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다닥냉이
영채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영채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큰다닥냉이(문화어: 영채)는 배추과의 두해살이풀이다.[2]
큰다닥냉이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십자화목 |
과: | 배추과 |
속: | 다닥냉이속 |
종: | 큰다닥냉이 |
학명 | |
Lepidium sativum | |
L.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34 kJ (32 kcal) |
5.5 g | |
당분 | 4.4 g |
식이 섬유 | 1.1 g |
0.7 g | |
2.6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43% 346 μg38% 4150 μg12500 μg |
티아민 (B1) | 7% 0.08 mg |
리보플라빈 (B2) | 22% 0.26 mg |
나이아신 (B3) | 7% 1 mg |
판토테산 (B5) | 5% 0.247 mg |
비타민 B6 | 19% 0.247 mg |
엽산 (B9) | 20% 80 μg |
비타민 C | 83% 69 mg |
비타민 E | 5% 0.7 mg |
비타민 K | 516% 541.9 μ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8% 81 mg |
철분 | 10% 1.3 mg |
마그네슘 | 11% 38 mg |
망간 | 26% 0.553 mg |
인 | 11% 76 mg |
칼륨 | 13% 606 mg |
기타 성분 | 함량 |
Water | 89.4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
분포
편집아시아(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아랍에미리트,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이라크, 이란, 이스라엘, 쿠웨이트, 터키, 파키스탄)와 아프리카(에티오피아, 이집트)가 원산이며, 그 외에도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칠레),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아시아(인도, 일본, 중국), 아프리카(케냐), 오세아니아(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태평양(누벨칼레도니) 지역에 분포한다.[3]
재배
편집특징
편집줄기 높이는 20~80cm이다.[2] 잎은 어긋나기하고, 잎줄기가 있거나 없고 피침 모양인데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2] 밑부분의 것은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윗부분의 것은 선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2] 5~6월에 흰 꽃이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린다.[2] 꽃차례는 총상 꽃차례로 곧고 길며, 꽃잎은 길이 2mm 정도로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다.[2] 열매는 긴 타원상 달걀 모양의 각과를 맺는데, 길이 5~6mm로서 끝이 약간 오목하며 위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2] 식물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이 돈다.[2]
쓰임새
편집요리
편집한국의 관서·관북 지방에서는 큰다닥냉이(영채)로 김치(영채김치)를 담가 먹는다.[4]
서양에서는 큰다닥냉이를 수프나 샐러드에 넣어 먹는다. 순을 먹기도 한다. 씨는 그대로 또는 말려서 향신료로 쓴다.
사진 갤러리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epidium sativum L.”. 《The Plant List》 (영어). 큐 왕립식물원. 2012년 3월 23일.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큰다닥냉이 Lepidium sativum L.”.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Lepidium sativum L.”. 《GRIN-Global Web v 1.9.9.2》 (영어). 미국 농무부. 2017년 8월 29일.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조정훈 (2015년 9월 26일). “소박하고 자극적인 함경도 음식”. 《통일뉴스》.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이 글은 십자화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