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리병 (바둑)

바둑에서 호리병은 일종의 촉촉수 형태로, 상대의 돌을 감싸서 마치 호리병과 비슷한 모양을 만들고 잡는 형태이다. 이와 관련하여 ‘석점은 중앙이 급소’라는 격언이 있다. 일본에서는 이 모양을 학의 둥지(일본어: 鶴の巣ごもり)라 부른다.

예시

편집

위 그림은 흑돌과 백돌들이 서로 엉켜 있는 모습인데, 우하귀의 흑 두 점을 믿고 빗대어진 백 한 점을 흑 1로 섣불리 끊은 것은 흑의 치명적인 실수이다.


이처럼 백 2로 두어 Δ으로 표시한 흑 석 점을 포위하면 흑이 붉은 동그라미 자리에 두어 도망치려고 해도 X로 표시된 자리에서 활로가 차단되어 꼼짝없이 잡힐 수밖에 없다.


설사 흑 3으로 뛰어 달아나려 해도 백이 백 4로 둔다면,


흑 5로 도망가려는 것을 백 6이 막고 흑 7로 두어 앞의 백 4를 따내더라도 백 8로 막아서 단수를 치면 촉촉수에 몰려 흑이 살아남을 방법은 없다. 이 상태에서 a 자리에 백이 먼저 두면 백돌에 둘러싸여 있는 흑 다섯 점이 잡히고, 그 자리에 흑이 먼저 두더라도 단수가 되기 때문에 b 자리에 백이 두면 마찬가지로 흑돌이 잡힌다.


이와 같이 두어도 흑 Δ는 호리병 모양에 몰려 죽는다. 흑은 흑 1을 위 그림과 같이 두지 말고 a에 두어서 백 2점을 잡으러 들어갔어야 했다.


이와 같이 백 2로 단수치면 흑 3으로 따내면서 자충이 되어 백 4로 단수치면 흑 Δ는 단수를 피할 길이 없다.


이 모양도 결국은 호리병으로 백이 잡히는 모양이다.

호리병이 성립하지 않는 형태

편집

흑선일 때 흑이 이 그림의 붉은 동그라미 중 어느 한 곳이라도 흑돌이 놓여 있다면 흑 Δ의 도망을 돕기 때문에 호리병이 성립하지 않는다. 단, 흑이 이 그림에 표시된 11개의 착점 중에서 단 한 개만 먼저 놓은 상태에서 백선이라면 앞의 예시 그림과 같게 되어서 호리병으로 흑이 잡혀 버린다.

변에서의 호리병

편집

이 모양은 변에 붙은 호리병의 예이다.


중앙처럼 응수하면 이렇게 되어 중앙과 같은 호리병 모양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이렇게 응수하면 백이 당장은 도망친 듯 보여도 장문으로 백 Δ를 잡을 수 있다. 백 7로 도망가도 흑 8과 같이 날일자로 뛰어 나가면 백은 도망갈 길이 막히게 된다.

그 외의 경우

편집

어느 한 쪽이라도 뚫려 있으면 일단 흑 1로 도망치면 살 수는 있다.


일단 여기까지의 진행은 호리병과 같다.


흑이 당장 단수에 몰린 것은 아니므로 이와 같은 수순으로 도망치면 산다. 그러나 이것은 우형의 한 형태인 포도송이이다. 특히, 뭉친 쪽이 백에 에워싸여 있으므로 더욱 더 효율이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