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적 수론 과 가환대수학 에서 아이디얼 유군 (ideal類群, 영어 : ideal class group ) 또는 유군 (類群, 영어 : class group )은 데데킨트 정역 에서 유일 인수 분해가 실패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아벨 군 이다. 아이디얼 유군이 자명군 이 아니라면 유일 인수 분해가 성립하지 않는다.
정역
R
{\displaystyle R}
의 0이 아닌 아이디얼 들의 집합 위에 다음과 같은 동치관계를 부여하자.
a
∼
b
⟺
∃
r
,
s
∈
R
∖
{
0
}
:
(
r
)
a
=
(
s
)
b
{\displaystyle {\mathfrak {a}}\sim {\mathfrak {b}}\iff \exists r,s\in R\setminus \{0\}\colon (r){\mathfrak {a}}=(s){\mathfrak {b}}}
여기서
(
r
)
{\displaystyle (r)}
는
r
{\displaystyle r}
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 이다. 이 관계는 동치 관계 임을 보일 수 있으며, 또한 아이디얼의 곱셈과 호환된다. 즉, 이에 따른 동치류 집합은 가환 모노이드 를 이룬다. 만약
R
{\displaystyle R}
가 데데킨트 정역 이라면 이 가환 모노이드 는 아벨 군 을 이룸을 보일 수 있으며, 이 아벨 군을
R
{\displaystyle R}
의 아이디얼 유군 이라고 하고, 아이디얼 유군의 크기를 유수 (類數, 영어 : class number )라고 한다.
아이디얼 유군은 분수 아이디얼 로도 정의할 수 있다. 정역
R
{\displaystyle R}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가환 모노이드 들을 정의할 수 있다.
R
{\displaystyle R}
의 분수 아이디얼 의 곱셈에 대한 가환 모노이드
FracIdeal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Ideal} (R)}
. 및 그 가역원군
FracIdeal
(
R
)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Ideal} (R)^{\times }}
. 만약
R
{\displaystyle R}
가 데데킨트 정역 이라면 0이 아닌 모든 분수 아이디얼은 가역원 이다 (
FracIdeal
(
R
)
×
=
FracIdeal
(
R
)
∖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Ideal} (R)^{\times }=\operatorname {FracIdeal} (R)\setminus \{0\}}
).
R
{\displaystyle R}
의 주 분수 아이디얼 의 곱셈에 대한 가환 모노이드
PrFracIdeal
(
R
)
=
{
R
r
/
s
:
r
/
s
∈
Frac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FracIdeal} (R)=\{Rr/s\colon r/s\in \operatorname {Frac} R\}}
및 그 가역원군
PrFracIdeal
(
R
)
×
=
{
R
r
/
s
:
r
/
s
∈
(
Frac
R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FracIdeal} (R)^{\times }=\{Rr/s\colon r/s\in (\operatorname {Frac} R)^{\times }\}}
. (여기서
Frac
R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 R}
는 분수체 이다.)
이들 사이의 포함 관계는 다음과 같다.
FracIdeal
(
R
)
×
⊊
FracIdeal
(
R
)
∪
∪
PrFracIdeal
(
R
)
∩
FracIdeal
(
R
)
×
=
PrFracIdeal
(
R
)
×
⊊
PrFracIdeal
(
R
)
{\displaystyle {\begin{matrix}&\operatorname {FracIdeal} (R)^{\times }&\subsetneq &\operatorname {FracIdeal} (R)\\&\cup &&\cup \\\operatorname {PrFracIdeal} (R)\cap \operatorname {FracIdeal} (R)^{\times }=&\operatorname {PrFracIdeal} (R)^{\times }&\subsetneq &\operatorname {PrFracIdeal} (R)\end{matrix}}}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몫군 을
R
{\displaystyle R}
의 아이디얼 유군 이라고 한다.
Cl
(
R
)
=
FracIdeal
(
R
)
×
PrFracIdeal
(
R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R)={\frac {\operatorname {FracIdeal} (R)^{\times }}{\operatorname {PrFracIdeal} (R)^{\times }}}}
R
{\displaystyle R}
의 분수체
Frac
R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 R}
가 형식적 실체 라고 하자.
R
{\displaystyle R}
의 원소
r
∈
R
{\displaystyle r\in R}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완전히 양의 원소 (영어 : totally positive element )라고 한다.
임의의 순서체
(
K
,
≤
)
{\displaystyle (K,\leq )}
로의 매장
ι
:
Frac
R
↪
K
{\displaystyle \iota \colon \operatorname {Frac} R\hookrightarrow K}
에 대하여,
ι
(
r
)
>
0
{\displaystyle \iota (r)>0}
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추가 아벨 군 을 정의할 수 있다.
R
{\displaystyle R}
의 완전히 양의 주 분수 아이디얼(영어 : totally positive principal fractional ideal )의 아벨 군
PrFracIdeal
+
(
K
)
⊆
PrFracIdeal
(
K
)
×
{\displaystyle \operatorname {PrFracIdeal} _{+}(K)\subseteq \operatorname {PrFracIdeal} (K)^{\times }}
. 이는 완전히 양의 원소로 생성되는 주 아이디얼들의 곱셈에 대한 아벨 군 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몫군 을
R
{\displaystyle R}
의 좁은 유군 (영어 : narrow class group )이라고 한다.
Cl
+
(
R
)
=
FracIdeal
(
R
)
×
PrFracIdeal
+
(
R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_{+}(R)={\frac {\operatorname {FracIdeal} (R)^{\times }}{\operatorname {PrFracIdeal} _{+}(R)^{\times }}}}
대수적 수체 의 대수적 정수환 의 아이디얼 유군은 유한 아벨 군 이다. (대수적 정수환이 아닌 데데킨트 정역 의 경우, 아이디얼 유군이 무한 아벨 군일 수 있다.)
아이디얼 유군은 데데킨트 정역 에서 유일 인수 분해 가 실패하는 정도를 측정한다. 즉, 데데킨트 정역
R
{\displaystyle R}
의 경우,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R
{\displaystyle R}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이다.
R
{\displaystyle R}
는 주 아이디얼 정역 이다.
R
{\displaystyle R}
의 아이디얼 유군이 자명군 이다.
R
{\displaystyle R}
의 유수가 1이다.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d
<
0
{\displaystyle d<0}
에 대하여, 다음 두 집합 사이의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
이차 수체 의 대수적 정수환
O
Q
(
d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Q} ({\sqrt {d}})}}
의 아이디얼 유군
Cl
(
O
Q
(
d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mathcal {O}}_{\mathbb {Q} ({\sqrt {d}})})}
Q
(
d
)
{\displaystyle \mathbb {Q} ({\sqrt {d}})}
의 판별식 과 같은 판별식
b
2
−
4
a
c
{\displaystyle b^{2}-4ac}
을 갖는 정수 계수 2항 이차 형식
a
x
2
+
b
x
y
+
c
y
2
{\displaystyle ax^{2}+bxy+cy^{2}}
들의 집합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d
>
0
{\displaystyle d>0}
에 대하여, 다음 두 집합 사이의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
이차 수체 의 대수적 정수환
O
Q
(
d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Q} ({\sqrt {d}})}}
의 좁은 유군
Cl
+
(
O
Q
(
d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_{+}({\mathcal {O}}_{\mathbb {Q} ({\sqrt {d}})})}
Q
(
d
)
{\displaystyle \mathbb {Q} ({\sqrt {d}})}
의 판별식 과 같은 판별식
b
2
−
4
a
c
{\displaystyle b^{2}-4ac}
을 갖는 정수 계수 2항 이차 형식
a
x
2
+
b
x
y
+
c
y
2
{\displaystyle ax^{2}+bxy+cy^{2}}
들의 집합
따라서, 이 경우 정수 계수 2항 이차 형식 들의 집합은 자연스럽게 아벨 군 의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O
Q
(
d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Q} ({\sqrt {d}})}}
의 모든 0이 아닌 분수 아이디얼
I
∈
FracIdeal
(
O
Q
(
d
)
)
{\displaystyle {\mathfrak {I}}\in \operatorname {FracIdeal} ({\mathcal {O}}_{\mathbb {Q} ({\sqrt {d}})})}
은 다음과 같은 꼴로 나타낼 수 있다.[ 1] :Appendix A
I
=
Z
ω
1
+
Z
ω
2
(
ω
1
,
ω
2
∈
Q
(
d
)
,
ω
¯
1
ω
2
−
ω
1
ω
¯
2
d
>
0
)
{\displaystyle {\mathfrak {I}}=\mathbb {Z} \omega _{1}+\mathbb {Z} \omega _{2}\qquad \left(\omega _{1},\omega _{2}\in \mathbb {Q} ({\sqrt {d}}),\qquad {\frac {{\bar {\omega }}_{1}\omega _{2}-\omega _{1}{\bar {\omega }}_{2}}{\sqrt {d}}}>0\right)}
(여기서
a
+
b
d
¯
=
a
−
b
d
{\displaystyle {\overline {a+b{\sqrt {d}}}}=a-b{\sqrt {d}}}
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꼴의 분수 아이디얼
Z
ω
1
+
Z
ω
2
{\displaystyle \mathbb {Z} \omega _{1}+\mathbb {Z} \omega _{2}}
에 대응하는 정수 계수 2항 이차 형식은 다음과 같다.
Q
ω
1
,
ω
2
(
x
,
y
)
=
(
ω
1
x
−
ω
2
y
)
(
ω
¯
1
x
−
ω
¯
2
y
)
N
(
I
)
{\displaystyle Q_{\omega _{1},\omega _{2}}(x,y)={\frac {(\omega _{1}x-\omega _{2}y)({\bar {\omega }}_{1}x-{\bar {\omega }}_{2}y)}{\operatorname {N} ({\mathfrak {I}})}}}
여기서
N
(
I
)
=
|
ω
1
ω
¯
2
−
ω
¯
1
ω
2
d
|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N} ({\mathfrak {I}})=\left|{\frac {\omega _{1}{\bar {\omega }}_{2}-{\bar {\omega }}_{1}\omega _{2}}{\sqrt {d}}}\right|>0}
는 분수 아이디얼 의 절대 아이디얼 노름 (영어 : absolute ideal norm )이다. 즉, 분수 아이디얼
I
=
a
/
r
{\displaystyle {\mathfrak {I}}={\mathfrak {a}}/r}
에 대하여, 다음과 같다.
N
(
a
/
r
)
=
|
O
Q
(
d
)
/
a
|
|
N
Q
(
d
)
/
Q
(
r
)
|
∈
Q
+
(
a
⊆
R
,
r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N} ({\mathfrak {a}}/r)={\frac {|{\mathcal {O}}_{\mathbb {Q} ({\sqrt {d}})}/{\mathfrak {a}}|}{|\operatorname {N} _{\mathbb {Q} ({\sqrt {d}})/\mathbb {Q} }(r)|}}\in \mathbb {Q} ^{+}\qquad ({\mathfrak {a}}\subseteq R,\;r\in R)}
(여기서 분자는 몫환 의 크기 이며, 분모는 체 노름 의 절댓값 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디얼 유군은 매우 복잡한 패턴을 보이며, 많은 경우 계산하기 힘들다. 계산된 아이디얼 유군 또는 유수들의 예를 다음 표에 수록하였다.
수체
유군
유수
Q
{\displaystyle \mathbb {Q} }
1
1
Q
[
−
d
]
{\displaystyle \mathbb {Q} [{\sqrt {-d}}]}
,
d
=
1
,
2
,
3
,
7
,
11
,
19
,
43
,
67
,
163
{\displaystyle d=1,2,3,7,11,19,43,67,163}
1
1
Q
[
−
5
]
{\displaystyle \mathbb {Q} [{\sqrt {-5}}]}
Z
/
2
Z
{\displaystyle \mathbb {Z} /2\mathbb {Z} }
2
Q
[
d
]
{\displaystyle \mathbb {Q} [{\sqrt {d}}]}
,
d
=
2
,
3
,
5
,
6
,
7
,
11
,
13
,
14
,
17
,
…
{\displaystyle d=2,3,5,6,7,11,13,14,17,\dots }
(OEIS 의 수열 A003172 )
1
1
Q
(
ζ
n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n})}
,
n
=
1
,
…
,
21
,
24
,
25
,
27
,
28
,
32
,
33
,
35
,
36
,
40
,
44
,
45
,
48
,
60
,
84
{\displaystyle n=1,\dots ,21,24,25,27,28,32,33,35,36,40,44,45,48,60,84}
(OEIS 의 수열 A005848 )
1
1
Q
(
ζ
23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23})}
Z
/
3
Z
{\displaystyle \mathbb {Z} /3\mathbb {Z} }
3
Q
(
ζ
29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29})}
[ 2]
(
Z
/
2
Z
)
3
{\displaystyle (\mathbb {Z} /2\mathbb {Z} )^{3}}
8
Q
(
ζ
31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31})}
9
Q
(
ζ
68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68})}
[ 2]
Z
/
8
Z
{\displaystyle \mathbb {Z} /8\mathbb {Z} }
8
Q
[
x
]
/
(
x
3
−
x
2
−
2
x
+
1
)
{\displaystyle \mathbb {Q} [x]/(x^{3}-x^{2}-2x+1)}
1
1
Q
[
x
]
/
(
x
3
−
3
x
−
1
)
{\displaystyle \mathbb {Q} [x]/(x^{3}-3x-1)}
1
1
Q
[
x
]
/
(
x
3
−
x
2
−
3
x
+
1
)
{\displaystyle \mathbb {Q} [x]/(x^{3}-x^{2}-3x+1)}
1
1
아이디얼 유군이 자명한 허수 이차 수체 의 수는 유한하다.
Q
[
−
d
]
{\displaystyle \mathbb {Q} [{\sqrt {-d}}]}
에서 가능한
d
{\displaystyle d}
는 총 9개이며, 다음과 같다.
d = 1, 2, 3, 7, 11, 19, 43, 67, 163 (OEIS 의 수열 A003173 )
이 수들을 헤그너 수 라고 한다. 이들은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가 처음 나열하였고, 쿠르트 헤그너 (Kurt Heegner)가 이 목록이 전부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수 이차 수체
Q
[
d
]
{\displaystyle \mathbb {Q} [{\sqrt {d}}]}
가운데 유수가 1인 경우는 더 많으며, 다음과 같다.[ 3] :37
d = 2, 3, 5, 6, 7, 11, 13, 14, 17, 19, 21, 22, 23, … (OEIS 의 수열 A003172 )
아이디얼 유군이 자명한 원분체 의 수는 유한하다.
Q
[
ζ
n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n}]}
이 유한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n = 1, 3, 4, 5, 7, 8, 9, 11, 12, 13, 15, 16, 17, 19, 20, 21, 24, 25, 27, 28, 32, 33, 35, 36, 40, 44, 45, 48, 60, 84 (OEIS 의 수열 A005848 )
여기서 만약
n
≡
2
(
mod
4
)
{\displaystyle n\equiv 2{\pmod {4}}}
라면
Q
[
ζ
n
]
=
Q
[
ζ
n
/
2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n}]=\mathbb {Q} [\zeta _{n/2}]}
이므로, 이러한 경우는 생략하였다.
소수 계수의 원분체
Q
[
ζ
p
]
{\displaystyle \mathbb {Q} [\zeta _{p}]}
의 유수는 (OEIS 의 수열 A005848 )에 의하여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