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신

(의촉생상에서 넘어옴)

6상신(六想身)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인식대상의 물질적 · 정신적(개념적) 차별상(差別相)을 파악하게 하는 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想) 또는 상온(想蘊)을 그것의 발동근거6근(六根)에 따라 6종으로 나눈 것이다.[1][2][3][4][5][6][7][8]

ṣaṭ saṃjñā-kāyāḥ의 번역
한국어육상신, 육상
영어six classes of ideation,
six classes of perception
산스크리트어ṣaṭ saṃjñā-kāyāḥ
팔리어ṣaḍ-saññā-uppādetabbā
중국어六想身(T) / 六想身(S)
六想(T) / 六想(S)

(한어 병음liùxiǎng shēn)
티베트어'du shes kyi tshogs drug po,
'du shes drug
불교 용어 목록

6상신(六想身)에서 (身)은 집합 또는 복수를 나타내는 복수형 접미사로, 6상신6상(六想)과 같은 말이다.[9][10][11][12]

경전과 논서에 따라 6상신의 각각을 지칭하는 명칭이 약간 다른데 《잡아함경》 등에서는 안촉생상(眼觸生想) · 이촉생상(耳觸生想) · 비촉생상(鼻觸生想) · 설촉생상(舌觸生想) · 신촉생상(身觸生想) · 의촉생상(意觸生想)이라고 하고 있다.[13]

중아함경》《해탈도론》등에서는 안상(眼想) · 이상(耳想) · 비상(鼻想) · 설상(舌想) · 신상(身想) · 의상(意想)이라고 하고 있다.[14][15]

품류족론》《대비바사론》《구사론》《유가사지론》《현양성교론》《잡집론》 등의 논서에서는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 ·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 ·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 ·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 ·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 ·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이라고 하고 있다.[16]

한편, 《장아함경》과 《사리불아비담론》에서는 발동근거소의(所依)인 (根)에 따라 분별하여 명칭을 붙이지 않고 인식대상(境)에 따라 분별하여 명칭을 붙여, 6상신의 각각을 색상(色想) · 성상(聲想) · 향상(香想) · 미상(味想) · 촉상(觸想) · 법상(法想)이라고 이름하고 있다.[17]

6상신

편집

안촉생상

편집

안촉생상(眼觸生想)은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 · 안상(眼想) 또는 색상(色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안촉으로 생기는 상[眼觸生想] · 안촉에 의해 생겨난 상[眼觸所生想] ·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眼觸所生想] · 안근의 상[眼想] · 색에 대한 상[色想] · 색깔에 대한 상[色想]이라고도 한다.

안근색경안식화합안촉(眼觸)과 동시생겨나는 시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시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20]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은 안근[眼]과 색경[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안식(眼識)이 생겨날 때, 안근 · 색경 · 안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안근안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색경안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안촉안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안촉소생상안촉소생작의(眼觸所生作意) 즉 안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안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색경에 대한[於眼所識色]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이촉생상

편집

이촉생상(耳觸生想)은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 · 이상(耳想) 또는 성상(聲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이촉으로 생기는 상[耳觸生想] · 이촉에 의해 생겨난 상[耳觸所生想] · 귀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耳觸所生想] · 이근의 상[耳想] 또는 소리에 대한 상[聲想]으로 번역된다.

이근성경이식화합이촉(耳觸)과 동시생겨나는 청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청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은 이근[耳]과 성경[聲]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이식(耳識)이 생겨날 때, 이근 · 성경 · 이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이근이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성경이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이촉이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이촉소생상이촉소생작의(耳觸所生作意) 즉 이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이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성경에 대한[於耳所識聲]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이촉소생상(耳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비촉생상

편집

비촉생상(鼻觸生想)은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 · 비상(鼻想) 또는 향상(香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비촉으로 생기는 상[鼻觸生想] · 비촉에 의해 생겨난 상[鼻觸所生想] · 코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鼻觸所生想] · 비근의 상[鼻想] 또는 향기에 대한 상[香想]으로 번역된다.

비근향경비식화합비촉(鼻觸)과 동시생겨나는 후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후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은 비근[鼻]과 향경[香]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비식(鼻識)이 생겨날 때, 비근 · 향경 · 비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비근비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향경비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비촉비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비촉소생상비촉소생작의(鼻觸所生作意) 즉 비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비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향경에 대한[於鼻所識香]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비촉소생상(鼻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설촉생상

편집

설촉생상(舌觸生想)은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 · 설상(舌想) 또는 미상(味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설촉으로 생기는 상[舌觸生想] · 설촉에 의해 생겨난 상[舌觸所生想] · 혀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舌觸所生想] · 설근의 상[舌想] 또는 맛에 대한 상[味想]으로 번역된다.

설근미경설식화합설촉(舌觸)과 동시생겨나는 미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미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은 설근[舌]과 미경[味]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설식(舌識)이 생겨날 때, 설근 · 미경 · 설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설근설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미경설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설촉설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설촉소생상설촉소생작의(舌觸所生作意) 즉 설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설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미경에 대한[於舌所識味]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설촉소생상(舌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신촉생상

편집

신촉생상(身觸生想)은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 · 신상(身想) 또는 촉상(觸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신촉으로 생기는 상[身觸生想] · 신촉에 의해 생겨난 상[身觸所生想] · 몸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身觸所生想] · 신근의 상[身想] 또는 감촉에 대한 상[觸想]으로 번역된다.

신근촉경신식화합신촉(身觸)과 동시생겨나는 촉각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촉각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은 신근[身]과 촉경[觸]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신식(身識)이 생겨날 때, 신근 · 촉경 · 신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신근신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촉경신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신촉신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신촉소생상신촉소생작의(身觸所生作意) 즉 신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신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촉경에 대한[於身所識觸]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신촉소생상(身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의촉생상

편집

의촉생상(意觸生想)은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 · 의상(意想) 또는 법상(法想)이라고도 한다.

번역하여 의촉으로 생기는 상[意觸生想] · 의촉에 의해 생겨난 상[意觸所生想] · 뜻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意觸所生想] · 의근의 상[意想] 또는 법에 대한 상[法想]으로 번역된다.

의근법경의식화합의촉(意觸)과 동시생겨나는 정신적인 (想)의 마음작용, 즉 정신취상(取像) · 표상(表象) · 개념화(槪念化)의 마음작용을 말한다.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18][19]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은 의근[意]과 법경[法]을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으로 하여 의식(意識)이 생겨날 때, 의근 · 법경 · 의식3화합(三和合)으로 인해 [三和合故觸]이 생겨남동시에 또한 이 (觸)이 (緣: 원인 또는 간접적 원인)이 되어서 생겨나는 (想)이다.
이 때 의근의촉소생상증상(增上) 즉 소의(所依)가 되고 법경의촉소생상소연(所緣)이 된다. 의촉의촉소생상(因: 직접적 원인)이 되고 (集: 집기)이 되고 (類: 등류)가 되고 (生: 생겨나게 함, 생상)이 된다. 그리고 의촉소생상의촉소생작의(意觸所生作意) 즉 의촉으로 인해 생겨난 작의(作意)와 상응한다.
의근에 의해 인식[識]되는 법경에 대한[於意所識法] 모든 (想: 취상, 표상, 개념화) · 등상(等想: 그 모두에 대한 취상, 표상, 개념화) · 증상등상(增上等想: 그 모두에 대한 뛰어난 취상, 표상, 개념화) · 이상(已想: 과거의 취상, 표상, 개념화) · 상류(想類: 취상, 표상, 개념화의 등류)를 통칭하여 의촉소생상(意觸所生想)이라 이름한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949,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49(25-149), T.1542(26-692).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우 조, 현장 한역 (T.1542).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대정신수대장경. T26, No. 154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8. 상(想)
    "想謂於境取差別相。"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3 / 1397. 상(想)
    "상(想)이란 이를테면 대상[境]에 대한 차별의 상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상(saṃjñā)이란 취상(取像)의 뜻으로, 사물의 형상이나 언어적 개념의 차별상을 취(표상)하는 의식작용이다."
  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권. p. T29n1558_p0004a04 - T29n1558_p0004a06
    "想蘊謂能取像為體。即能執取青黃長短男女怨親苦樂等相。此復分別成六想身。應如受說。"
  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28 / 1397
    "상온(想蘊)이란 말하자면 능히 취상(取像)을 본질로 하는 것으로, 능히 청 · 황 · 장 · 단 · 남 · 여 · 원(怨) · 친(親) · 고 · 락 등의 상(相)을 집취(執取)한다. 이것도 다시 분별하면 6상신(想身)을 성취하게 되니, 앞의 수온에서 논설한 바와 같다."
  5.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 T31n1605_p0664a03 - T31n1605_p0664a12
    "云何建立想蘊。謂六想身。眼觸所生想。耳觸所生想。鼻觸所生想。舌觸所生想。身觸所生想。意觸所生想。由此想故。或了有相。或了無相。或了小或了大。或了無量。或了無少所有無所有處。何等有相想。謂除不善言說無想界定及有頂定想。所餘諸想。何等無相想。謂所餘想。何等小想。謂能了欲界想。何等大想。謂能了色界想。何等無量想。謂能了空無邊處識無邊處想。何等無少所有無所有處想。謂能了無所有處想。"
  6.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p. T31n1612_p0848b29
    "云何想蘊。謂於境界取種種相。"
  7. 佛門網, "六想身".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身: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集論一卷四頁云:云何建立想蘊?謂六想身。眼觸所生想,耳觸所生想,鼻觸所生想,舌觸所生想,身觸所生想,意觸所生想。
    二解 集異門論十五卷二頁云:六想身者:云何為六?答:一、眼觸所生想身。二、耳觸所生想身。三、鼻觸所生想身。四、舌觸所生想身。五、身觸所生想身。六、意觸所生想身。云何眼觸所生想身?答:眼及諸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想。此中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眼觸等起,眼觸種類,眼觸所生,眼觸所起,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想等想現前等想已想當想。是名眼觸所生想身。耳鼻舌身意觸所生想身,隨所應,當廣說。
    三解 界身足論上二頁云:六想身云何?一、眼觸所生想。二、耳觸所生想。三、鼻觸所生想。四、舌觸所生想。五、身觸所生想。六、意觸所生想。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ṣaṭ saṃjñā-kāyāḥ.
    頁數: P 225"
  8. DDB, "六想身".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身:
    Pronunciations: [py] liùxiǎng shēn [wg] liu-hsiang-shen [hg] 육상신 [mc] yuksang sin [mr] yuksang sin [kk] ロクソウシン [hb] rokusō shin
    Basic Meaning: six classes of ideation
    Senses:
    # ...associated with the six faculties 六根 of the body. In some texts, simply 六想. (Skt. ṣaṭ-saṃjñā-kāyāḥ; Tib. 'du shes kyi tshogs drug po) 〔瑜伽論 T 1579.30.419a29〕 [Charles Muller; source(s): Nakamura, YBh-Ind]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456b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167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3017a
    Sanskrit-Tibetan Index for the Yogâcārabhūmi-śāstra (Yokoyama and Hirosawa) {Digital Version}"
  9. 곽철환 2003, "육상신(六想身)".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육상신(六想身): 신(身)은 산스크리트어 kāya의 번역으로 어미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육근(六根)과 육경(六境)과 육식(六識)의 화합으로 일어나는, 대상에 여러 가지 이름을 부여하거나 다양한 개념을 지어내는 의식 작용."
  10. 곽철환 2003, "신(身)". 2013년 1월 28일에 확인
    "신(身): ① 산스크리트어 kāya 몸. 신체. ② 산스크리트어 ātman 나. 자신. ③ 산스크리트어 janma 생존. ④ 산스크리트어 kāya 신근(身根)의 준말. ⑤ 산스크리트어 kāya 인식 주체. 인식 작용을 일으키는 주체. ⑥ 산스크리트어 kāya 모임·종류의 뜻으로, 어미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11. 星雲, "六想".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  指六根觸對六塵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稱為六想。據大集法門經卷下載,即:(一)眼想,謂眼根對色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二)耳想,謂耳根聞聲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三)鼻想,謂鼻根聞香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四)舌想,謂舌根嘗味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五)身想,謂身根覺觸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六)意想,謂意根分別諸法之時,與識相應而起之想念。〔雜阿含經卷二〕 p1295"
  12. DDB, "六想".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
    Pronunciations: [py] liùxiǎng [wg] liu-hsiang [hg] 육상 [mc] yuksang [mr] yuksang [kk] ロクソウ [hb] rokusō
    Basic Meaning: six classes of perception
    Senses:
    # When the six faculties of the body 六根 make contact with the six sensory objects 六塵, they allow for the arising of a consciousness which in term leads to a perception 想. Thus, there are six: (1) visual perceptions 眼想, which occur when the visual faculty contacts form, and the resultant consciousness gives rise to a perception: (2) auditory perceptions 耳想, which occur when the auditory faculty makes contact with sounds, and the resultant consciousness gives rise to a perception. (3) olfactory perceptions 鼻想, which occur when one's olfactory faculty makes contact with smells 香, and the resultant consciousness gives rise to a perception; (4) gustatory perceptions 舌想, which occur when one's organ of taste makes contact with a taste 味, and the resultant consciousness gives rise to a perception; (5) tactile perceptions 身想, which occur when one's bodily surfaces contact physical objects and the resultant consciousness gives rise to a perception; (6) conceptual (linguistic) perceptions 意想, which occur when one's faculty of thought apprehends concepts, and the resultant consciousness gives rise to a perception. 〔雜阿含經, 卷二〕 [Charles Muller; source(s): FGD]
    # Alternative rendering of 六想身 (Skt. ṣaṭ-saṃjñā-kāyāḥ; Pāli ṣaḍ-saññā-uppādetabbā; Tib. 'du shes drug). [Charles Muller; source(s): YBh-Ind]
    # 〔瑜伽論 T 1579.30.419a29〕 [Charles Muller]
    [Dictionary References]
    Fo Guang Dictionary 1295"
  13. 구글 CBETA 검색, "六想身 眼觸生想".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身 眼觸生想:
    CBETA T02 No. 99《雜阿含經》卷13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02/0099_013.htm
    T02n0099_p0092a19(09)║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世尊告諸比丘:「有
    想身。 T02n0099_p0092a20(02)║云何為六?謂眼觸生想,耳、鼻、舌、身、意觸生 ...
    CBETA T26 No. 1541《眾事分阿毘曇論》卷2
    www.cbeta.org/result/normal/T26/1541_002.htm
    云何六受身。 T26n1541_p0634b08(10)║謂眼觸生受耳鼻舌身意觸生受。云何六想
    。 T26n1541_p0634b09(09)║謂眼觸生想T耳鼻舌身意觸生想。云何六思身。
    CBETA T02 No. 99《雜阿含經》卷3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02/0099_003.htm
    六想身。何等為六?謂眼觸生想, T02n0099_p0015c27(03)║乃至意觸生想,是
    名想受陰。復次,彼想受陰無常、 T02n0099_p0015c28(00)║苦、變易之法,乃至滅 ...
    CBETA T02 No. 99《雜阿含經》卷2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02/0099_002.htm
    云何想如實知?謂六想身。 T02n0099_p0009b29(02)║云何為六?謂眼觸生想,耳
    、鼻、舌、身、意觸生想, T02n0099_p0009c01(01)║是名想,如是想如實知。
    CBETA T02 No. 99《雜阿含經》卷5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02/0099_005.htm
    六想身——眼觸生想,耳、鼻、 T02n0099_p0034c08(00)║舌、身、意觸生想。此
    六想身一一見是我, T02n0099_p0034c09(01)║是名想即是我。云何見想異我?
    CBETA T28 No. 1546《阿毘曇毘婆沙論》卷39
    www.cbeta.org/result/normal/T28/1546_039.htm
    阿毘曇說亦爾。云何想陰。謂六想身。 T28n1546_p0287c29(01)║眼觸生想。耳鼻舌
    身意觸生想。如佛經說。 T28n1546_p0288a01(02)║阿毘曇說亦爾。云何行陰。"
  14. 구글 CBETA 검색, "六想身 眼想".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身 眼想:
    CBETA T01 No. 26《中阿含經》卷21
    www.cbeta.org/result/normal/T01/0026_021.htm
    T01n0026_p0562c05(04)║我本為汝說六想身眼想,耳、鼻、舌、身、意想。阿難!
    T01n0026_p0562c06(02)║此六想身,汝當為諸年少比丘說以教彼, ..."
  15. 구글 CBETA 검색, "[1]".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色想:
    CBETA T28 No. 1548《舍利弗阿毘曇論》卷23
    www.cbeta.org/result/normal/T28/1548_023.htm
    復次想六想。 T28n1548_p0672b01(05)║色想聲香味觸法想。何謂色想。若想眼識
    相應。 T28n1548_p0672b02(03)║是名色想。聲香味觸法亦如是。復次色想
    CBETA T26 No. 1537《阿毘達磨法蘊足論》卷11
    www.cbeta.org/result/normal/T26/1537_011.htm
    云何想界。謂六想身。 T26n1537_p0504b25(01)║即眼觸所生想。 .....
    T26n1537_p0506c21(00)║超諸色想。滅有對想。不思惟種種想。
    T26n1537_p0506c22(03)║ ...
    CBETA T01 No. 1《長阿含經》卷8
    www.cbeta.org/result/normal/T01/0001_008.htm
    復有六法,謂六想身: T01n0001_p0051c23(00)║色想、聲想、香想、味想、觸想、法
    想。復有六法, T01n0001_p0051c24(00)║謂六思身:色思、聲思、香思、味思、觸 ...
    CBETA T01 No. 26《中阿含經》卷21
    www.cbeta.org/result/normal/T01/0026_021.htm
    T01n0026_p0561a10(08)║入第四禪者以入息出息為刺,入空處者以色想為刺, .....
    T01n0026_p0562c06(02)║此六想身,汝當為諸年少比丘說以教彼, ...
    CBETA T01 No. 12《大集法門經》卷2
    www.cbeta.org/result/normal/T01/0012_002.htm
    T01n0012_p0231c01(02)║意觸為緣所生諸受。 T01n0012_p0231c02(00)║「復
    次,六想,是佛所說。謂色想、聲想、香想、 T01n0012_p0231c03(00)║味想、觸想、 ...
    CBETA T28 No. 1548《舍利弗阿毘曇論》卷3
    www.cbeta.org/result/normal/T28/1548_003.htm
    T28n1548_p0544c06(10)║六想想陰色想聲香味觸法想。是名想陰。云何想陰。
    T28n1548_p0544c07(06)║七想想陰眼識界相應想耳鼻舌身意界意識界相應想。
    CBETA X12 No. 273《楞嚴經正脈疏科》卷7
    www.cbeta.org/result/normal/X12/0273_007.htm
    X12n0273_p0148a32 (00)║ 二推由六想成輪(三) X12n0273_p0148a33 (00)║ ...
    X12n0273_p0148a45 (00)║ 二色想有無四生(四) X12n0273_p0148a46 (00)║ ...
    CBETA T28 No. 1548《舍利弗阿毘曇論》卷10
    www.cbeta.org/result/normal/T28/1548_010.htm
    六想身色想聲香味觸法想。 T28n1548_p0597c22(00)║是名六想身。如是比丘知
    想。 T28n1548_p0597c23(06)║云何比丘知想集。如比丘以觸集知想集。如是比丘 ...
    CBETA T32 No. 1648《解脫道論》卷1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48_011.htm
    六想身。六思身。六愛身。 T32n1648_p0454b07(03)║六覺六觀。此十六成六十。六
    十無常見。六十苦見。 ... 如是觀彼想想相。或為色想或為法想。如是觀知行行相。
    CBETA T32 No. 1648《解脫道論》卷10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48_010.htm
    以由毘尼五想。於不淨淨想。 T32n1648_p0447c04(01)║於不淨不淨想。於淨不淨
    想。於淨淨想。疑想。 T32n1648_p0447c05(00)║以由事六想色想聲想香想味想 ...
    CBETA T42 No. 1828《瑜伽論記》卷8
    www.cbeta.org/result/normal/T42/1828_008.htm
    ... 乃至不作意轉等。此據身在下欲依虛空此處遣色想時。 .... 初五想修神境通。依第六
    想修宿住通。 .... T42n1828_p0475b10(03)║內無色觀外色想。內無色觀青黃等淨 ...
    CBETA T42 No. 1828《瑜伽論記》卷24
    www.cbeta.org/result/normal/T42/1828_024.htm
    T42n1828_p0859c06(11)║第五第六想共治第五貪著美味。所餘七想。名治一過患。
    ... 名趣空處。 T42n1828_p0860a06(00)║雜色想有對想種種別異想動無動之行。
    CBETA T28 No. 1548《舍利弗阿毘曇論》卷21
    www.cbeta.org/result/normal/T28/1548_021.htm
    若比丘離一切色想。 T28n1548_p0663c12(01)║滅 ... T28n1548_p0663c24(05)║
    是名非受陰法。何謂想陰法。若六想。是名想陰法。 T28n1548_p0663c25(03)║ ...
    CBETA X14 No. 298《楞嚴經直解》卷10
    www.cbeta.org/result/normal/X14/0298_010.htm
    ... 即彼六塵緣影分別計度為之影事今想銷滅故云無復云云也觀諸下謂內六想既盡則
    ...... 399)║ 這一節經世尊結前生後正答五陰想心之問文有五段此先明色想也初是故 ...
    CBETA X12 No. 275《楞嚴經正脈疏》卷7
    www.cbeta.org/result/normal/X12/0275_007.htm
    (06)║ △二推由六想成輪。問既曰推由。豈不是因。答此取受生時。 (02)║ 循聲逐色
    。 .... (02)║ △二色想有無四生。分四。一有色。 (00)║由因世界留礙輪迴障顛倒故。
    CBETA T85 No. 2801《瑜伽師地論分門記》卷2
    www.cbeta.org/result/normal/T85/2801_002.htm
    T85n2801_p0868a08(00)║二答分二。一明有相想等六想分六如論。 ...... 相分五一
    釋空無邊處經句分五。 T85n2801_p0882b01(02)║一明色想出過義分三。一立因。
    CBETA T42 No. 1828《瑜伽論記》卷23
    www.cbeta.org/result/normal/T42/1828_023.htm
    T42n1828_p0840b20(01)║五種妙欲引發五種色想。 ..... 當知施設我自性者乃至過
    此餘我不可得者佛法之中但於十二處中生起六識六受六想六思假設我。
    CBETA X13 No. 287《楞嚴經疏解蒙鈔》卷10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X13/0287_010.htm
    X13n0287_p0791c24 (00)║ 色蘊唯攝十一種色。想受二蘊。但攝心所遍行中二數。
    四蘊但攝二十一法。 ...... 論言非有想十六想。 X13n0287_p0798b07 (03)║ 乃至得 ...
    CBETA X40 No. 721《毗尼關要事義》卷1
    www.cbeta.org/result/normal/X40/0721_001.htm
    X40n0721_p0649c04 (08)║ 和合積聚而成六想也。如意識著色想色。與著聲想聲等
    。 ...... (00)║ 第九謂行人離一切色想。滅瞋恚想。 (04)║ 不思惟若干想。何謂若干 ...
    CBETA X15 No. 301《楞嚴經精解評林》卷2
    www.cbeta.org/result/normal/X15/0301_002.htm
    謂能取六想。容現六塵。謂所取六 ... X15n0301_p0248b07 (04)║ 謂於六想之後。各
    起不善業善業 ...... (00)║色想結成塵精了不能徹(至)云何獲圓通。 (00)║ (孤山曰。"
  16. 구글 CBETA 검색, "六想身 眼觸所生想".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身 眼觸所生想:
    CBETA T26 No. 1540《阿毘達磨界身足論》卷1
    www.cbeta.org/result/normal/T26/1540_001.htm
    六想身。六思身。六愛身。 T26n1540_p0614b15(03)║十大地法云何。一受。二想。
    三思。四觸。五作意。六欲。 ..... 眼觸所生想云何。 T26n1540_p0615c27(03)║謂眼 ...
    CBETA T26 No. 1540《阿毘達磨界身足論》卷3
    www.cbeta.org/result/normal/T26/1540_003.htm
    T26n1540_p0622a19(11)║以觸對尋伺識法六識身六受身六想身六思身。隨所應當
    廣 ..... T26n1540_p0625a16(08)║謂除眼觸所生想相應及眼觸所生受不相應法。
    CBETA T26 No. 1536《阿毘達磨集異門足論》卷15
    www.cbeta.org/result/normal/T26/1536_015.htm
    隨所應當廣說。 T26n1536_p0429b06(00)║六想身者云何為六。答一眼觸所生想 ...
    T26n1536_p0429b09(00)║云何眼觸所生想身。 T26n1536_p0429b10(09)║答 ...
    CBETA T26 No. 1542《阿毘達磨品類足論》卷2
    www.cbeta.org/result/normal/T26/1542_002.htm
    耳觸所生受。 T26n1542_p0698c24(03)║鼻觸所生受。舌觸所生受。身觸所生受。意
    觸所生受。 T26n1542_p0698c25(00)║六想身云何。謂眼觸所生想。耳觸所生想。
    CBETA T31 No. 1605《大乘阿毘達磨集論》卷1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5_001.htm
    六想身眼觸所生想。 T31n1605_p0664a04(02)║耳觸所生想。鼻觸所生想。舌觸
    所生想。 T31n1605_p0664a05(04)║身觸所生想。意觸所生想。由此想故。或了有 ...
    CBETA T26 No. 1536《阿毘達磨集異門足論》卷11
    www.cbeta.org/result/normal/T26/1536_011.htm
    是故名為說名受蘊。諸所有想者。 T26n1536_p0413a27(00)║云何名為諸所有想。
    答盡所有想。 T26n1536_p0413a28(04)║謂六想身何等為六。謂眼觸所生想
    CBETA T26 No. 1542《阿毘達磨品類足論》卷3
    www.cbeta.org/result/normal/T26/1542_003.htm
    ... 等想已想想類。 T26n1542_p0701a19(06)║是名眼觸所生想。耳鼻舌身意觸所生
    想亦爾。 .... 耳鼻舌身意觸所生受六想身。 T26n1542_p0702a06(03)║應知亦爾。
    CBETA T31 No. 1602《顯揚聖教論》卷5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2_005.htm
    T31n1602_p0505a27(00)║依差別者。謂六想。身眼觸所生想。
    T31n1602_p0505a28(04)║乃至意觸所生想。 T31n1602_p0505a29(00)║作意
    差別者。有二種。
    CBETA T30 No. 1579《瑜伽師地論》卷27
    www.cbeta.org/result/normal/T30/1579_027.htm
    T30n1579_p0433c13(04)║狹小想廣大想。無量想無諸所有無所有處想。
    T30n1579_p0433c14(02)║復有六想身。則眼觸所生想。 T30n1579_p0433c15(07
    )║耳鼻 ...
    CBETA T26 No. 1537《阿毘達磨法蘊足論》卷11
    www.cbeta.org/result/normal/T26/1537_011.htm
    是名受界。云何想界。謂六想身。 T26n1537_p0504b25(01)║即眼觸所生想。乃至意
    觸所生想。是名想界。 T26n1537_p0504b26(01)║云何行界。謂六思身。即眼觸所 ...
    CBETA T31 No. 1606《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1
    www.cbeta.org/result/normal/T31/1606_001.htm
    謂離繫及隨順離繫。 T31n1606_p0696c19(03)║云何建立想蘊。謂六想身眼觸所
    生想。 T31n1606_p0696c20(04)║乃至意觸所生想。由此想故或了有相。或了無相 ...
    CBETA T27 No. 1545《阿毘達磨大毘婆沙論》卷74
    www.cbeta.org/result/normal/T27/1545_074.htm
    六想身眼觸所生想。 T27n1545_p0383c01(02)║乃至意觸所生想。契經及阿毘
    達磨皆作是說。 T27n1545_p0383c02(00)║問行蘊云何。答契經說此是六思身。"
  17. 구글 CBETA 검색, "六想身 色想". 2013년 5월 19일에 확인.
    "六想身 色想:
    CBETA T01 No. 26《中阿含經》卷21
    www.cbeta.org/result/normal/T01/0026_021.htm
    T01n0026_p0561a10(08)║入第四禪者以入息出息為刺,入空處者以色想為刺, .....
    T01n0026_p0562c06(02)║此六想身,汝當為諸年少比丘說以教彼, ...
    CBETA T01 No. 1《長阿含經》卷8
    www.cbeta.org/result/normal/T01/0001_008.htm
    復有六法,謂六想身: T01n0001_p0051c23(00)║色想、聲想、香想、味想、觸想、法
    想。復有六法, T01n0001_p0051c24(00)║謂六思身:色思、聲思、香思、味思、觸 ...
    CBETA T28 No. 1548《舍利弗阿毘曇論》卷10
    www.cbeta.org/result/normal/T28/1548_010.htm
    六想身色想聲香味觸法想。 T28n1548_p0597c22(00)║是名六想身。如是比丘知
    想。 T28n1548_p0597c23(06)║云何比丘知想集。如比丘以觸集知想集。如是比丘 ...
    CBETA T26 No. 1537《阿毘達磨法蘊足論》卷11
    www.cbeta.org/result/normal/T26/1537_011.htm
    云何想界。謂六想身。 T26n1537_p0504b25(01)║即眼觸所生想。 .....
    T26n1537_p0506c21(00)║超諸色想。滅有對想。不思惟種種想。
    T26n1537_p0506c22(03)║ ...
    CBETA T32 No. 1648《解脫道論》卷1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48_011.htm
    六想身。六思身。六愛身。 T32n1648_p0454b07(03)║六覺六觀。此十六成六十。六
    十無常見。六十苦見。 ... 如是觀彼想想相。或為色想或為法想。如是觀知行行相。"
  18.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1a14 - T26n1542_p0701a19.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
    "眼觸所生想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想。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為集為類為生。眼觸所生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想等想增上等想已想想類。是名眼觸所生想。耳鼻舌身意觸所生想亦爾。"
  19.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51 / 463. 안촉소생상(眼觸所生想)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眼觸所生想]은 무엇인가? 눈이 빛깔을 반연하여 안식이 생기나니, 이 세 가지가 화합하는 까닭에 접촉이 있으며, 접촉을 반연하기 때문에 생각[想]이 있다. 이와 같이 눈을 증상으로 삼고 빛깔을 반연하는 대상으로 삼을 적에 눈의 접촉은 인이 되고, 쌓임이 되고, 종류가 되고, 나는 것이 되며,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작의와 상응하는 눈이 인식하는 빛깔에 대한 모든 생각이요, 평등한 생각[等想]이요, 더욱 뛰어난 평등한 생각[增上等想]이요 이미 낸 생각[已想]이요, 생각의 종류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눈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이라 한다.
    귀[耳]·코[鼻]·혀[舌]·몸[身]·뜻[意]의 접촉으로 생기는 생각[想]도 또한 그러하다."
  20. 佛門網, "[2]". 2013년 5월 22일에 확인
    "眼觸所生想身: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集異門論十五卷三頁云:云何眼觸所生想身?答:眼及諸色為緣生眼識。三和合故觸。觸為緣故想。此中眼為增上,色為所緣;眼觸為因,眼觸等起,眼觸種類,眼觸所生,眼觸所起,作意相應;於眼所識色,諸想等想現前等想已想當想。是名眼觸所生想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