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일본사
음력 날짜에 대하여
편집음력 날짜의 경우 '메이지 원년'과 같은 식으로 연호를 붙였을 경우에는 그 뒤에 음력 날짜를 기입하는 것으로 하고, 만약 '1868년'이라는 서력 햇수를 쓴 뒤에는 양력 날짜를 기입하는 것으로 하는 건 어떻습니까? -- 耿君 (토론) 2009년 5월 17일 (일) 16:40 (KST)
- 이 부분은 메이지 시대 이전 인물에서는 음력을 명기했으면 합니다. 현재 인물에서는 연호를 쓸필요가 없다고 봅니다만...그리고, 경군님처럼 저도 연호를 붙인 후, 음력이라고 명시하던지, 아니면 문서의 처음 단락에 이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생년월 및 몰년월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간간히 보이니 말이죠. --Gwpei (토론) 2009년 6월 7일 (일) 09:10 (KST)
- 혹시 일본인에 대한 연호 사용을 금지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31 (KST)
- @ChongDae:, @Shyoon1:, @Salamander724:, @Asfreeas:, @Kanghuitari:, @Cheleesb: @Wikitori: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31 (KST)
- @Tablemaker: 귀하의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32 (KST)
- 정확히 말하자면, 계속 안썼으니 안쓰고 있는 것이지요. 여기는 일본어 위키백과도 아니고요. 오래된 토론 문단에 추가하지 마시고 아래에 새로 문단을 개설해 의견 요청 틀을 기술하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34 (KST)
분류에 관해서
편집이건 너무 엄두가 나지 않지만, 개략적으로 인물을 서술시 xx 시대의 인물까지만 하고, 중복되는 일본 사람이나 xx 시대는 없앴으면 합니다. 물론 아직 xx 시대의 인물이란 분류가 생성되지 않았지만, 차차 만들어갑시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7일 (일) 09:13 (KST)
- 그러면 일단 분류 생성은 안되었으나, '메이지 시대의 인물', '다이쇼 시대의 인물' 하는 식으로 분류를 하는 것으로 할까요? -- 耿君 (토론) 2009년 6월 9일 (화) 14:07 (KST)
- 그래야 될것 같기도 하고, 현대인물이라 안해야 될것 같기도 하고 애매하네요. 근데 하는 게 좋지 않을 까요?--Gwpei (토론) 2009년 6월 14일 (일) 14:21 (KST)
일단 일본의 시대별 분류(분류:센고쿠 시대 등)와 시대별 일본 사람를 정리했습니다. 기존 문서를 정리할 때 참고해주세요. 우선 분류:일본 사람 빼는게 우선일듯 싶네요. -- ChongDae (토론) 2009년 6월 18일 (목) 14:53 (KST)
분류:사무라이의를 분류:부시로 변경하고 일본어판 처럼 대략으로 옮겨오는 쪽이 좋지 않을까요?--Gwpei (토론) 2009년 6월 18일 (목) 21:53 (KST)
한자 병기에 관해서
편집가독성 고려와 링크가 있는 문서가 있기 때문에 한자를 병기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전 되도록이면 한자를 병기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만은, 동음이의가 존재할 경우에 한해서 사용했으면 합니다. 어찌들 생각하시는 지요.--Gwpei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07:54 (KST)
- 한자 병기라서 관심이 있어서 물어봅니다. 예로 들면 어떤 거지요? -- 윤성현 論 · 기여 · F.A 2009년 6월 29일 (월) 07:55 (KST)
센고쿠 시대#지역별 판도, 마쓰다이라 기요야스,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 등 여러 문서가 있겠지요.--Gwpei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07:59 (KST)
- 아하 그런 거 말인가요? 일단 링크가 있는 것들 중에서 직접적으로 사건/인물과 상관이 있다면 표기해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만약 링크가 걸려있지 않는 경우에는 지우는게 좋겠죠. -- 윤성현 論 · 기여 · F.A 2009년 6월 29일 (월) 08:01 (KST)
- 그것도 어느 정도 한도 내에서 겠지요. 명확히 이거다 저거다 할 정도는 아니지 않습니까? 물론 센고쿠 시대의 지역별 판도 정도는 가독성에도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고 인물과 성씨에 한해 적고 있어 괜찮은 감도 들지만, 기준을 세운 후, 이에 맞추어 나가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역시 찬반이 나뉘겠지만, 절충하다 보면 좋은 기준이 서리라고 봅니다. 또, 일본사에서는 연호도 있기 때문에 연호와, 옛 지명 및 현 지명을 보족으로 설명할 경우 문서가 복잡해지기 쉽상입니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08:07 (KST)
- 일단 과도한 병기는 지양해야지요. -- 윤성현 論 · 기여 · F.A 2009년 6월 29일 (월) 08:11 (KST)
- 그것도 어느 정도 한도 내에서 겠지요. 명확히 이거다 저거다 할 정도는 아니지 않습니까? 물론 센고쿠 시대의 지역별 판도 정도는 가독성에도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고 인물과 성씨에 한해 적고 있어 괜찮은 감도 들지만, 기준을 세운 후, 이에 맞추어 나가는 것이 옳다고 봅니다. 역시 찬반이 나뉘겠지만, 절충하다 보면 좋은 기준이 서리라고 봅니다. 또, 일본사에서는 연호도 있기 때문에 연호와, 옛 지명 및 현 지명을 보족으로 설명할 경우 문서가 복잡해지기 쉽상입니다. --Gwpei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08:07 (KST)
- 하긴 저도 습관적으로 왠만한 일본어 문서와 영어문서를 옮겨 적을때 한자와 영어표기를 많이 쓰는 편입니다. 나중에 보면 글이 좀 보기가 어렵게 되더군요. 저는 주로 지명과 인명에 한해서만 허용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또한 본문 내용중에서 첫부분에만 등장한다면 이후 내용에는 병기는 하지 않아도 되는 식으로 하면 좋겠네요. 초코벌레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18:16 (KST)
- 저는 한자병기가 가독성을 과하게 해친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위키는 백과사전입니다. 가독성보다는 충실하고 정확한 정보의 전달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과도한 병기는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동일 문서 상에서 처음 등장할 때에만 병기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저는 아직 위키의 방침을 확실하게 숙지하고 있지 않아서 제가 생각하는 것이 방침과 배치되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또 제가 과문하여 이리 생각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사쿠라바 (토론) 2009년 6월 29일 (월) 20:46 (KST)
제 생각을 말하지요. 일단 항목의 표제어는 한자를 병기합니다. 그리고 다른 표제어로 링크를 걸 수 있는 경우는 한자 병기를 하지 않습니다. 항목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내용, 특히 지명이나 인명, 별명 등에 대해서는 한자를 병기합니다. 동음이의어의 문제가 예상될 경우 한자를 병기합니다. 제가 최근에 편집한 문서들은 그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한자 병기를 하고 있습니다. -- 耿君 (토론) 2009년 6월 30일 (화) 00:08 (KST)
- 경군님 토론방 보다가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영어 알파벳이나 한자의 병기는 필요하다면 꼭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한글 표기만 가지고는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간혹 있을 수 있고, 정보 전달의 차원에서도 유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사에는 큰 관심은 없으나 일본사 프로젝트에만 한정될만한 사안은 아닌 것 같아 의견을 남깁니다. adidas (토론) 2009년 6월 30일 (화) 23:14 (KST)
일본의 역사서 표제어
편집일본서기, 고지키, 속일본기, 육국사 등 일본의 역사서의 표제어에 대한 의견을 구합니다. 각 각의 책들이 일반 대중과 전문가 집단에서 어떻게 불리는지 알려주세요. --케골 (토론) 2009년 9월 23일 (수) 14:14 (KST)
- 일본사 연구하시는 분들 사이에서 서적의 경우는 한국어 한자음읽듯이 읽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일본서기, 고사기, 속일본기 등 우리가 읽듯이 그냥 읽히지요. 물론 히라가나 읽듯 읽어야 하는 부분이 있으면 그렇게 읽기도 하지요. 하지만 그 외에 우리나라에 잘 알려진 책이 아닌 경우 중구난방적으로 읽힙니다. "万葉集"의 경우 만요슈로도, 만엽집으로도 읽히지요. 그리고 역사 연구자 이외의 경우는 니혼쇼키, 고지키 등 일본어 발음대로 저술하시는 경우도 꽤 있어요. --Mr.SamA (토론) 2011년 10월 17일 (월) 00:35 (KST)
오키타 소지
편집신선조 대장 중 한명인 오키타 소지 문서가 없어서 작성하려고 보니 과거에 두차례 문서가 삭제된 적이 있더군요. 여기에 물어보는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삭제된 문서를 다시 작성해도 될까요? 혹시 또 삭제되는게 아닌가 싶어서 의견을 물어봅니다. --슈가레이 (토론) 2009년 10월 24일 (토) 22:13 (KST)
- 제가 살펴본 바로는, 저작권에 문제가 있어서 두 차례 삭제된 듯 합니다. 지금 만들려는 문서의 내용이 어디선가 베낀 것인데 그 출처를 모르신다면 만들지 않는 것이 좋고, 만약 정확한 출처를 표기할 수 있다면 만들어도 될 듯 합니다.Tinystui (토론) 2009년 10월 24일 (토) 22:16 (KST)
- 일본 위키 백과를 번역해서 옮기려고 하는건데요, 그건 괜찮겠지요? 타 언어 위키백과를 번역해서 옮기는 것은 허용되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슈가레이 (토론) 2009년 10월 25일 (일) 15:03 (KST)
- 네 괜찮습니다. 인터위키를 달면 더 좋겠네요. [[ja: ]] <-이 안에 일본어 문자를 넣으면 되거든요.Tinystui (토론) 2009년 10월 26일 (월) 00:31 (KST)
- 넵. 그럼 마음놓고 작업할 수 있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슈가레이 (토론) 2009년 10월 26일 (월) 10:00 (KST)
- 네 괜찮습니다. 인터위키를 달면 더 좋겠네요. [[ja: ]] <-이 안에 일본어 문자를 넣으면 되거든요.Tinystui (토론) 2009년 10월 26일 (월) 00:31 (KST)
- 일본 위키 백과를 번역해서 옮기려고 하는건데요, 그건 괜찮겠지요? 타 언어 위키백과를 번역해서 옮기는 것은 허용되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슈가레이 (토론) 2009년 10월 25일 (일) 15:03 (KST)
- 제가 살펴본 바로는, 저작권에 문제가 있어서 두 차례 삭제된 듯 합니다. 지금 만들려는 문서의 내용이 어디선가 베낀 것인데 그 출처를 모르신다면 만들지 않는 것이 좋고, 만약 정확한 출처를 표기할 수 있다면 만들어도 될 듯 합니다.Tinystui (토론) 2009년 10월 24일 (토) 22:16 (KST)
토론:구니에서 "야마토노쿠니"와 "야마토 국"의 두 표기법에 대한 토론이 진행중입니다. 의견 남겨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11일 (목) 01:29 (KST)
일본 천황 항목들에 대한 대대적 수정이 필요한 듯 합니다
편집지금 일본의 천황들 항목에 대한 기여를 살펴보면 마치 기계번역을 한 듯한, 이해도가 떨어지고 문장의 의미를 알수 없는 그런 글로 채워져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가끔씩 수정을 해나가고는 있습니다만 혼자서는 역부족이네요. 일본사 프로젝트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모두 함께 대대적으로 수정, 가필을 해나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일단 제안해봅니다. -- 耿君 (토론) 2010년 3월 16일 (화) 15:09 (KST)
- 이른바 "파울로 스팸"으로 판단되네요. :(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16일 (화) 22:26 (KST)
미번역 문서
편집위키백과토론:위키프로젝트 일본#영어 위키백과에만 있는 문서에 있는 많은 문서가 일본 역사와 관계된 것이네요. 특히 러일 전쟁 관련 문서가 눈에 띕니다. 관심있는 분은 참여해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0년 4월 19일 (월) 13:52 (KST)
최근 ~노쿠니가 ~국으로 표제어 표기 방식을 바꿈에 따라 (에치젠노쿠니 → 에치젠 국), 임의로 표제어가 설정된 동조궁 부분도 일관성 있게 표기법을 변경하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새 토론을 엽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구능산은 고유 지명사이므로 구노잔으로 바꾸고, 동조궁은 도쇼구나 도쇼 궁으로 갔으면 하는데요. --유민 (話す·奇与) 2010년 7월 3일 (토) 12:11 (KST)
관직 표기에 대하여
편집일본 관직의 표기에 대해서 일본식 발음과 그냥 한자음 중 어느쪽으로 하는 쪽이 나을지 의견을 구합니다. 일단 저는 일본식으로 읽는 쪽으로 쓰고는 있지만, 검색해보니 대신은 태정대신, 좌대신 등이 한자 표현으로 많이 쓰이고 표제어로도 올라가 있고, 간파쿠나 셋쇼는 일본식 표현이 더 많아서 혼란스럽네요. --Dies127 (토론) 2010년 7월 29일 (목) 00:21 (KST)
두 문서의 병합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20:48 (KST)
- 쇼군으로의 병합 의견을 냅니다. 다른 언어판은 현재 (영어,독어,프랑스어 등의 판은 쇼군)이고 (일본어, 중국어 등의 판은 정이대장군)입니다. 일본어, 중국어판이 정이대장군이라고 한 것은 한자어라는 표의문자를 쓰고 있기 때문에 將軍이라는 표기만으로는 일본의 쇼군을 나타낼 수 없고 보통명사인 장군이라는 단어와 혼동되기 때문에 구별할 필요성이 아주 크기 때문입니다. 그에 비해 표음문자를 쓰고 있는 영어, 독어, 프랑스어 등은 그렇게 구별할 필요도 없고 쇼군이라는 이름으로 더 널리 그 언어권에 알려졌습니다. 한국어는 어떠한가? 일단 표의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쇼군이라고만 써도 보통 명사 장군과의 혼동 여지는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어권에도 정이대장군이나 세이이타이쇼군보다는 쇼군이라는 명칭으로 더욱더 많이 알려져있고 이 명칭이 더욱더 저명성이 있습니다. 여러 인터위키와 한국어에서의 용례를 두루 고려했을 때 쇼군 쪽으로의 병합의견을 냅니다. --hun99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21:03 (KST)
- 방금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이미 병합을 하셨군요..[1] 한국어 백과사전에서도 쇼군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쇼군으로의 이동을 의견제시합니다. --hun99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21:33 (KST)
- 분류 정리하는 김에 일단 토론:세이이타이쇼군에 따라 (임시로) 병합을 한 것입니다. 결론에 따라 나중에 옮기거나 되돌리겠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21:50 (KST)
- 방금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이미 병합을 하셨군요..[1] 한국어 백과사전에서도 쇼군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쇼군으로의 이동을 의견제시합니다. --hun99 (토론) 2010년 8월 3일 (화) 21:33 (KST)
토론:세이이타이쇼군에도 관련토론이 있습니다. 다른 판에서는 구분을 하지 않지만, 이 토론에는 쇼군과 정이대장군이 다른 말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케골 2010년 8월 3일 (화) 22:22 (KST)
- ja:大将軍이 참고가 될 듯 싶네요.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4일 (수) 01:17 (KST)
안녕하세요? 백제와 관련된 편집을 하다가, 틀:육국사를 봤는데, 명칭이 다 한국식이더라구요. 왜 그런 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어식으로 고쳤으면 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가람 (토론 · ↺) 2010년 8월 7일 (토) 00:03 (KST)
- 먼저 토론:일본서기, 토론:고서기 등을 살펴보세요. 오랜 논쟁거리입니다. 이 토론문서의 위에도 있고요.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1:30 (KST)
다치바나 가문
편집ja:橘氏와 ja:立花氏의 두 성씨가 있네요. 영어 위키백과(en:Tachibana clan)에서는 구게와 사무라이로 구분했는데요. 어떤 식으로 동음이의 처리하는게 좋을까요?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20일 (금) 11:14 (KST)
- 발음상 우리나라에서 구분하기가 무리이기 때문에 "다치바나"라는 표기에 한자를 병기하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다치바나 씨(일본어: 橘氏)와 다치바나 씨(일본어: 立花氏)로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Mr.SamA_Shun (토론) 2011년 10월 19일 (수) 08:57 (KST)
- 다치바나 씨 문서도 최근에 만들어졌습니다. 한자 병기 말고 다른 방식은 없을까요? -- ChongDae (토론) 2013년 3월 12일 (화) 11:12 (KST)
본성에 대해
편집앞서 토론이 나왔습니다만, 프로젝트 문서에 보면 본성에 붙이는 '노'를 생략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도요토미와 같이 일본 측에서 관행적으로 노를 붙이지 않는 본성도 있기는 합니다만, 이는 매우 예외적이고 다이라나 후지와라, 미나모토 등의 뒤에는 노를 붙여야 합니다. 언급된 '고'는 본성이 아니기 때문에 본성 뒤에 '노'를 붙여야하는지 논할 때 거론될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명자에 '노'를 붙여야 하는지에 대해 논할 때 거론해야하겠지요.
제가 과문한 탓일지 모르겠습니다만, 본성으로 쓰인 다이라나 후지와라, 미나모토 등에 '노'를 붙이지 않은 경우가 있는가요? 아니라면 수정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Sielrace (토론) 2010년 9월 21일 (화) 01:17 (KST)
개인적으로 조금씩 만들어 나가려고 했지만, 워낙 일본의 관제 문서들이 방대하여 프로젝트 내 하위문서로 생성하고, 참가자들의 도움을 요하고자 합니다. 먼저, ja:日本の官制(일본어 위키피디아 일본의 관제 문서)를 완성하고, 해당 문서 내에 들어있는 각 관위 문서들을 번역하여 일본의 관위 문서들을 살찌우는게 목표입니다. 일본사에 관련된 인물 문서 대부분이 각 인물이 가지고 있던 작위나 관위들을 함께 서술하고 있으므로 해당 문서의 완성은 일본사 문서 내에서 매우 비중있는 역할을 차지하리라 봅니다. 많은 관심과 도움 부탁드립니다. --비엠미니 2012년 7월 28일 (토) 14:14 (KST)
현재 일본어의 한글 표기안에서 일본사에 관련된 서술에는 통용 표기를 사용할 지, 국립국어원 표기를 사용할 지 정확히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국립 국어원 표기가 자리잡고 있는 점에 미루어, '만화·애니메이션의 경우 대한민국 내의 출판사·방송사에서 공식적으로 쓰는 이름, 또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이름을 기준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라는 방침과 달리 일본사에서는 국립 국어원 표기를 사용하자는 점을 지침화 하는게 좋다고 생각하여 총의를 모아보고 싶습니다. 의견 부탁드립니다. --비엠미니 2012년 12월 28일 (금) 01:17 (KST)
- 국립국어원에서 권장하는대로 발음을 하다보면, 솔직히 말해 원음과 많이 차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이버 사전에서 히라가나를 들어보면 ... 국립국어원의 표기가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차라리 특정 학자가 권고한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Asfreeas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23:50 (KST)
다이코와 셋쇼
편집일본어 문서를 보다 보면 어떤 것은 일본식 독음, 어떤 것은 한국식 독음을 한 예를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다이코와 셋쇼겠죠. 다이코나 간파쿠의 경우 한국어식으로는 태합, 관백으로 불립니다만, 한국사에서 이런 관직이 있었던 예를 알지 못합니다. 반면 셋쇼(섭정)의 경우 한국사에서도 사용된 용어지요. 한국사에도 등장한 명칭은 한국식, 등장하지 않은 것은 일본식으로 하겠다는 합의가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혹은 기존의 토론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adidas (토론) 2013년 12월 2일 (월) 18:08 (KST)
- 없었을 것입니다. 본 프로젝트의 토론란 이외에는 일본사 관련 논의가 거의 전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표기 규칙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이네요. --비엠미니 2013년 12월 2일 (월) 18:11 (KST)
- 바쿠후가 아니라 막부라 쓰는 걸 볼때, 한국사에서 등장했는지 여부도 기준이 아닐 겁니다. 문서를 작성하시는 분에게 익숙한 표기가 쓰인 뒤, 특별히 바꿔야 할 만한 이유를 느끼지 못해 유지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아칠루스 (토론) 2013년 12월 2일 (월) 18:28 (KST)
- 동양사학회나 일본사학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참고하는 것이 좋을 것 같군요. 해당 학회에서 최근 발행한 논문집 등을 참고해서요. 일본사학회에서 발간한 《아틀라스 일본사》에서 표기 원칙을 어떻게 세웠는지 살펴보아 일본사 표기 원칙을 정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천리주단기 (토론) 2013년 12월 2일 (월) 18:48 (KST)
- 쇼군이나 다이묘의 예를 보면 관직은 일본식 표기로 정착된 것 같기도 하고.. 하여간 헷갈리네요 ㅎㅎ adidas (토론) 2013년 12월 2일 (월) 21:02 (KST)
- 좌대신, 우대신이나 율령제의 근본인 천황 또한 덴노가 아닌 천황이라고 표기하기에... 최근 관제 내 관직 문서들을 생성중입니다만, 저 또한 임의대로 생성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비엠미니 2013년 12월 2일 (월) 21:12 (KST)
《일본근세의 쇄국과 개국》, 야마구치 게이지 저, 김현영 역, 혜안, 1993.
인명·지명·연호는 일본어 발음대로 표기하고 각 문장의 처음에 한하여 괄호 속에 한자를 표기하였다. 관직명, 신분, 제도와 관련된 역사용어는 두 가지로 표기하였다. 먼저 한자를 우리 발음으로 읽어도 이해 가능한 것은 우리 발음으로 적되, 처음 나올 때는 일본어 발음을 괄호 안에 표기하였다. 예:대관(代官 다이칸)
두 번째는 쇼군(將軍)이나 다이묘(大名), 하타모토(旗本)처럼 한자 발음보다는 일본어 발음이 이미 익숙해져 있는 경우, 게라이(家來)나 지자무라이(地侍)처럼 한자를 우리 발음으로 그대로 표기하면 이해가 곤란한 경우에는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적었다.
마지막으로 한자를 우리 발음으로 읽을 경우 오해의 소지가 있는 단어나 대체 가능한 우리 말이 있는 경우는 우리 말로 바꾸어 표기하되, 처음 나올 때에 원래의 한자와 일본어 발음을 괄호 안에 표기하였다. 예:농민(百姓 햐쿠쇼), 시중단속명주(市中取締名主)
집에 있는 일본사 책 중 일본어 표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 살펴보다가 올려봅니다. --천리주단기 (토론) 2013년 12월 2일 (월) 23:28 (KST)
폭탄 투척
편집현재 일본의 "가문" 관련 문서 및 분류들은 가격(~~ 家)과 씨족(~~ 氏)이 구분없이 모두 "가문"으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이를 구분하고 바로잡을 필요가 있습니다만, 한두개가 아닌지라 혼자 일 벌리기는 좀 께름칙합니다. 최근 일본사 관련 기여를 하시는 분들을 호출해서 도움과 의견을 받아보고저 합니다. @Asfreeas: @Yoyoma88: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4일 (일) 14:16 (KST)
- 진짜 이문제는 바로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14:18 (KST)
- 의견 저도 이쪽 작업을 하려고 했는데 .... 아시다시피 아직 일본 문화에 대해서는 문외한인지라 .... 우선 의견을 주시고 목록화 시켜주시면 조금씩 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구분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 어떤 경우에 가문(家)이라고 하고, 어떤 경우 씨(氏)라고 할 것인가?
- 무엇을 우선적으로 작업할 것인가?
- 항상 처음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단 최소한 1인당 10개씩만 해도 30개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우선 순위를 두자면 숫자 분류에 따른 일본의 대표 성씨 30개 같은 것보다 .... 다치바나 씨, 아소 씨, 아베 씨, 후지와라 가문 역사적으로 빈출 순위가 높은 것부터 했으면 합니다.--Asfreeas (토론) 2016년 1월 24일 (일) 23:40 (KST)
- 일본위키 분류에 적힌 것 처럼 家, 氏로 분류 하던데 이것들처럼 가문(家), 씨(氏)라고 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그리고 씨와 우지(둘다 한자로 氏...)의 개념 분류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1월 25일 (월) 20:25 (KST)
- 단순히 일본어 위키에서 "家" 로 끝나는 것은 "가" (예: 후지와라 북가), "氏" 로 끝나는 것은 "씨" (예: 와키자카 씨) 로 일대일대응하는 것만으로도 일단의 대략적 방향은 충분할 것 같습니다. "우지" 에 해당하는 문서들도 일본어에서 그냥 氏 로 끝나는 것이 많은 바, "우지"라고 하지 말고 "씨 (일본)" 이라고 하는 게 맞아 보이고요. 사실 이보다 문제는 헤이케(헤이 가)나 겐지(미나모토 씨) 처럼 "가" 및 "씨"의 일본어 발음이 붙은 것 자체로 유명해져서 굳은 경우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7일 (수) 00:12 (KST)
일단 분류:일본의 씨족을 만들었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7일 (수) 01:36 (KST)
향토삼영걸의 씨족부터 시작해서 위아래로 가지치듯이 진행합시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27일 (수) 01:52 (KST)
@Salamander724: 이런 토론이 있었는지는 몰랐네요. 호출하시지 않은 점 대단히 유감입니다.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1월 30일 (토) 04:06 (KST)
- 오히려 이런 곳에서야말로 핑을 걸어주세요. 저번같이 개인 토론에서 제 이름 언급하신것 보다야는 여기가 낫지 않나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1월 30일 (토) 04:23 (KST)
- @Salamander724: 의견을 물었는데도 계속 할 편집만 하시는군요. 다른 사람에 대한 의도적인 무시로 알겠습니다. 필요없을땐 핑하면서, 관심 있어 하는 분야에 대해서는 싹 무시를 하시네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1월 30일 (토) 04:56 (KST)
- @Shyoon1: 이 정도로 불렀는데도 무시한다면 갈 곳은 한곳밖에 없겠군요. 죄송합니다. 사관 갑니다.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1월 30일 (토) 07:08 (KST)
- 이제사 확인했습니다. 지난달 무렵부터 심장에 안 좋아서 핑 알림을 꺼 놓고 있습니다. 현재 받아보는 알림은 생성한 문서 연결, 감사 두 개 뿐입니다. 최초 토론 개설 당시에 불러 드리지 못한 것도 죄송합니다. 다만 의도적으로 배제하려는 게 아니라 단순히 잊은 것 뿐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2월 2일 (화) 15:39 (KST)
@Shyoon1: 그러고 보니 상술했듯 다른 가문들과 달리 평씨와 원씨는 타이라 씨, 미나모토 씨 가 아니라 음독을 해서 헤이시, 겐지라고 하고 있는데 이 두 씨족이 특별히 달리 취급받는 이유가 있는가요? 함께 4대씨족으로 불리는 후지와라 씨나 타지바나 씨는 음독을 하지 않으니 그저 의문스럽습니다. 찾아봐도 잘 안 나와서 전공자분께 여쭤보고자 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2월 3일 (수) 04:46 (KST)
- 답변이 조금 늦었습니다. 슬쩍 찾아보았는데, 겐지랑 헤이시는 그 뿌리가 황족인지라 다른 두 성인 후지와라나 타치바나보다 더 특별히 대우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다른 가문은 그냥 타치바나, 후지와라라고 부르는데 유독 겐지랑 헤이시만 훈독(미나모토, 타이라)이 아닌 음독으로 불렸다는게 이 둘이 황족이었지만 천황으로부터 성을 받아 신적강하된 황족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고 추측이 된다고 하더라구요. 물론 정확한 이유는 아직 잘 모르고 대충 이 정도로 추측이 된다로 보시면 됩니다.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2월 4일 (목) 09:07 (KST)
- 그렇다면 겐지와 헤이시 문서 제목은 그대로 간다 이말씀이군요. 문제는 겐지 문서인데 (동음이의) 처리해야하는건지 '겐지'라는 대표문서로 해야하는건지 겠군요. Yoyoma88 (토론) 2016년 2월 6일 (토) 16:30 (KST)
일본어판에서는 사용치 않는 방법이지만, 신찬성씨록에 따라 "황별 씨족", "신별 씨족", "제번 씨족" 분류를 만들어 씨족들을 세부 분류하는 건 어떨까요? 지금 "씨 (일본)" 분류와 "일본의 씨족" 분류는 너무 {{바글바글}}해 보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19일 (토) 02:54 (KST)
- 일단 위의 이전 토론에 참여하신 분들을 먼저 호출하겠습니다. @Shyoon1: @Yoyoma88: @Asfreeas: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3월 19일 (토) 02:55 (KST)
- 신적강하의 용어도 있고 씨족의 유래도 알 수 있으니 좋은 생각인것 같습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3월 19일 (토) 02:58 (KST)
- 세세히는 아니더래도 크게는 분류하는게 보기에도 좋겠죠. 호출에 이제서야 응했네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3월 24일 (목) 16:06 (KST)
일본의 번 이름 동음이의어 처리
편집번 이름이 겹치는 경우, 가메야마 번 (단바 국) 식으로 하고 있는데, 일본어 위키백과의 예(丹波亀山藩)를 따라 "단바 가메야마 번"으로 표제어를 하는게 어떨까요? 물론 한자 표기가 다르지만 음만 같은 야나가와 번 같은 경우에도 확장해서 "무쓰 야나가와 번" 식으로 쓸지에 관한 의견도 듣고 싶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13:01 (KST)
- 처음에는 단바 가메야마 번 으로 제목이 되어있었는데 어떤 분이 가메야마 번 (단바 국) 으로 바꾸셨더군요. 저는 그의 선례에 따라 바꾸는 작업에 동조하였고 ChongDae님의 의견에 따라 다시 구니를 앞에 붙이고 번 이름을 적는다는 것에 대해 반대의사는 없습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14:51 (KST)
- 문제는 야나가와 번 같이 한국어 발음이 같고 한자가 다른데 구니를 붙인다는 것이 의문이긴 합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14:54 (KST)
- 일본어판에서 그런 표현을 사용한다면 현지 사용례를 우선하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5월 9일 (월) 14:55 (KST)
- 소마 나카무라 번 같이 번주의 성을 따서 부르는 경우도 있네요. -- ChongDae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17:00 (KST)
- 생각해 보니 쓰시마 후추 번 같은 선례도 있군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5월 9일 (월) 18:28 (KST)
- 번 이름이 같으면 일단 동음이의 문서를 만들고 세부문서로 구니-번이름 으로 만드는게 좋을듯 합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21:48 (KST)
- 분류:다카야마 번주 를 보자면 다카야마 번을 일본 내에선 히다다카야마한 으로 많이 불리는 것 같습니다. 그걸 참고해서 히다 다카야마 번 으로 표기해도 무방할듯 합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21:51 (KST)
- 번 이름이 같으면 일단 동음이의 문서를 만들고 세부문서로 구니-번이름 으로 만드는게 좋을듯 합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5월 9일 (월) 21:48 (KST)
- 생각해 보니 쓰시마 후추 번 같은 선례도 있군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5월 9일 (월) 18:28 (KST)
- 가리야 번도 한자 표기가 다른 경우네요. 그런데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하나는 그냥 "가리야 번", 다른 하나는 "가즈사 가리야 번"으로 되어 있습니다. 구니 이름을 붙여 부르는 규칙이나 관례가 있는걸까요? -- ChongDae (토론) 2016년 5월 10일 (화) 09:59 (KST)
일본어의 음독 제목 명칭 통일
편집@ChongDae:, @Shyoon1:, @Salamander724:, @Asfreeas: 다름이 아니오라 센고쿠 다이묘 - 전국대명, 센고쿠 무장-전국무장, 슈고 다이묘-수호대명, 슈고다이-수호대 등의 일본어 음독이 있는데 이를 제목처리의 통일이 필요 한 것 같습니다. 어떤 문서 제목은 음독으로 읽히고 어떤 문서 제목은 한자를 한글 발음 그대로 읽는 경우가 있어서 혼동이 올 수 있기 때문이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Yoyoma88 (토론) 2016년 5월 23일 (월) 19:10 (KST)
- "다이묘"가 "대명"으로 사용되는 예는 거의 없기 때문에 이건 그냥 "다이묘" 사용을 유지하면 될 거 같습니다. 그 외에 수호와 수호대는 관백, 대신, 정이대장군 등이 그렇듯이 한자 음차를 하는 것이 의미 이해에 좋다고 생각하기에, 이를 조합하면 "수호 다이묘" 를 생각할 수 있겠네요. 센고쿠의 경우에는 현재 센고쿠 시대라는 메인 문서의 표제어가 "센고쿠"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전국"으로 수정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명확하지 않다면 "전국"을 사용하는 것은 반대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5월 23일 (월) 19:15 (KST)
위키백과의 외래어 표기법 준수
편집외래어 표기법을 찾아보니 일본의 인명,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사용자들이 중국의 인명, 지명 표기법을 일본어에도 적용시키는데 이는 잘못이라고 여겨집니다. 하물며 백과사전 사이트인데도 외래어 표기법을 무시해서야 되나요? 단지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라고 나왔는데 도쿄(동경) 정도 있네요. Yoyoma88 (토론) 2016년 6월 13일 (월) 23:59 (KST)
- @ChongDae:, @Shyoon1:, @Salamander724:, @Asfreeas:, @Kanghuitari:, @Cheleesb: Yoyoma88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17:05 (KST)
- @Sjsws1078: Yoyoma88 (토론) 2016년 7월 2일 (토) 20:26 (KST)
- 누가 그런 편집을 했는지 모르겠지만, 그것이 잘못된 것입니다.--Wikitori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39 (KST)
- @Yoyoma88: 외래어표기법은 특정 기관의 권장안일 뿐입니다. 백:표기를 참고해주세요. --거북이 (토론) 2019년 10월 8일 (화) 23:33 (KST)
분류:전후 일본.. , 분류: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편집분류 중에 전후 일본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전전 일본과 일본 제국이 혼재되어있는데 이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Yoyoma88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17:02 (KST)
- @ChongDae:, @Shyoon1:, @Salamander724:, @Asfreeas:, @Kanghuitari:, @Cheleesb: Yoyoma88 (토론) 2016년 6월 14일 (화) 17:05 (KST)
- @Yoyoma88: 저는 일본 현지에서 사용하는 어휘(전전, 전후)를 따랐으면 좋겠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6월 25일 (토) 23:10 (KST)
- 분류 문서는 표제어를 따르는 것이 원칙입니다. 현재 표제어는 전후 일본이네요.--Wikitori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38 (KST)
- @Yoyoma88: 봇을 이용, 대부분 "전후"로 바꾸었습니다. 분류명 중간에 있거나 괄호 등이 있는 경우는 빼고요. -- ChongDae (토론) 2019년 10월 28일 (월) 14:57 (KST)
- 감사합니다!! Yoyoma88 (토론) 2019년 10월 28일 (월) 15:15 (KST)
일본인에 대한 연호 사용에 대해
편집한국사 관련인(한민족) 및 중국사 관련인(중국인, 만주인 등)에 대해서는 연호사용이 이루어지는 걸 확인 했습니다. 가령 이순신, 홍무제, 순치제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사 관련인(일본인)에 대해선 연호 사용이 되어있지 않다는 주장이 있어서 토론을 개설하였습니다. 그 외 베트남인도 연호 사용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를 확인 하였습니다. 한민족, 중국인, 만주인 등은 연호 사용이 허용되고 일본인은 연호 사용이 불가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연호 사용이 한자 문화권에선 이루어 지는 경우가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정도 있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50 (KST)
- @ChongDae:, @Shyoon1:, @Salamander724:, @Asfreeas:, @Kanghuitari:, @Cheleesb:, @Wikitori:, @Tablemaker: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8일 (월) 18:50 (KST)
-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어권의 독자들이 일본식 연호에 익숙할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연호만을 적는다면 (예를들어 쇼와 12년...) 한국어권 독자들은 쇼와가 몇년부터 몇년까지인지 모르기 때문에 다시 검색을 해야 하며, 그레고리력과 연호를 함께 기술할 것이라면 뭐하러 연호를 적었는지도 의문이군요. 같은 의미(xxxx년)를 전혀 다른 두 개의 방식으로 두 번 표현하기 위해? — Tablemaker 2016년 8월 8일 (월) 19:16 (KST)
- 추가로, 토론에 이렇게 일방적으로 소환하지는 말아주세요. 별로 관심이 없는 주제입니다. — Tablemaker 2016년 8월 8일 (월) 19:22 (KST)
- 개인토론이 아닌 단체 토론참여 부탁을 드린거였습니다. 기분이 상하셨다면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10일 (수) 09:40 (KST)
- 추가로, 토론에 이렇게 일방적으로 소환하지는 말아주세요. 별로 관심이 없는 주제입니다. — Tablemaker 2016년 8월 8일 (월) 19:22 (KST)
-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어권의 독자들이 일본식 연호에 익숙할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연호만을 적는다면 (예를들어 쇼와 12년...) 한국어권 독자들은 쇼와가 몇년부터 몇년까지인지 모르기 때문에 다시 검색을 해야 하며, 그레고리력과 연호를 함께 기술할 것이라면 뭐하러 연호를 적었는지도 의문이군요. 같은 의미(xxxx년)를 전혀 다른 두 개의 방식으로 두 번 표현하기 위해? — Tablemaker 2016년 8월 8일 (월) 19:16 (KST)
그간 유지되어 왔던 관례를 고치고 싶다면 "의견 요청"을 열라고 했는데, 일방적으로 임의의 사용자를 소환하는 발상은 어디서 나오신 겁니까. 말도 없이 계속 되돌리는 것도 변하지 않았네요.--Wikitori (토론) 2016년 8월 10일 (수) 04:03 (KST)
- 아직 위키백과 사용이 미숙한지라 "의견 요청" 여는 방법을 잘 모릅니다. 방법을 아신다면 어디서 열면되는지요? 여기서 말하는 것이 잘못된겁니까?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10일 (수) 09:40 (KST)
반 은퇴한 사람을 계속 이렇게 핑 거는 것은 좀 그렇네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6년 8월 11일 (목) 08:12 (KST)
- 그동안 고생 많으셨습니다. 숙지할게요. Yoyoma88 (토론) 2016년 8월 21일 (일) 22:02 (KST)
역사 관련 토론 참여 요청
편집안녕하세요. 모두 수고 많으십니다. 현재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8년 제5주에 사용자:신비한님의 최근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임진왜란을 비롯한 역사 및 정치 문서 기여 및 편집에 대한 논란이 있어 이에 대한 이용자들 간에 토론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곳에는 역사에 관하여 관심 있으신 분들이나 전문가들이 많으실 테니까 괜찮으시다면, 시간 내서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Liturgy (토론) 2018년 2월 2일 (금) 14:57 (KST)
일본 관련 관직의 한국식 음독 표기 또는 일본식 원어 표기
편집어느 사용자는 일본 관련 관직을 한국식 음독으로 표기하고 또 다른 사용자는 이를 일본식 음독으로 바꾸었는데 제대로 된 총의가 이뤄지지않아 개개인의 의견을 듣고자 토론을 개최합니다. Yoyoma88 (토론) 2019년 10월 8일 (화) 12:50 (KST)
- 개인적으론 어느표기든 상관없지만 외래어표기법은 준수해야한다는 뜻은 있습니다. 위키백과 일본관련 제목 앞단어에 'ㅛ'는 들어가지 않기에 말이죠. Yoyoma88 (토론) 2019년 10월 8일 (화) 12:50 (KST)
"XX도코로" 같은 예외사례를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이 이미 한자 음독으로 통일되어 있는 상태 아닌가요? 🦎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9년 10월 8일 (화) 20:47 (KST)
DBpia의 경우
- 오사카 죠다이 : 성대 0 / 조다이 0 / 죠다이 2 [2]
- 마치부교 : 정봉행 1 / 마치부교 20
등입니다. 에도 막부의 직제는 막부에서 만들었기때문에 중국과 다릅니다. 그에 비해 메이지유신기의 직제는 율령제로 회복시킨 것이 많으므로 중국과 유사하고 우리와도 비슷한게 꽤 있죠. 따라서 막부의 직제는 일본어식 / 메이지 이후의 직제는 한국한자음으로 부르는 것이 많습니다만, 그 와중에도 예외는 있습니다. 정이대장군을 세이이다이쇼군이라 부르지 않는거죠. 원칙은 있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어떤 것이 많이 쓰이는지 빈도만 조사해서 사용하면 될 일입니다. --거북이 (토론) 2019년 10월 8일 (화) 22:56 (KST)
- 한자의 한국식 독음과 그 한자를 표기하고, 일본식 독음을 모두 표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기소(일본어: 碁所 고도코로[*])와 같이 표기하는 것입니다.——라노워엘프 푸르게 (토론) 2019년 10월 10일 (목) 23:05 (KST)
별다른 이견 없으면 이 방향으로 정리할까 합니다.
- 에도시대 직제는 일본어식을 기본으로, 율령제에 기반한 직제 특히 메이지 유신 이후의 직제는 한국한자음을 기본으로 한다
- 기존 연구자들 다수가 사용중인 용어인지 그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최종 확정한다
- 분류와 기타 등등 관련 문서명 변경은 천천히 정리한다
--거북이 (토론) 2019년 10월 17일 (목) 00:08 (KST)
- 동의 거북이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율령제에 기반한 구니도 **국으로 표시되어있고말이죠. 하나 의문은 **노'카미', **노'료' 등 해당 부분도 전부 한국식 음독표시해야하는건지 궁금해지네요. Yoyoma88 (토론) 2019년 10월 17일 (목) 22:48 (KST)
- 원칙만 정한 것이니까요. 이런저런 케이스를 좀 더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요즘 일본 근세/근대 전공자들과 종종 얘기하면서 작업하므로 전문가 검토는 계속 받을 예정입니다. --거북이 (토론) 2019년 10월 18일 (금) 00:58 (KST)
일본의 관제
편집일본의 관제 에도 막부 근대 일본의 관제를 일단 손봤습니다. 명칭 일관성 등은 빈도 확인해가며 하나씩 고쳐나갈 예정입니다. --거북이 (토론) 2020년 6월 28일 (일) 23:53 (KST)
신적강하된 인물들의 이름 표기
편집일본국 헌법에 따라 일본 황실의 방계 황족(구황족)들이 신적강하되었는데 이들의 이름을 신적강하 이후의 이름인 평민식 이름으로 표기해야하는지 궁가 칭호를 붙여서 써야하는지에 대해 토론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Yoyoma88 (토론) 2020년 11월 24일 (화) 14:17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