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사장조
올림사장조(-長調)는 이론적의 조성 중 하나로, 올림사 (G♯)를 으뜸음으로 하는 장음계이다. 음계는 G♯, A♯, B♯, C♯, D♯, E♯, F로 구성되어 있다. (나란한조인 올림마단조와도 더불어,) 조표에는 올림표가 총 8개 있으며, 이는 겹올림표 1개와 기본 올림표 6개로 되어있다.[1] 이 조성은 조표에 올림표가 총 7개 있는 올림다장조의 딸림조이자, 올림표 총 5개인 올림사단조의 같은으뜸조이다. 올림사장조의 이명동조로는 내림가장조가 있으며, 대체 표기 가능하다. 다만,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로 대체 사용한다.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는 총 4개의 내림표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보다 선호된다. 이명동조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직접적인 조표 형태로는 매우 드물며, 다른 조표 사용 도중 필요한 임시표를 사용하여 쓰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른 언어 이름 | |
---|---|
영어 | G-sharp major |
독일어 | Gis-dur |
관계조 | |
나란한조 | 올림마단조 (이론적) →이명동조: 바단조 |
같은으뜸조 | 올림사단조 |
딸림조 | 올림라장조 (이론적) →이명동조: 내림마장조 |
버금딸림조 | 올림다장조 |
이명동조 | 내림가장조 |
구성음 | |
G♯, A♯, B♯, C♯, D♯, E♯, F |
이 조성, 올림사장조의 음계는 다음과 같다.
이 조성의 음악
편집이 조성은 조표에 올림표가 총 8개로써, 겹올림표 1개와 기본 올림표 6개로 되어있는 반면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는 조표에 총 4개의 내림표만 있기 때문에 보통은 올림사장조보다 선호된다. 다만, 올림사장조는 이명동조인 내림가장조를 쓰지 않더라도 여러 작품에서 간헐적인 형태로 등장하기도 한다. 직접적인 조표 형태가 아니면서 다른 조표 사용 도중 필요할때마다 적절한 임시표를 매번 사용하는 것으로라도 말이다. 특히,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The Well-Tempered Clavier의 올림다장조의 전주곡과 푸가의 10~12마디에서 등장한다. (아래 참조)
그 외에 올림사장조는 매우 극소수로 직접적인 조표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존 파울즈(John Foulds)의 《A World Requiem》의 마지막 페이지는 올림사장조로 쓰여져 있으며, F 를 포함한 정확한 조표가 표시되어 있다. 해당 조표는 위의 음계에 쓰여있는 (악보 편집 프로그램) 릴리폰드 예제와 같이 C♯로 시작하여 F 에서 끝난다. 즉, C♯, G♯, D♯, A♯, E♯, B♯, F 로 되어있다.[2] 악보 편집 프로그램인 릴리폰드의 기본 표기법도 이러하다.
한편, 19-TET, 31-TET 혹은 순정률처럼 G♯과 A♭의 음높이가 다른 경우, 이 조성을 아예 그대로 사용해야 할 수 있다.
음계의 화음 종류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homas Busby (1840). 〈G-sharp major〉. 《A Dictionary of Three Thousand Musical Terms》. revised by J. A. Hamilton. London: D'Almaine. 55쪽.
- ↑ "John Foulds: A World Requiem (1921), Wise Music Class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