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이동 요청

이동 요청
이동 요청
 2025년 2월 
새로 고침 / 보존 문서

이동 요청

이 곳은 권한 등의 문제로 이동이 되지 않아 관리자 권한 혹은 인증된 사용자 권한이 필요한 경우 요청하는 곳입니다.

문서 이동 도움말을 읽어 보시고, 이동이 필요한 자세한 이유와 함께 이 곳에 요청을 남겨주세요. 이동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경우는 처리가 늦어지거나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으니, 요청 전에 {{제목 변경}} 틀과 토론을 통해 의견을 정리한 후에 요청을 올려주세요.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지 않은 요청의 경우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도 요청 처리를 도울 수 있습니다.

문서 이동이 아닌 요청은 각각 적절한 다른 곳에 해 주세요.

새로운 요청


문서 이동 요청

편집



해당 문서들은 '소설 원작'과 '타 미디어 파생작'을 동음이의로 하는 것들인데, 현재 위키백과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일반적으로 원작을 대표 표제어로 하고 있기에 이에 맞게 문서의 이동을 요청합니다. --222.251.217.254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01:21 (KST)[답변]

 진행 중 @Sangjinhwa: 태평천하는 이동했습니다. 저명한 사자성어가 아니라 일반 문서로 남을 필요도 없고, 당초에 사자성어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울화는 실제로 의학적으로 규명하는 생리 현상으로 알고 있는데, 이 요청을 보고 이동하신 분께 의견 부탁 드립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3:52 (KST)[답변]
제가 네이버 국어사전을 봤습니다만 울화라는 단어는 있어도 을화라는 단어는 없더라고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5:19 (KST)[답변]
@Jeebeen: 아마 '울'화 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요청을 드린 문서는 '을'화 이기에 다른 용어라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확인해보니 '을화' 라는 이름의 기업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해당 기업이 위키백과의 등재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222.251.217.254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23:58 (KST)[답변]
확인해 봤을 때 등재하기엔 상장되지 않은 기업이고, 상장이 되더라도 업종 특성상 주목될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보여 줄 것 같진 않습니다. 말씀하신 김동리의 소설 을화보다 높은 대표성을 갖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일 (금) 00:46 (KST)[답변]
 완료 이동했습니다. 문학 분야에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일 (금) 00:47 (KST)[답변]

문서 이동 요청

편집

위의 요청과는 반대 사유인데, 소설 무녀도 이외에도 지명으로서의 무녀도 (군산시) 또한 존재하기에 동음이의 문서를 대표 표제어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문서 이동을 요청합니다.--222.251.217.254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01:49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09 (KST)[답변]

정식 명칭(http://broadcast.tvchosun.com/broadcast/program/2/C202000081.cstv), 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에 따른 표기 변경 필요 --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02:13 (KST)[답변]

 완료 아래 요청과는 다른 경우라 이동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11 (KST)[답변]

나는 가수다나는 가수다 (시리즈)로 옮기면서 정리 --Namoroka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02:30 (KST)[답변]

 반대 시즌 1이 대표 표제어가 아니라 시리즈를 아우르는 문서가 대표 표제어가 되어야합니다. Show Me The Money, 언프리티 랩스타, 싱어게인 등.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20:46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저도 잿빛동공님 의견과 같고 이동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13 (KST)[답변]

경어체 사용 수정 --Kimyngjin67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13:52 (KST)[답변]

 이미 완료됨 다른 분께서 해주셨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21:36 (KST)[답변]

공식 외국어 표기에서 -가 없으므로 띄어쓰기가 적절합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20:44 (KST)[답변]

 완료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03:01 (KST)[답변]

상기 요청에 아무런 답변이 없어서 다시 올립니다. 인터넷에서 황후라는 말보다 부르봉파르마의 치타라는 표현이 더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위키백과의 황후 문서에도 황후라는 표현보다 (출신 왕족)의 (이름)이라는 표현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일 (수) 20:46 (KST)[답변]

 완료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03:02 (KST)[답변]

연도별 선거 목록 문서 제목과 통일하기 위함입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06:08 (KST)[답변]

 완료 @Sangjinhwa: 연도별 선거 틀({{Year nav topic}})은 지워도 되는 건가요? 일단 이동은 해드렸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07 (KST)[답변]
해당 틀은 지워놨습니다.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5:26 (KST)[답변]

연도별 선거 목록 문서 제목과 통일하기 위함입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06:09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07 (KST)[답변]

역명이 확정되었습니다. --1.241.88.158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08:53 (KST)[답변]

 완료 제가 대신 해드렸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0:13 (KST)[답변]

공식 외국어 표기에서 대공을 붙이지 않은 "오토 폰 합스부르크"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0:10 (KST)[답변]

@Melonsida: 어떤 걸 공식 외국어 표기라고 말씀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위키백과:제목_선택하기/왕족_및_귀족#작위의_번역처럼 작위도 번역하는 건지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3:59 (KST)[답변]
장 (룩셈부르크), 앙리 (룩셈부르크) 문서처럼 대공 문서에는 "대공"이라는 제목 표기가 없습니다. 그래서 해당 문서들처럼 오토 폰 합스부르크로 옮겨달라는 말입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56 (KST)[답변]
 완료 @Melonsida: 작위가 한 둘이 아닌 경우도 많으니, 현실적으로 굳이 작위명까지 붙이는 게 필요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같은 이유로 이동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20:18 (KST)[답변]

이동이 안됩니다. --175.213.46.89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3:16 (KST)[답변]

출처가 없는 것 같지는 않은데 문서 내용만 봐선 강동IC가 강동고덕IC로 어째서 변경되었는지, 실제로 변경된 것이 맞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해당 내용을 문서에 추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4:02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문서에서 참고할 만한 근거가 확인되지 않고, 이 점을 알렸으나 무응으로 나오셔서 처리하지 않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23:50 (KST)[답변]

1월 1일 BS한양으로 사명이 바뀌었습니다.--175.213.46.89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3:34 (KST)[답변]

 완료 보성건설이 함께 합병되서 사명이 변경된 것 같은데 역사 문단에 같은 내용도 추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일 (목) 13:39 (KST)[답변]

동일한 내용을 다루는 같은 문서가 있습니다. "방영 목록" 문서는 2024년 2월에 새로 만들어진 문서이고, "에피소드 목록"는 2023년 10월에 만들어진 문서입니다. 그런데 현재 내용과 줄거리는 "방영 목록" 쪽이 더욱 많습니다. "에피소드 목록"은 2014년 회차까지 밖에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문서가 이전에도 수차례 삭제되었다 복구된적이 있고, 역사가 복잡하여서 그냥 넘겨주기로 처리하면 되는 건지 삭제 토론을 열어야 하는건지 모르겠어서 우선 이동 요청 글을 남깁니다. 방송 목록 관련하여 사랑방에 의견을 남기긴 했으나, 우선 이 문서는 명백히 중복되는 문서라 한 쪽 문서를 넘겨주기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목에서 방영 목록 대신 에피소드 목록을 사용하는 이유는 방영은 사전적으로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것만 의미하기에, 넷플릭스 등 웹 시리즈 등의 다른 문서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Namoroka (토론) 2025년 1월 3일 (금) 16:25 (KST)[답변]

 정보
역사 합치기는 기존에도 여러 번 해 봤으나 자주 하는 게 아니다 보니 여전히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의견만 남겨 놓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06 (KST)[답변]

코레일 노선도를 보면 남해선으로 되어있습니다. --2001:E60:A880:2111:0:18:CCC3:F201 (토론) 2025년 1월 3일 (금) 22:26 (KST)[답변]

 답변 실제로 변경된 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코레일에서 바꾸겠다고 입장을 표명한 걸까요?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38 (KST)[답변]
@Jeebeen: 대신 답변합니다. 사실 '경전선 (보성-임성리)'는 독자연구입니다. 관보의 명칭은 '보성~임성리간 철도'입니다. 이 명칭을 명명한 건 건설교통부입니다. 코레일은 명명한 적이 없어요. 그런데 코레일이 이번에 '남해선'이라는 이름으로 노선도를 만들었으니까 이걸 보고 코레일이 '남해선'이라고 명명했구나 하는 거죠 -- 211.196.39.10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7:00 (KST)[답변]
오히려 '보성~임성리간 철도'로 이동하는 건 어때요? -- 211.196.39.10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7:02 (KST)[답변]
 답변 문서를 보면 아이피 211.196.39.10를 사용하시는 분께서 "보성~임성리 철도건설사업 노선명 및 역명 심의자료 제출"를 추가하셨는데, 혹시 이건 어디서 볼 수 있는 걸까요? 웹 페이지 시스템에서 타 검색도구를 사용할 경우 학회의 학술자료 검색창처럼 단순 링크로 제시할 경우 검색창으로만 연결되고 바로 해당 자료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링크를 제시하실 필요는 없고, 해당 검색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말씀해 주시면 확인해 보겠습니다. 만약 관보가 존재한다면 남해선으로 변경해도 무관하다고 생각됩니다. 남해선으로 변경할 수 없다고 이의를 제기하는 게 아니라, 요청만으로는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판단할 수가 없어서 여쭤 보는 겁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8:47 (KST)[답변]
그거 제가 추가했는데요. 그게 뭐냐면 공문서입니다. 정보공개포털에 "보성~임성리 철도건설사업 노선명 및 역명 심의자료 제출"이라고 검색하세요. 물론 비공개 공문이지만 저는 동생이 국철공에 근무해서 열람한거랍니다. --2001:E60:A806:869A:0:0:1F34:F4DA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7:22 (KST)[답변]
상세검색에서 기관선택을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공사로 하고 남해선이라고 검색하면 보성임성리선이 남해선으로 불리운다는걸 알수있습니다. 공문 제목이 그렇거든요. 검색해보세요. -- 2001:E60:A806:869A:0:0:1F34:F4DA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7:24 (KST)[답변]
 정보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정보공개포털이나 국가기록원 자료상 열람 범위가 비공개이더라도, 정보공개요청을 할 경우 달리 공익을 저해할 우려가 없다면 국가기록원에서 검토 후 일반인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만 나중에는 다른 사용자들의 확인 가능하도록 해당 내용을 |인용문= 매개변수를 이용해 추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아이피 사용자 상태로 인용문을 추가하실 경우 아이피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그 의견이 맞는지에 관해 해당 내용을 작성한 사용자와 논의할 수가 없어 나중에 분쟁이 발생할 경우 근거가 없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여 로그인 상태로 추가하시는 편이 좋다고는 생각합니다. 제 개인적인 바램일 뿐 강제 사항은 아닙니다. 다만 관보가 존재하고, 노선도에도 그렇게 쓴다면 사용자분께서 출처를 위조한 것이라 생각되지 않아서 합당한 출처로 보고 일단 이동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9:32 (KST)[답변]
 완료 일단 문서에 첨부한 출처는 출처틀로 변경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9:35 (KST)[답변]

1월 1일 채널명 변경되었습니다.--175.213.46.89 (토론) 2025년 1월 4일 (토) 12:32 (KST)[답변]

플랫폼 명은 변경된게 맞는데 해당 채널의 경우에는 변경된 사실 확인이 안되고 있습니다. 출처 부탁드립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5일 (일) 13:22 (KST)[답변]
링크 1, 링크 2, 링크 3, 링크 4, 링크 5 추가로 본 문서인 숲코리아 문서도 현재 문서명이 정식 명칭이 아닌데 숲 (서비스)숲 (웹사이트)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요?--Namoroka (토론) 2025년 1월 5일 (일) 23:12 (KST)[답변]
문서에 어째서 변경이 된 건지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다른 분들이 링크를 추가하신 것을 보았을 때 출처가 아예 없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41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위 요청과 마찬 가지로, 답변을 요청했으나 무응.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23:51 (KST)[답변]

정식 명칭은 NBA라는 표현이 안 들어가 있음. (NBA 올해의 신인상 같은 경우와 다름) --Namoroka (토론) 2025년 1월 5일 (일) 23:05 (KST)[답변]

@Namoroka: 농구 분야는 잘 모르지만, 축구에서는 발롱도르를 FIFA 발롱도르라는 표제어로 작성한 것이 확인됩니다. 똑같이 그걸 주관하는 협회에서 제공하는 상이라면 정식 명칭과는 무관하게 협회명이 붙고 그 뒤에 상의 이름이 붙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확인해 보시고 의견 부탁드립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33 (KST)[답변]
이동 요청한 문서는 문서 첫 기여자가 NBA가 없는 명칭으로 생성하였다가, 사용자토론 문서에서 제가 남긴 의견을 오해하셨는지 현재 이름으로 옮긴 겁니다. 문서 생성자도 동의한 사항입니다. 래리 오브라이언 챔피언십 트로피트와이먼스토크스 올해의 팀메이트상에서처럼 인명이 단독으로 들어간 경우 일관적으로 NBA 표기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식 표기도 그러하고 통용 표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 FIFA 발롱도르 말고도 그냥 발롱도르도 있는데 프랑스 픗볼 발롱도르라고 표제를 붙이지 않았습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4:16 (KST)[답변]
토론이라 하심은 특수:고유링크/38436904#모리스 포돌로프 트로피 관련 말씀하시는 거군요. 농구 분야는 잘 몰라서 질문 드린 거고, 이의를 제기하는 건 아닙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8:52 (KST)[답변]
 완료 타 문서 사례 참고하여 이동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8:53 (KST)[답변]

배우 프로필등록 --손승훈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11:18 (KST)[답변]

 완료 제가 대신 해드렸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16:40 (KST)[답변]

하노버가, 윈저가 등 대부분의 왕족 귀족 가문 문서명을 왕조가아닌 가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동 요청합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16:39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17:32 (KST)[답변]

섬이자 행정 구역인 주(county)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섬만을 의미하지 않는 통칭 명칭이 필요합니다. (ex. 시칠리아)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22:45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35 (KST)[답변]

식별자가 필요없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02:44 (KST)[답변]

 완료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02:55 (KST)[답변]

2024년 3월에 선양소주로 사명이 바뀌었습니다.--175.213.46.89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2:34 (KST)[답변]

 답변 제 의견 뿐만 아니라 다른 분께서도 계속 의견 남겨 주시는데, 문서 내용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름 변경에 대한 내용을 서술해 주시고 그 내용에 출처를 추가해 주세요. 단순히 이동 요청을 처리하시는 분들께서 요청만 보고 일일히 포털에 찾아 봐야 할 경우 처리가 지연되고 처리하시는 분들도 요청을 처리하지 않게 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12 (KST)[답변]
 이미 완료됨 Sangjinhwa.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34 (KST)[답변]

[[:{{{원래 이름}}}]] → [[:{{{새 이름}}}]]

편집
--김새빛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19:34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내용 없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13 (KST)[답변]

식별자가 필요없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0:25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14 (KST)[답변]

플래그 캐리어는 해운회사도 의미하는 단어이며, 항공사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엄밀히 '국책'이라는 단어도 일대일 대응하는 단어도 아닙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1:41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15 (KST)[답변]

2021년 발사된 차세대중형위성은 '국토위성 1호'입니다. 문서명을 새롭게 변경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후에 2호가 발사되면 '국토위성 2호'로 가는 형식입니다. --LandAndTree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22 (KST)[답변]

@LandAndTree: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내용만 확인했을 때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라고 불리는 것 같은데, 굳이 이동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17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1월 7일 이후 1월 31일까지 의견 개진이 없으셔서 미완료 처리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2:32 (KST)[답변]

대한민국의 달탐사 계획에는 달 궤도선인 다누리 (우주선)이 있고, 달 착륙선인 한국형 달 착륙선(명칭 미정)이 있습니다. 현재 한국형 달 탐사선 문서에는 나중에 발사될 착륙선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므로 달 착륙선으로 문서명을 바꾸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LandAndTree (토론) 2025년 1월 7일 (화) 23:35 (KST)[답변]

@LandAndTree: 탐사선은 궤도선까지 포함하지만 착륙선은 직접 달에서 착륙하고 발진하는 우주선을 가리킨다는 말씀이시군요. 내용이 거의 없는데 일반적으로 문서는 큰 주제에서 작은 주제로 내려 갑니다. 탐사선이 달을 탐사하는 우주선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라면 탐사선에 작성하고 추후 내용이 추가될 경우 분리하는 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알기론 대한민국이 달에 착륙하는 우주선을 발사한다는 건 2030년에 예정된 거고 아직 달 착륙선이 시제기로 나온 게 없는 만큼 정보도 한정적이라고 생각됩니다. 확인해 주시고 의견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29 (KST)[답변]
대한민국의 달탐사 계획에는 현재까지로는 크게 두 가지 사업이 있습니다. 첫 번째 사업은 이미 2022년도에 발사된 달 궤도선 다누리 (우주선)이고 두 번째 사업은 2032년에 발사되는 한국형 달 착륙선 발사입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32년 사업은 궤도선+착륙선 발사로 두 개를 같이 하는 사업이긴 합니다. 하지만 다누리 문서와 같이 탐사선 문서는 사업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선 자체를 설명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탐사선은 궤도선과 착륙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기에 이 둘을 분리시켜 궤도선은 이미 있는 '다누리 (우주선)' 문서로, 착륙선은 '한국형 달 착륙선'(아직 다누리 같은 정식 명칭이 나오지 않았습니다)문서로 하는 게 좋을 듯 합니다. 하지만 Jeebeen님의 말씀처럼 착륙선+궤도선을 포괄하는 개념인 탐사선 문서를 유지하기 위해 한국형 달 착륙선 문서를 아예 새로 만드는 것도 대안이라고 봅니다.
(*참고: 대한민국의 달탐사 계획(국문, 영문판 문서 존재)) LandAndTree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1:43 (KST)[답변]
 아니오반려 의견 감사합니다. 둘이 같은 개념이 아닌 만큼 따로 이동은 하지 않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2:16 (KST)[답변]

'주'로 이름이 통일되어 있는데 분류 넘겨주기화 되어 있어 이동이 안됩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00:14 (KST)[답변]

 완료 이동 요청 절차를 지켜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00:18 (KST)[답변]

'주'로 이름이 통일되어 있는데 분류 넘겨주기화 되어 있어 이동이 안됩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00:15 (KST)[답변]

 완료 이동 요청 절차를 지켜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Aspere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00:18 (KST)[답변]

분류: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 → 토론: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

편집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문서 복구 요청 --Yelena Belova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4:53 (KST)[답변]

 정보 링크하는 것을 의도하시는 분류가 이 문서가 달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분류:6.25 전쟁 유엔군 파병 국가]]와 같은 형식으로 적어 주시면 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20:11 (KST)[답변]
@NZ 토끼들, ChongDae: 구체적으로 어떤 요청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동해 주신 분도 핑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20:13 (KST)[답변]
문서 역사 살펴보세요. -- ChongDa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3:20 (KST)[답변]

 완료 -- 처리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3:20 (KST)[답변]

식별자가 필요 없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17:31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21:55 (KST)[답변]

러시아에서 추코트카로 많이 불립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22:24 (KST)[답변]

@김지성1: 해당 명칭은 지리적 개념인데 러시아의 자치구나 행정구역같은 개념이 아님에도 러시아어 표기를 따라야 하는지에 대해 확신이 가지 않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8일 (토) 00:45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위키백과토론:제목 선택하기와 같은 상위 지침에서 논의하고 진행해야 할 부분으로 판단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2:31 (KST)[답변]

필리핀이라 타갈로그어 명칭을 우선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22:30 (KST)[답변]

@김지성1: 로망스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대해선 제한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타갈로그어 표기와 실제 발음상의 차이에 대해 조금 살펴 봤는데, 제가 볼 땐 규범적으로 표준화 기관에서 제시하는 발음(잠보앙가)과 실제 타갈로그어 화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발음(삼보앙가)의 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페인어의 해당 발음이 과거와 비교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관한 역사적 맥락을 찾아 봤을 때 삼보앙가로 옮기는 게 맞다고는 생각합니다만, 모든 사용자가 Z에서 "음, 이 발음은 로망스어에서 치찰음유무성음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고전 라틴어로부터의 속라틴어 전환기와 이베로-로망스어로 이어지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직접적인 어원이 된 중세 스페인어의 ㅅ으로 옮기면 되겠군"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건 아니라서 개인적으로 조금 조심스러운 부분은 있습니다.
찾아 본 내용만으로 판단하면 저는 삼보앙가로 옮기는 게 맞다고는 생각합니다만, 의견을 부탁 드립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26 (KST)[답변]
저도 삼보앙가로 옮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21일 (화) 17:12 (KST)[답변]

위의 요청과 내용 동일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9일 (목) 22:31 (KST)[답변]

 완료 이 부분은 이견이 달리 없을 것 같아서 옮깁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27 (KST)[답변]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이 있는데 굳이 외국어로 표제어를 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25년 1월 10일 (금) 01:39 (KST)[답변]

 완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과 그에 맞는 한국어 번역이라고 보고 이동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31 (KST)[답변]

해당 기업의 경우 오케이버스가 양천운수로 사명이 변경된 것이 아니라 별도로 설립된 법인으로 실제로 오케이버스의 경우 신흥운수로 사명이 변경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를 바로 잡기 위해 이동 부탁 드립니다.--121.129.188.164 (토론) 2025년 1월 10일 (금) 14:47 (KST)[답변]

 완료 이동 완료하였습니다. --DAEGUBUS (민원) 2025년 1월 14일 (화) 19:07 (KST)[답변]

1월 1일부로 한국산업은행으로 브랜드명 변경되었습니다.--175.213.46.89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2:53 (KST)[답변]

위와 같음--175.213.46.89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2:57 (KST)[답변]

맞춤법에 오타가 있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5:06 (KST)[답변]

@Melonsida: 이사벨도 맞고 이사벨라도 맞는 것 같아서 판단하기 어렵네요. 혹시 유럽 왕족간의 정략결혼으로 타국에서 왕이나 왕비가 되어, 해당 지역에서 사용되는 이름으로 표제어를 정하는 경우에 이를 판단하거나 참고할 수 있을 만한 다른 문서가 있을까요? {{Sergius}}같은 내용처럼, 같은 어원을 가지는 이름을 가지는 인물이라면, 유럽 왕족들은 타국의 왕이나 왕비가 되면 그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이름을 사용하는 건지에 대해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44 (KST)[답변]
물론 이사벨도 맞는 말이지만, 스페인어에서 이사벨라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 이사벨라라고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동 부탁드립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48 (KST)[답변]
  • 아랍어 - 이자빌라
  • 영어 - 이사벨라
  • 로망스어
    •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어 - 이사벨
    • 이탈리아어 - 이사벨라
  • 러시아어 - 이자벨라
  • 일본어 - 이자베라
언어 링크 상단에 표시되는 주요 언어들도 표기가 엇갈리며 무엇보다도 타 언어판들에서 표제어를 어떻게 표기하는지는 준거로 삼을 수 없기 때문에, 한국어판 내 문서들의 사례에서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0:43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의 마리아 이사벨라 사진의 이름이 maria isabella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a가 있기에 이사벨라가 맞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0:50 (KST)[답변]
저는 위 의견과 같이 타국의 왕이나 왕비가 되었을 경우 그 이름은 어느 나라의 호명법을 따라야 하는가에 대해서 여쭤 보고 있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1:06 (KST)[답변]
물론 스페인어는 이사벨로 표기하고 있지만, 다수의 언어 위키백과에서 이사벨라로 표기하고 있고, 왕이나 왕비도 다수의 언어 위키백과에 따라 명칭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1:16 (KST)[답변]
정확히 말하자면 다수의 언어 위키백과에서 스펠링이 a가 있습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1:16 (KST)[답변]
단순히 다른 언어판들에서 그렇더라의 식의 근거는 조금 받아 들이기 어렵고, 이사벨도 맞고 이사벨라도 맞는 상황이라면 굳이 이동을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히브리어 엘리세바(אלישבע)를 어원으로 하는 이름의 스페인식 이름은 이사벨입니다. 이탈리아어에서는 이사벨라이고요. 즉, 스페인 공주가 이탈리아 왕가에 왕비로 갔는데, 보통 이럴 경우 유럽에서 어떤 이름을 따르는지에 관해서 저는 단순한 삽화적 논거가 아닌 핵심적이고 구조적인 논거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예컨데 이사벨이라는 공주가 영국으로 시집을 갔는데, 영국의 왕비가 되어서 영국식으로 엘리자베스로 이름이 바뀐다면, 그것은 유럽 왕가들에서 정해진 예법 내지 관습이라고 볼 수 있다는 근거가 있냐고 여쭤 보고 있습니다.
단순히 '많은 언어판들'에서 그렇다는 건 영어와 같은 언어 하나랑 아랍어의 수 많은 방언 연속체를 수적으로만 비교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보므로, 준거로 삼을 수 없습니다. 아랍어의 방언들은 언어학적으로는 상호 소통이 불가하므로 별개의 언어로 분류되고, 언어판도 모두 따로 존재하니 아랍어에서 쓰는 표기와 그 전사가 맞다고 볼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당연히 아니라고 답하실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1:36 (KST)[답변]

예전에 망고소녀님이 올리신 유사한 이동 요청인 위키백과:이동 요청/2024년 5월#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데 에스파냐 왕녀 → 스페인의 마리아 테레사 라파엘라 및 관련 토론 위키백과토론:제목 선택하기/왕족 및 귀족이 떠오르는 것은 저만의 생각일지 모르겠네요. 이곳 이동 요청은 이용 안내문에 의거, 논의를 해서 제목을 결정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적절한 토론 공간에서 토론을 거친 이후 종결하고 필요 시 다시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ted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1:48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이동 요청의 이용 안내문에 의거하여 미완료 처리합니다. --ted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1:59 (KST)[답변]

실수로 출생 년도를 추가하고 옮겼습니다. 오타 수정 부탁드립니다. --Melonsida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5:07 (KST)[답변]

 완료 달리 가리키는 문서가 있는 건 아니라서 그냥 넘겨주기는 만들지 않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45 (KST)[답변]

서술이 엉망이라 초안에서 준비하여야 합니다 --2001:E60:1093:2FC8:B16C:1008:19DD:7FF4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7:29 (KST)[답변]

 이미 완료됨 관리자 Ted.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46 (KST)[답변]

크리스 헨리 문서는 크리스 헨리 (음악인)으로 옮겨주세요. --2001:E60:1093:2FC8:B16C:1008:19DD:7FF4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7:32 (KST)[답변]

'크리스 헨리'라는 음악인은 포털 사이트에서도 안나오네요. 삭제 신청합니다. 크리스 헨리 (동음이의) 문서를 '크리스 헨리'로 이동 부탁드립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23:41 (KST)[답변]

 완료 처리된 요청입니다. --ted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2:04 (KST)[답변]

초안에서 정리 필요 --2001:E60:1093:2FC8:B16C:1008:19DD:7FF4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7:45 (KST)[답변]

 이미 완료됨 관리자 Ykhwong. 초안:7월 학살로 이동되었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21:33 (KST)[답변]

숫자를 제외하면 다른 뜻으로 쓰이는 문서가 없으며, ‘’ 표제 자체에는 조 (수), 경 (수)와 마찬가지로 한자 수사 및 그 역사적 의미가 있습니다. --RhapsoDJ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18:21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22:47 (KST)[답변]

연도 표기 부탁드립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12일 (일) 23:44 (KST)[답변]

 완료 이동 후 넘겨주기는 제거한 뒤 동음이의 문서로 손 봅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21:40 (KST)[답변]
 정보 폴란드 점령의 동음이의어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21:55 (KST)[답변]

회사 사명 변경으로 인한 이동 부탁 드립니다.--58.233.26.88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20:19 (KST)[답변]

 이미 완료됨 사용자 Gray eyes(잿빛동공).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10 (KST)[답변]

진원지휴가나다이므로 2025년 미야자키현 지진2025년 휴가나다 지진으로 이동하십시오. 2400:2200:1A6:7432:3D77:5B18:C376:5398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00:33 (KST)[답변]

지진이 어떻게 명명되었는지, 실제로 휴가나다 지진으로 불리는 것이 맞는지 해당 문서의 개요문 역할을 하는 자리에 적어 주세요.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4일 (화) 21:35 (KST)[답변]
 정보 요청 이후 青いよ 사용자(차단 회피)에 의해 복사 붙여넣기식으로 이동된 것으로 보이는데, 해당 요청을 수리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네요.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17 (KST)[답변]

보통강구역 본토 (김포반도 처럼)를 제외하고 보통강에는 섬이 없음. 어머니섬 등은 보통강운하의 섬임. --2001:2D8:E14E:13DB:0:0:24DE:70A0 (토론) 2025년 1월 15일 (수) 18:44 (KST)[답변]

식별자가 필요없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16일 (목) 20:12 (KST)[답변]

 완료 가리키는 문서 존재하여 넘겨주기 처리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19 (KST)[답변]

2020년보광교통, 보광운수다모아자동차에 인수된 가운데 최대 주주가 다모아자동차로 변경된 관계로 분류 이동 요청 합니다.--121.129.188.164 (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4:26 (KST)[답변]

러시아에서는 축치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Чуко́тка를 한글로 음차하면 '추콧카'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9:39 (KST)[답변]

강세를 엄격하게 따져서 한글로 옮기자면 추콧카가 맞겠지만, 일반적으로 강세를 따지는 표기가 적절한지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습니다. 강세를 따져 크라'포'트스크와 같이 모음에만 적용할 것인지 아니면 추콧카처럼 자음의 발음 변화까지 규정할 것인지의 부분에서 자음의 발음까지 규정하는 것 중, 일반적으로 추카트카라고 쓰지 않고 추코트카라고 쓰며 모음에만 적용하는 정도로도 대부분의 사용자가 받아 들일 수 있는 내용입니다.
이는 한글 표기법에서 받, 밭, 밧, 밪, 밯의 모든 받침소리를 ㅅ으로 간주하여 추콭카라고 쓰는 걸 어법상 잘못된 것으로 보고 추콧카로 써야 하고, 설령 그게 실제 발음과 유사하다고 해서 적절한 표기법이냐고 볼 수 있냐고 묻는다면 당연히 아니라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냥 ㅌ을 풀어 적어서 해당 음소까지 포함하는 게 최선이므로 추코트카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게 낫다고 생각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8일 (토) 00:38 (KST)[답변]
그렇다면 의견대로 제목을 추코트카 자치구로 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래 표제도 추코트카반도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21일 (화) 17:09 (KST)[답변]
러시아권에서 부르는 명칭 이전에 위키백과:외래어 표기법#제1절 표기 원칙에서 3장이 있습니다. 러시아어권에서 부르지 않는 이름이라고 하지만 다른 언어권에서 불러지는 이름이라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럽의 지명에서도 많이 일어나는 현상(ex. 베네치아/베니스 등)입니다. 한국어권에서는 '축치'라는 명칭이 여전히 많이 쓰이는 것 같습니다(추콧카라는 명칭도 보이긴 합니다.). 혹시 한국어권에서 '추콧카'나 '추트코카'와 같은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예시가 있을까요?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2일 (수) 16:19 (KST)[답변]
찾아보니 추콧카 자치구, 축치 자치구 등 혼용되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간신히 찾아냈지만, 딱히 다른 예시를 찾을 수 있을만큼 사용하는 예시가 그다지 없는 것 같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2일 (수) 16:31 (KST)[답변]

위의 내용과 동일합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17일 (금) 19:40 (KST)[답변]

 아니오반려 에서 논의하는 게 좋을 듯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06 (KST)[답변]

프토:정치에서의 토론을 근거로 이동 요청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8:02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26 (KST)[답변]

위와 같음.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8:07 (KST)[답변]

영국 군주보다는 영국 국왕으로 옮기는 게 더 자연스러운 것 같습니다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9:27 (KST)[답변]
해당 건은 프토:정치에서도 밝혔지만 별도 총의가 필요해보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20일 (월) 21:58 (KST)[답변]
 완료 이 분야를 잘 몰라서 군주가 맞는지 국왕이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요청의 골자는 조사를 제거한 표제어로 하자는 내용이므로 일단 옮깁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31 (KST)[답변]

위와 같음.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18:10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19일 (일) 22:27 (KST)[답변]

식별자가 불필요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0일 (월) 01:18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0일 (월) 11:06 (KST)[답변]

백:통용 표기찰루키아 왕조, 팔라바 왕조 등 다른 인도 왕조들과의 표제어 통일.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20일 (월) 13:17 (KST)[답변]

 완료 해당 항목과 관련된 내용도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3:04 (KST)[답변]

칼빈500 사용자가 실수로 만든 문서로 인하여 이동이 안 되고 있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0일 (월) 13:19 (KST)[답변]

 완료 해당 항목과 관련된 내용도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3:05 (KST)[답변]

식별자가 필요 없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2일 (수) 16:14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3:36 (KST)[답변]
생성 시부터 해당 문제가 인식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고, 사실 LG 옵티머스는 제품 시리즈 하나이고 제품이나 다른 물건을 뜻하는 게 아니니 이동했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3:38 (KST)[답변]

"정규 앨범" 검색결과 3,460,000개, "정규 음반" 검색결과 158,000개의 결과에 의거하여 이동 요청합니다. --Camilasdandelions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02:00 (KST)[답변]

 아니오미완료 위키백과는 단순히 어떤 표기가 다른 표기에 관해 더 많이 쓰인다고 해서 문서 제목을 해당 표기로 설정하지 않습니다. 관련하여 총의나 명확한 근거를 가져와주시기 바랍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3:06 (KST)[답변]

렌카 리다이렉트가 렝카족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렌카 동음이의어 문서가 없고 렝카족이 렌카를 대체할만큼 저명성이 있어보이지 않기에, 구분자 제거 요청합니다. --Camilasdandelions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02:28 (KST)[답변]

토론 없는 이동입니다. 한국어권에서 '원단절'이라는 표현을 거의 쓰지도 않을 뿐더러 문서 자체도 설날이라는 표제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43 (KST)[답변]

 의견 새해를 기념하는 건 어느 문화나 마찬 가지인 걸로 알고 있고, 그냥 '새해 풍속'이라는 분류명을 사용하는 게 낫지 않나 싶네요. 제목만 바꾼다고 문서들이 이동하는 게 아니고, Cat a lot같은 스크립트를 써야 하는 문제로 알고 있어서 분류 이동 요청은 제가 처리하진 않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23:07 (KST)[답변]
@Jeebeen: 새해는 분류:새해가 별도로 있으며, 이는 양력 1월 1일을 의미하는 분류입니다. 이 분류는 음력 1월 1일만을 의미하는 분류로, 별개의 분류입니다. 또한, 다른 분께서 저번에 넘겨주기 처리가 되어 있는 분류는 삭제 신청을 하지 말고 여기다가 요청을 하라는 요청을 받았던 바 있습니다. 만약 분류 속 문서들이 문제라면 제가 분류 속의 문서 갯수들도 적기 때문에 알아서 수동으로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6일 (일) 13:45 (KST)[답변]
일단 원단절 자체는 적절하지 않은 분류 제목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총의 없는 이동을 원복하시기 위한 목적에서 요청하신 거라면 문서속에 삽입된 분류는 이동하셔도 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할 뿐입니다. 참고할 만한 지침이 백:분류인데, 사실 내용이 없어서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3:04 (KST)[답변]

모리야족, 리차비족 등 다른 인도 부족들과의 표제어 통일을 위함.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19:59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21:15 (KST)[답변]
사실 이 요청의 경우에는 확인을 제대로 안 하고 옮겨서 일단 이 문서만 이동 후 완료로 표시합니다. 아래 요청과 마찬 가지로 처리해야 하는 문서이나, 일단 알려만 둡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23:11 (KST)[답변]

모리야족, 리차비족 등 다른 인도 부족들과의 표제어 통일을 위함.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20:00 (KST)[답변]

토론:하이브 (기업)#대표 표제어로 변경에서 아무런 반대가 없었습니다. 임의로 이동하기 전에 문서가 꼬일수 있어 두 문서 전부 요청 합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21:16 (KST)[답변]

@Gray eyes: 아무런 반대가 없었다는 사실만 이유를 제시하시는 것보다는, 토론에 참여하신 분이 없었다는 사실도 언급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토론을 통해서 이동이 결정된 게 아니고 아무도 참여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발제 후 어느 정도 시일이 지나면 내가 편집할 수 있다'는 나쁜 선례를 남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완료 일단 이동 자체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니라서 이동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8일 (화) 00:17 (KST)[답변]

타 언어 위키백과를 확인해 보았을 때 '하루미'보단 '슌카이'의 독법이 압도적이며 중국어 위키백과의 경우 '시부카와 슌카이'를 단일 독법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Mentaciocco (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19:14 (KST)[답변]

일본 인명의 경우 훈음으로 읽는 경우도 있고, 음독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무엇보다 저는 일본어는 전혀 모르기 때문에 말씀드리기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타 언어판을 준거로 삼기는 어렵다는 의견입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2:55 (KST)[답변]

프토:정치에서의 토론을 근거로 이동 요청 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3:25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4:35 (KST)[답변]

위와 같음. --양념파닭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3:27 (KST)[답변]

 완료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4:35 (KST)[답변]

지난해 7월 30일부로 TBN교통방송으로 사명이 바뀌었습니다.--14.42.59.225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3:13 (KST)[답변]

위와 같음--14.42.59.225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3:13 (KST)[답변]

위와 같음 --14.42.59.225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3:15 (KST)[답변]

식별자가 불필요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5년 1월 27일 (월) 23:19 (KST)[답변]

か행, た행과 같은 무성 파열음은 어두에 올 시 예사소리로 표기하며 타 신칸센 노선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예시: 도카이도 신칸센) 또한, 타 신칸센 노선의 제목에서는 지명과 신칸센은 띄어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규슈 신칸센'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Mentaciocco (토론) 2025년 1월 28일 (화) 12:11 (KST)[답변]

 완료 관련 항목 또한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3:20 (KST)[답변]

문서 첫 문단 및 분류명이 이탈리아 국왕으로 되어 있으며, 조선 국왕, 예루살렘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등 다른 국왕 문서들과 표제어를 통일하기 위함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28일 (화) 17:21 (KST)[답변]

 완료 관련 항목 또한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3:23 (KST)[답변]

포괄적/일반적 명칭으로 이동부탁드립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5년 1월 28일 (화) 19:38 (KST)[답변]

언중들 사이에서 보통 늑대라고 많이 불리며, 회색늑대와 늑대 모두 같은 종을 지칭하는 단어라 이동해도 문제가 없을 듯 합니다. --김지성1 (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18:17 (KST)[답변]

이건 좀 논의가 필요한 내용 같은데요.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2:43 (KST)[답변]

일반적으로 고기 완자보다 미트볼이 더 많이 사용됨.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30일 (목) 22:41 (KST)[답변]

@Kirschtaria: 음식 종류에 대한 문서 같습니다. 덤플링만두라비올리가 속하는 것처럼 미트볼은 고기 완자 요리에 속하는 음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저도 잘 몰라서, 현재까지 이 분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편집하시는 사용자분의 의견도 필요할 듯 싶습니다. 만약 필요하다면 안내 도와 드리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02:51 (KST)[답변]

금관가야 국왕, 백제 국왕, 고구려 국왕, 고려 국왕, 조선 국왕 등과 표제어 양식 통일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11:11 (KST)[답변]

 완료 다른 관련 정보도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0:29 (KST)[답변]

https://g.co/kgs/GvkZPBF 구글에서 쉘백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혼동이 오지 않게 쉘백으로 변경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Camilasdandelions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14:30 (KST)[답변]

 반대 Shellback의 영어 발음을 기호로 표시하면 /ʃˈɛlbæk/으로 쉘백이 아닌 셸백으로 발음됩니다. 구글에서의 한국어 명칭은 기계 번역으로 만들어진 경우들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방법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0:28 (KST)[답변]

백:통용 표기분류명과 표기를 통일하기 위함. --Kirschtaria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1:34 (KST)[답변]

--Bebesup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2:09 (KST)[답변]
@Bebesup: 초안 이름공간 이동 이후 개선된 내용이 없습니다. 혹시 문서 개선을 위해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말씀해 주세요. --Jeebeen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3:51 (KST)[답변]

프토:정치에서의 토론 결과에 따라 이동 요청을 드립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2월 1일 (토) 00:17 (KST)[답변]

프토:정치에서의 토론 결과에 따라 이동 요청을 드립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2월 1일 (토) 00:17 (KST)[답변]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태국 군주, 대한민국 대통령 등 다른 나라의 국가원수들과 표제어 양식을 통일하기 위함 --Kirschtaria (토론) 2025년 2월 1일 (토) 13:31 (KST)[답변]

위와 상동 --Kirschtaria (토론) 2025년 2월 1일 (토) 13:32 (KST)[답변]

본 제목은 일본어 표기법에 의해 수정이 필요합니다. 어두에 오는 무성 파열음 'た'는 예사소리 '다'로 적고 'つ'는 '쓰'로 표기합니다. 검색 결과 '타나카자테 아이키츠'는 매우 낮은 빈도로 등장했으며, 관용 표기의 근거로는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Mentaciocco (토론) 2025년 2월 1일 (토) 15:05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