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 이론에서, 킬링 형식(Killing形式, 영어: Killing form)은 리 대수 위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대칭 쌍선형 형식이다.[1][2] 리 대수의 딸림표현의 곱의 대각합이다.

정의

편집

추상적 정의

편집

가환환   위의 리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고, 또한  가 유한 차원  -자유 가군이라고 하자. 이제,  딸림표현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킬링 형식

 

는 다음과 같은 대칭 쌍선형 형식이다.

 

여기서 대각합딸림표현에서 취한 것이다.

리 초대수의 경우

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위의 리 초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고, 또한  가 유한 차원  -초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이제,  딸림표현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킬링 형식

 

는 다음과 같은 쌍선형 형식이다.[3]:§23

 

여기서 초대각합딸림표현에서 취한 것이다.

성분을 통한 정의

편집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기저  를 잡고, 이에 대한 구조 상수가

 

라고 하자. 그렇다면,  킬링 형식은 다음과 같다.

 

성질

편집

킬링 형식은 대각합의 순환성( )에 의하여 대칭 쌍선형 형식을 이룬다.

킬링 형식은 다음과 같은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리 초대수의 킬링 형식

편집

  위의 유한 차원 리 초대수  의 킬링 형식  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3]:§23

 
 
 

단순 리 대수의 경우와 달리, 표수 0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단순 리 초대수는 킬링 형식이 0일 수 있다. 표수 0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단순 리 초대수 가운데, 킬링 형식이 0인 것은 다음과 같다.[3]:§23

  •  
  •  
  •  
  •  
  •  

나머지 단순 리 초대수는 모두 0이 아닌 킬링 형식을 갖는다.

직합

편집

  위의 두 유한 차원 리 (초)대수  ,  에 대하여, 그 직합  의 킬링 형식은 다음과 같다.

 

실수체 위의 리 대수

편집

만약  단순 리 대수라면 위 항등식을 만족하는 모든 형식은 킬링 형식의 스칼라배이다.

리 대수가 반단순 리 대수필요 충분 조건은 그 킬링 형식이 비퇴화 쌍선형 형식인 것이다. 이를 카르탕 조건(Cartan條件, 영어: Cartan criterion)이라고 한다.

실수체 위의 콤팩트 리 대수의 킬링 형식은 항상 음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이다.

아벨 리 대수

편집

임의의 체   위의 유한 차원 아벨 리 대수  의 킬링 형식은 항상 0이다.

행렬 리 대수

편집

임의의 체   및 자연수  에 대하여, 일반 선형 리 대수  의 킬링 형식은 다음과 같다.

 

또한, 특수 선형 리 대수  의 킬링 형식은 다음과 같다.

 

증명:

편의상,  의 기저   번째 성분만이 1이며, 나머지 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이제, 야코비 항등식에 의하여,

 

이다. 따라서,

 
 

라고 놓으면,

 

가 된다. 따라서,

 

이다.

특수 선형 리 대수의 경우, 표준적인 분해

 

아래, 아벨 리 대수  의 킬링 형식이 0이므로, 이는 일반 선형 리 대수의 경우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둘째 항이 0이 된다.)

행렬 리 대수의 경우, 킬링 형식은 다음과 같다.

리 대수 설명 킬링 형식
gl(n, ℂ) n×n 복소수 행렬 2n tr(XY) − 2 tr(X)tr(Y)
sl(n, ℝ) n×n 무대각합 복소수 행렬 2n tr(XY)
su(n) n×n 반에르미트 행렬 2n tr(XY)
so(n, ℝ) n×n 반대칭 실수 행렬 (n−2) tr(XY)
so(n, ℂ) n×n 반대칭 복소수 행렬 (n−2) tr(XY)
sp(2n, ℝ) 2n×2n 실수 해밀턴 행렬 (2n+2) tr(XY)
sp(2n, ℂ) 2n×2n 복소수 해밀턴 행렬 (2n+2) tr(XY)

리 대수의 계량과 이중 콕서터 수

편집

단순 리 대수의 경우, 통상적으로 계량을 긴 근의 길이가  가 되게 규격화한다.[4]:27[5]:§13.1.10 이 경우 짧은 근의 길이는 Bn, Cn, F4인 경우 1 또는 G2의 경우  이다. 이렇게 규격화할 경우, 계량 형식은 다음과 같다.[6]

리 대수 행렬 표현 규격화 계량 형식
su(n) n×n 반에르미트 행렬 − tr(XY)
so(n, ℝ) n×n 반대칭 행렬 − ½tr(XY)
usp(2n) 2n×2n 반에르미트 해밀턴 행렬 − tr(XY)
n×n 사원수 반에르미트 행렬 − tr(XY + YX)
e6 27×27 반에르미트 행렬 − (9/4) tr(XY)
e7 56×56 반대칭 행렬 − (3/2) tr(XY)
e8 248×248 반대칭 행렬 − (41/10) tr(XY)
f4 26×26 반대칭 행렬 − (4/3) tr(XY)
g2 7×7 반대칭 행렬 − (5/8) tr(XY)

이렇게 계량 형식을 규격화하면, 3차원 초구로부터의 임의의 연속 함수  에 대하여 항상

 

이다.[6]

이렇게 규격화한 계량 형식을  로 놓으면,

 

이다.[7]:§6.1[5]:§13.1.2 여기서  는 단순 리 대수의 이중 콕서터 수(영어: dual Coxeter number)이다. (이는 빅토르 카츠가 도입하였고, 해럴드 스콧 맥도널드 콕서터의 이름을 땄다.) 이는 다음 표와 같다.

리 대수 an bn cn dn e6 e7 e8 f4 g2
다른 이름 SU(n+1) SO(2n+1) USp(2n) SO(2n)
이중 콕서터 수 n+1 2n−1 n+1 2n−2 12 18 30 9 4

역사

편집

엘리 카르탕이 1894년에 도입하였다.[8] 독일 수학자 빌헬름 킬링의 이름을 땄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Bump, Daniel (2004). 《Lie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25. Springer. ISBN 978-0-387-21154-1. 
  2. Fuchs, Jurgen (1992). 《Affine Lie Algebras and Quantum Groups》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8412-X. 
  3. Frappat, L.; Sciarrino, A.; Sorba, P. (1996년 7월). “Dictionary on Lie superalgebras” (영어). arXiv:hep-th/9607161. Bibcode:1996hep.th....7161F. 
  4. Slansky, R. (1981년 12월). “Group theory for unified model building”. 《Physics Reports》 (영어) 79 (1): 1–128. Bibcode:1981PhR....79....1S. doi:10.1016/0370-1573(81)90092-2. ISSN 0370-1573. 
  5. Di Francesco, Philippe; Pierre Mathieu, David Sénéchal (1997). 《Conformal field theory》. doi:10.1007/978-1-4612-2256-9. ISBN 978-1-4612-7475-9. 
  6. Hori, Kentaro. “Some notes on compact Lie groups” (PDF). 2013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3일에 확인함. 
  7. Kac, Victor G. (1990). 《Infinite Dimensional Lie Algebras》 3판. doi:10.1017/CBO9780511626234. ISBN 9780521466936. 
  8. Cartan, Élie (1894). 《Sur la structure des groupes de transformations finis et continus》. Thesis. Nony.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