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박
역사
편집국가 | 100만톤 |
---|---|
중국 | |
인도 | |
우크라이나 | |
러시아 | |
Source: FAOSTAT of the United Nations[1] |
호박은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또는 남아메리카 북부가 원산인 채소이다.[2][3]
한국에는 호박(C. moschata) 품종이 임진왜란(1592~1598) 이후에 중국을 거쳐 들어왔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 호박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1618년 책인 《한정록》의 〈치농편〉으로, 호박을 심고 재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4] 《성종실록》에는 이보다 앞선 1479년에 제주도 사람인 김비의, 강무, 이정이 류쿠국의 "소내시마"에서 호박을 봤다는 기록이 나온다.[5]
서양호박(C. maxima) 품종인 단호박은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 들어왔으나 "왜호박"이라 부르며 꺼렸으며, 페포호박(C. pepo)인 주키니호박은 1955년에 도입되었다.[6]
종류와 특징
편집호박(C. moschata), 서양호박(C. maxima), 페포호박(C. pepo) 등이 있으며, 수확 시기에 따라 여름 호박과 겨울 호박으로 나누기도 한다. 한국의 맷돌호박과 애호박, 조선호박 등은 호박(C. moschata)의 재배품종이다. 잭오랜턴을 만들 때 쓰는 호박이나 애호박과 비슷하게 생긴 주키니호박은 페포호박(C. pepo)의 재배품종이고, 단호박은 서양호박(C. maxima)의 재배품종이다. 미국에서는 호박을 "펌킨(pumpkin)"과 "스쿼시(squash)"로 나누기도 하는데, 생장기간이 길고 덩굴이 길게 뻗으며 큰 열매가 맺히는 품종을 "펌킨"으로, 빨리 자라고 작은 열매를 맺으며 덩굴이 뻗지 않는 품종을 스쿼시로 부른다.
쓰임새
편집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09 kJ (26 kcal) |
6.5 g | |
당분 | 2.76 g |
식이 섬유 | 0.5 g |
0.1 g | |
1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53% 426 μg29% 3100 μg1500 μg |
티아민 (B1) | 4% 0.05 mg |
리보플라빈 (B2) | 9% 0.11 mg |
나이아신 (B3) | 4% 0.6 mg |
판토테산 (B5) | 6% 0.298 mg |
비타민 B6 | 5% 0.061 mg |
엽산 (B9) | 4% 16 μg |
비타민 C | 11% 9 mg |
비타민 E | 3% 0.44 mg |
비타민 K | 1% 1.1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2% 21 mg |
철분 | 6% 0.8 mg |
마그네슘 | 3% 12 mg |
망간 | 6% 0.125 mg |
인 | 6% 44 mg |
칼륨 | 7% 340 mg |
나트륨 | 0% 1 mg |
아연 | 3% 0.32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91.6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
호박 열매는 비타민A와 칼륨이 풍부하며, 여러 방법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다. 한국에서는 호박죽을 끓이거나 떡 등에 첨가하여 먹고, 산후조리로 붓기를 빼기위해서 먹기도 한다. 서양에서는 파이를 만들어 먹는다. 호박 씨는 널리 애용되는 간식이고 단백질과 철분의 공급원이기도 하다.[7]
항암 효과에 좋은 알파카로틴(alpha-carotene)이 다량 함유돼 있고 단백질과 식이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어 당뇨와 다이어트에 좋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켜주며,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은 물론 대장암 예방에 효과적이다.[8]
핼러윈에는 등을 만드는 재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Pumpkin production in 2018 (includes squash and gourds),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19. 2020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Tsao, Jocelyn Shing-Jy; Lo, Hsiao-Feng. 〈Vegetables: Types and Biology〉. Hui, Y. H. 《Handbook of Food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영어). CRC Press. ISBN 978-1-4665-0787-6.
- ↑ Robinson, R. W.; Decker-Walters, D. S. (1997). 《Cucurbits》. Crop Production Science in Horticulture (영어). CABI. ISBN 978-0-85199-133-7.
- ↑ 허균 (1618). 〈治農〉 [치농]. 《閑情錄》 [한정록].[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제주도 표류인 김비의 등으로부터 유구국 풍속과 일본국 사정을 듣다》. 성종실록 105. 조선. 1479년 6월 10일.
- ↑ 정종도. “호박의 우리나라에서의 내력”. 《경상북도농업정보DB》. 경상북도농업기술원. 2018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위키문헌/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생물II·식물·관찰/식물의 계통과 분류/속 씨 식 물/쌍떡잎 식물〉
- ↑ “[알토란레시피] 얼굴 붓기 빼기 좋은 '알토란' 호박죽 만드는 법과 호박 효능·부작용·보관법·손질법은?”. 《공감신문》. 2018년 10월 29일. 2018년 11월 7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호박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