턴, Op. 55 1번
- 마주르카, Op. 63, 2번
- 마주르카, Op. 68, 4번
- 샤를 발랑탱 알캉
- 전주곡, Op. 31, 2번
- 피아노 독주를 위한 교향곡, 2악장
- 프란츠 리스트
- 장송곡
- 초절기교 연습곡 10번
- 3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2번 "La leggierezza"
- 프란츠 슈베르트
- 요하네스 브람스
- 피아노 5중주 Op. 34
- 피아노 소나타 3번 Op. 5
- 표트르 차이콥스키
- 안톤 브루크너
- 미사 3번
- 알렉산드르 보로딘
- 현악 5중주
- 폴 뒤카스
- 레이프 본 윌리엄스
- English Folk Songs
- 교향곡 4번
- 튜바 협주곡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교향곡 1번
- 현악 4중주 11번, Op. 122
그 외
편집바로 아래 문단의 조성, 표기가 복잡한 올림마단조의 이명동조로써 그 조성을 대체할 경우에도 바단조가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바로 아래 문단 참고 바람.
올림마단조
편집올림마단조(-短調)는 올림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이론적의 조성 중 하나로, 기본적으로 E♯, F , G♯, A♯, B♯, C♯, D♯로 되어있는 단음계이다. (나란한조인 올림사장조와 마찬가지로,) 조표에는 총 8개의 올림표가 있으며, 이는 겹올림표 1개와 기본 올림표 6개로 되어있다. 이 조성은 조표에 올림표가 총 7개 있는 올림가단조에서 바로 딸림조이다. 올림마단조의 이명동조로는 바단조가 있으며, 바단조와 서로 이명동조 관계다. 다만,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바단조로 대체한다. 이명동조인 바단조는 총 4개의 내림표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올림마단조보다 선호된다. 올림마단조는 이명동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직접적인 조표는 사용되지 않았고,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3번의 17~22마디에서 일시적으로 이 조성이 사용되었다.
다른 언어 이름 | |
---|---|
영어 | E-sharp minor |
독일어 | Eis-moll |
프랑스어 | Mi dièse mineur |
관계조 | |
나란한조 | 올림사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내림가장조 |
같은으뜸조 | 올림마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바장조 |
딸림조 | 올림나단조 (이론적) →이명동조: 다단조 |
버금딸림조 | 올림가단조 |
이명동조 | 바단조 |
구성음 | |
E♯, F , G♯, A♯, B♯, C♯, D♯ |
올림마단조의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올림마단조 음계의 화음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으뜸화음 (Im) - E♯ 단화음
- 웃으뜸화음 (IIdim) - F♯♯ 감화음
- 가온화음 (III) - G♯ 장화음
- 버금딸림화음 (IVm) - A♯ 단화음
- 버금가온화음 (VI) - C♯ 장화음
- 이끎화음 (VII) - D♯ 장화음
한편, 19-TET, 31-TET의 경우처럼 E♯과 F가 서로 다른 음을 내어 올림마단조와 바단조가 서로 이명동조 관계에서 벗어나는 음률에선 이 조성이 그대로 사용되어야 할 수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Cathering Meng, Tonight's the Night (Apostrophe Books, 2007): 21
- ↑ “Musical Key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