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창왕후

고려 의조의 왕후
(용녀에서 넘어옴)

원창왕후(元昌王后, 생몰년 미상)는 고려추존 왕후(追尊王后)로, 추존왕(追尊王) 의조(懿祖) 작제건(作帝建)의 부인(夫人)이자 태조 왕건(太祖 王建)과 왕식렴(王式廉)의 할머니이다. 경헌왕후(景獻王后)라고도 한다[5].

원창왕후
元昌王后
추존왕후(追尊王后)
고려 의조의 왕비
대관식 원창왕후(元昌王后)
전임 정화왕후(貞和王后)
후임 위숙왕후(威肅王后)
추촌(追尊) 왕후(王后)
재위 ?~?
고려(高麗) 추촌왕후(追尊王后)
재위 ?~?
이름
저민의(翥旻義)[1]용녀(龍女)[2]
이칭 미상(未詳)
별호 대부인(大夫人)
묘호 미상(未詳)
시호 원창(元昌) 경헌(景獻)
존호 원창왕후(元昌王后)
법명 미상(未詳)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生年 未詳)
출생지 미상(未詳)
사망일 몰년 미상(沒年 未詳)
사망지 미상(未詳)
국적 미상(未詳)
성별 여성(女性)
왕조 고려(高麗)
가문 평주(平州)[3]
부친 서해(西海)용왕(龍王)
각간(角干) 두은점(豆恩坫)
모친 미상(未詳)
형제자매 미상(未詳)
배우자 의조(懿祖)
자녀 4남 1녀
세조(世祖)
왕평달(王平達)
개성 왕씨(開城 王氏)
개성 왕씨(開城 王氏)
개성 왕씨(開城 王氏)
기타 친인척 태조(太祖)
왕식렴(王式廉)
왕신(王信)
왕육(王育)
왕희순(王希順)
왕삼순(王三順)
왕만세(王萬歲)
개성 왕씨(開城 王氏)
종교 불교(佛敎)
묘소 미상(未詳)
능묘 온혜릉(溫鞋陵)[4]

생애

편집

이름은 용녀(龍女), 또는 저민의(渚旻義, 또는 焉旻義)[6]로 전하며, 성씨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다. 《편년통록》에서는 작제건(의조)이 자신의 아버지가 당나라 황제인 숙종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그쪽으로 가다가 서해상에서 풍랑을 만나 한 섬에 내렸는데, 이때 서해 용왕의 맏딸이던 그녀를 만나 결혼했다고 전한다. 이후 작제건과 용녀는 용왕에게서 돼지 한 마리를 선물로 받았는데, 이 돼지가 알려준 송악산 기슭에 터를 잡고 아들들을 낳으며 살게 된다[7]. 현대의 학자들 중 일부는 일련의 이 이야기들을 《삼국유사》의 〈거타지설화〉등을 비롯한 여러 설화를 취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고대의 설화를 인용하여 조상들을 등과 결부시켜 신격화하고, 왕실의 혈통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라는 것이다[8][9].

전설에 의하면 그는 서해 용왕의 딸로서 자신이 우물로 들어가는 것을 보지 말라고 작제건에게 일렀다고 한다. 그러나 호기심을 이기지 못한 작제건이 용녀를 훔쳐보자, 작제건의 신의없음을 꾸짖고 서해로 가서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작제건은 용녀의 신발로 대신 장사를 치렀다 한다. 한편 고려 왕실의 족보격인 《성원록》은 그녀의 출신이 평주 (황해도 평산)[10]이며, 아버지는 두은점 각간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1].

작제건과의 사이에서 아들 넷을 낳았는데[12], 그 중 장남이 태조 왕건의 아버지 용건이다.

용녀는 고려가 개국된 이듬해인 919년(태조 2년) 음력 3월 13일 태조가 자신의 3대 조상을 추존할 때 남편 작제건은 의조경강대왕(懿祖景康大王)으로, 그녀는 원창왕후(元昌王后)[13] 또는 경헌왕후(景獻王后)로 추존되었다[5]. 그녀의 능은 어디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가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출처

편집
  1. 21222324 편년통록(編年通錄) 편년강목(編年綱目)
  2. 313233 성원록(聖源錄)
  3. 고구려(高句麗) 멸망(滅亡) 직전 고구려(高句麗)의 삼경(三京) 가운데 하나였던 한성(漢城)과 함께 신라(新羅)에 귀부한 대곡성(大谷城)이 있던 곳이다. 같은 고구려(高句麗) 유민(劉閔) 출신(出臣)으로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의 명장(明長)으로서 이름을 떨친 유금필(庾今弼)과 평주(平州) 호족(豪族文) 박지윤(朴遲胤)의 아들인 박수문(朴守)의 출신지(出臣地)이기도 하다.
  4. 2019년 7월 21일에 북한(北韓) 김일성(金日成)종합대학 역사학부와 유관기관의 인력이 원창왕후(元昌王后)의 능묘(陵墓)인 온혜릉(溫鞋陵)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및 발굴을 마치고 북한(北韓)의 국보 유적으로 등록했다.
  5.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 구도 개성 유후사
  6. (23) 용녀 저민의가 왕건의 할머니가 된 까닭 《한겨레》, 2005년 4월 28일, 조현설
  7. (시론)‘부귀의 상징’ 돼지 해 《경향신문》, 2006년 12월 29일, 임장혁
  8.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작제건설화〉 항목
  9. 거타지설화의 현장을 찾아서 《프레시안》, 2007년 11월 20일, 김대식
  10. http://www.surname.info/local/pyeongju.htm
  11.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의조경강대왕〉 항목”. 2016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9일에 확인함. 
  12. (홍순래의 꿈으로 본 역사)〈19〉고려 건국 이야기 《스포츠경향》, 2007년 5월 21일, 홍순래
  13. 《고려사》권1〈세가〉권1 - 태조 2년 3월 - 3대의 시호를 추존하다
  14. 편년통록》 등에 기록된 설화에 의함
  15. 성원록》 등의 기록에 의함
  16. 보육, 보전의 형인 이제건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