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문화유산
이 위키프로젝트의 진행은 정체되어 있습니다. 함께 참여해서 프로젝트를 활성화해주세요. |
위키프로젝트 문화유산은 문화재 관련 문서에 대한 체계적 정비를 위해서 개설된 프로젝트입니다.
목적
편집이 프로젝트는 문화유산 문서 편집의 기준을 정하고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참가
편집프로젝트의 참가는 자유입니다. 프로젝트에 참가하실 분은 위키프로젝트 문화유산 참가자 틀을 사용자 문서에 달아 주세요. 유저박스의 사용은 강제 사항은 아니지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용자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명시적으로 참가하지 않으시더라도, 관련 문서를 편집하거나 토론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위키프로젝트 문화유산 참가자}} |
상단 아이콘 틀을 넣어 주셔도 됩니다. 화면 오른쪽 위에 조그많게 아이콘이 보이실 겁니다.
{{문화유산 프로젝트 상단 아이콘}} |
문화재 명칭 관련 총의
편집2014년 5월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대한민국의 문화재의 명칭을 규정하는 총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키백과:총의에 근거하여 ‘잠정적 합의’에 이른 것이며, 언제든 합리적 근거가 있을 경우 바꿀 수 있으니, 총의 관련 논의와 이의 제기 등은 위키프로젝트토론:문화유산에서 해 주세요.
-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문화재 문서의 표제어를 정할 때, 그 명칭은 문화재청이 고시한 국가지정문화재 명명 방식에 준한다.(관청의 고시라서가 아니라, 문화재 관련 전문가들의 논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 시도지정문화재의 경우도 국가지정문화재 명명 방식을 따른다.(시도지정문화재의 경우 국가지정문화재 명명 방식이 확립되기 이전에 각 지자체별로 일괄된 기준 없이 문화재 명칭을 지정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는 명칭이며, 차츰 국가지정문화재 명명 방식으로 정비하여 새로 고시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 부동산 문화재의 경우 국가지정문화재라도 널리 알려진 경우, 제일 앞에 넣는 소재 지역명을 뺄 수 있다.(널리 알려진 경우는 문화재청 고시에 따르면 고유명사화된 경우에 해당하고, 주관적일 수 있으므로 범주에 대한 토론이 필요하다. 현재 불국사, 경복궁, 숭례문 등 몇몇 문화재의 명칭에 국한된다.)
- 부동산 문화재 중 등록문화재의 경우, 일제 강점기 이후의 건축물이 많아, 흔히 쓰이는 이름이 있을 때는 문화재청 고시 명칭이 아니라 통용 명칭을 쓴다.(‘대구 계산동성당’이 고시 명칭인 계산성당, ‘인천 선린동 공화춘’이 고시 명칭인 공화춘 등의 예가 있다.)
국가지정문화재 명명 방식
편집- 우리 위키백과 편집자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청화백자의 개별 문화재 이름이 어째서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니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니 하는 ‘백자 청화OOO문 OOO’식으로 명명되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분청사기는 분청사기 박지철채화문 병,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처럼 부르는데 말입니다. 우리는 그저 전문가들의 명명 방식을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 유형문화재는 유적(건물, 탑 등 건조물 포함)과 유물(그림, 조각, 공예품, 책, 문서 등)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유적은 대개 현재의 위치가 만들어진 때와 같은 부동산 유물이고, 유물은 당연히 들고 다닐 수 있는 동산 유물입니다. 동산 유물은 현재 소장처가 유물의 원래 이름과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출토지가 분명하지 않으면 지역명을 넣을 까닭이 없습니다. 반면, 유적은 일제 강점기에 반출이 심했던 시기를 제외하면 거의 제자리를 지키고 있으므로, 지역명을 유적 앞에 넣습니다. 시·군의 이름을 ‘시’나 ‘군’을 빼고 첫머리에 넣습니다. 그리고, 다음 어절에 동·리의 이름을 ‘동’과 ‘리’를 함께 써 넣습니다. ‘대구 도학동’, ‘해남 성내리’ 식입니다. 현 위치가 원래 위치와 다른 경우, 원위치를 알면 원위치의 지역명을 넣습니다.
- 지역 시군명을 넣을 때는 대한민국 차원에서 접근합니다. 즉, 광역시나 특별시 등이 시도지정문화재를 지정할 때, 국민의 편의를 도모한다는 국가지정문화재 작명 방식을 따르면서도 지역명은 자신들 하위 범주에서 적는 행정편의주의를 거부하고, 국가지정문화재 작명 방식과 입장에 따라 시군명을 넣습니다.
- 예) 진관동 석 보살입상(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15호) → 서울 진관동 석조보살입상, 소정 대곡리 삼층석탑(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3호) → 세종 대곡리 삼층석탑
- 지역 시군명을 넣지 않는 예외는 다음 두 경우뿐입니다. 첫 번째,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재인 종묘, 사직, 궁궐 등입니다. 또한, 궁궐의, 동음이의어가 없는 부속 전각의 경우에 궁 이름도 넣지 않습니다.
- 예) 숭례문, 사직단, 경복궁, 명정전.
- 예외) 창경궁 옥천교(다른 곳에 옥천교가 있어서)
- 두 번째, 고유명사화한 경우, 즉 지역명을 빼고도 거기 있다는 것이 널리 알려진 사찰의 경우입니다. 언제든 토론을 거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예) 부석사, 불국사
- 그 다음 구체적인 유물의 이름을 넣습니다. ‘대구 도학동 승탑’, ‘해남 성내리 수성송’ 하는 식입니다.
유물별 명명 방식
편집- 〈위키프로젝트:문화유산/국가지정문화재 명명 방식/유물별 명명 방식〉 : 불상, 석탑, 승탑, 회화, 도자기, 묘 등의 구체적인 명명 방식 설명 문서
편집 지침
편집- 논의와 이의 제기 등은 위키프로젝트토론:문화유산에서 해 주세요.
- 표제어를 설명하는 첫 문장은 문화재 명칭을 정확히 반영하여 씁니다.
- 예) “서울 재동 백송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 → “서울 재동 백송은 서울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다. 대한민국의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 문장은 백과사전답게 쉽게 풀어 씁니다.
작업장
편집생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서나 추가, 정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문서를 추가해 주세요.
생성 필요
편집생성 전에 검색 등을 통해 해당 항목에 대한 문서가 위키백과 내에 없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보충 필요
편집정리 필요
편집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분류: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에서 개별 천연기념물 문서의 표제어 정리가 매우 급합니다. 봇에 의해 새 문서가 생성된 경우가 많아서, “표제어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다.”로 되어 있는 문서가 아주 많습니다.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를 예로 들면, 요 정도로만 손보시면 됩니다.
배너
편집문화유산 프로젝트가 다루는 범위 안에 있는 문서의 토론 문서 상단에 {{문화유산 프로젝트}}를 달아 주시면 됩니다. 다만, 생성되지 않은 토론 문서를 만들어서 다는 행위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서는 문화유산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문화유산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
기타 | 이 문서는 문서 품질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 |
기타 | 이 문서는 문서 중요도를 평가할 수 없습니다. |
알찬 문서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