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2년 1월부터 10월까지 개최국을 제외하고 본선에 진출할 15개의 참가국을 가리기 위해 총 3번의 라운드에 걸쳐 진행된 경기를 말한다.
방식
편집개최 주기가 1년 앞당겨져서 예선 기간이 짧아진 특성으로 인해, 이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를 치르지 않고 모든 라운드를 플레이오프로 치러서 본선 진출 팀을 가린다.
예선 참가 국가
편집아프리카 축구 연맹의 정회원국 팀 중 개최국을 제외한 52개 팀 중 다음 팀들이 예선에 참가할 예정이다. 본래 리비아가 개최국으로 선정되어 리비아를 제외한 52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개최국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변경되면서 리비아 대신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예선을 면제받게 된다.
예선 참가 팀 중 지난 대회의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은 최종 예선부터 시작하고, 지난 대회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은 랭킹에 따라 시드를 매겨서 최하위권은 예비 라운드에 참가하고 나머지는 1차 예선부터 시작한다.
참가하는 팀의 수는 47개로, 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46개 팀이 참가한다.
최종 예선부터 시작 | 1차 예선부터 시작 | 예비 라운드 참가 |
---|---|---|
예비 예선
편집랭킹이 가장 낮은 4팀이 예비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팀의 수를 44개(최종 예선부터 시작하는 16개 팀 + 1차 예선을 치르는 28개 팀)로 맞춘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세이셸 | 부전승 | 스와질란드 | 없음 | 없음 |
상투메 프린시페 | 1-0 | 레소토 | 1-0 | 0-0 |
- 스와질란드는 재정 문제를 이유로 기권했다. 이에 따라 세이셸이 자동으로 1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상투메 프린시페가 합계 1 : 0으로 1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1차 예선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에티오피아 | 1-1 (a) | 베냉 | 0-0 | 1-1 |
르완다 | 0-2 | 나이지리아 | 0-0 | 0-2 |
콩고 공화국 | 3-5 | 우간다 | 3-1 | 0-4 |
부룬디 | 2-2 (a) | 짐바브웨 | 2-1 | 0-1 |
감비아 | 2-6 | 알제리 | 1-2 | 1-4 |
케냐 | 2-2 (a) | 토고 | 2-1 | 0-1 |
상투메 프린시페 | 4-5 | 시에라리온 | 2-1 | 2-4 |
기니비사우 | 0-2 | 카메룬 | 0-1 | 0-1 |
차드 | 3-4 | 말라위 | 3-2 | 0-2 |
세이셸 | 0-7 | 콩고 민주 공화국 | 0-4 | 0-3 |
탄자니아 | 2-2 (PK 7-8) |
모잠비크 | 1-1 | 1-1 |
이집트 | 3-4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2-3 | 1-1 |
마다가스카르 | 1-7 | 카보베르데 | 0-4 | 1-3 |
라이베리아 | 1-0 | 나미비아 | 1-0 | 0-0 |
- 이집트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는 포트사이드 경기장 폭력 사태로 인하여 1차전은 6월 15일로, 2차전은 6월 30일로 재조정되었다.
에티오피아가 합계 1 : 1을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우선 원칙에 따라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나이지리아가 합계 2 : 0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우간다가 합계 5 : 3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짐바브웨가 합계 2 : 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우선 원칙에 따라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알제리가 합계 6 : 2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토고가 합계 2 : 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우선 원칙에 따라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시에라리온이 합계 5 : 4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카메룬이 합계 2 : 0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말라위가 합계 4 : 3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이 합계 7 : 0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모잠비크가 합계 2 : 2, 승부차기 8 : 7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이집트 | 2 : 3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1 : 1 | 이집트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합계 4 : 3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카보베르데가 합계 7 : 1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라이베리아가 합계 1 : 0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였다.
최종 예선
편집방식
편집개최국인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지난 대회의 본선에 진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난 대회의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은 이 라운드부터 시작하고 나머지 팀들은 예비 예선와 1차 예선을 거쳐 팀의 숫자를 14개로 줄임으로써 정확히 30개 팀이 15개 조로 나뉘어서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진출할 팀을 가리도록 한다.
참가 팀은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최종 예선부터 시작하는 팀들을 의미한다.
시드 점수는 지난 3개 대회의 전적을 근거로 하여 점수를 부여해 배정했으며, 2012년 대회의 전적에 대해서는 3배의 가중치를, 2010년 대회의 전적에 대해서는 2배의 가중치를, 2008년 대회의 전적에 대해서는 그냥 그대로 적용한다. 시드 점수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우승 : 7점
- 준우승 : 5점
- 준결승에서 탈락 : 3점
- 준준결승에서 탈락 : 2점
-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 : 1점
- 지역 예선 탈락 및 불참 : 0점
1시드 | 2시드 |
---|---|
경기 결과
편집최종 예선은 1차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이 2라운드부터 시작하는 16개 팀과 펼치는 플레이오프이다. 여기서 승리한 팀은 본선에 진출한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말리 | 7-1 | 보츠와나 | 3-0 | 4-1 |
짐바브웨 | 3-3 (a) | 앙골라 | 3-1 | 0-2 |
가나 | 3-0 | 말라위 | 2-0 | 1-0 |
라이베리아 | 3-8 | 나이지리아 | 2-2 | 1-6 |
잠비아 | 1-1 (PK 9-8) |
우간다 | 1-0 | 0-1 |
카보베르데 | 3-2 | 카메룬 | 2-0 | 1-2 |
모잠비크 | 2-4 | 모로코 | 2-0 | 0-4 |
시에라리온 | 2-2 (a) | 튀니지 | 2-2 | 0-0 |
기니 | 1-2 | 니제르 | 1-0 | 0-2 |
수단 | 5-5 (a) | 에티오피아 | 5-3 | 0-2 |
리비아 | 0-3 | 알제리 | 0-1 | 0-2 |
코트디부아르 | 6-2 | 세네갈 | 4-2 | 2-0 |
콩고 민주 공화국 | 5-2 | 적도 기니 | 4-0 | 1-2 |
가봉 | 2-3 | 토고 | 1-1 | 1-2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2-3 | 부르키나파소 | 1-0 | 1-3 |
보츠와나 | 1 : 4 | 말리 |
---|---|---|
말리가 합계 7 : 1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짐바브웨 | 3 : 1 | 앙골라 |
---|---|---|
앙골라가 합계 3 : 3을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본선에 진출하였다.
가나가 합계 3 : 0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나이지리아가 합계 8 : 3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잠비아가 합계 1 : 1, 승부차기 9 : 8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카보베르데 | 2 : 0 | 카메룬 |
---|---|---|
카보베르데가 합계 3 : 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모로코가 합계 4 : 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튀니지가 합계 2 : 2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본선에 진출하였다.
니제르가 합계 2 : 1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에티오피아가 합계 5 : 5를 기록했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본선에 진출하였다.
알제리가 합계 3 : 0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세네갈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경기 종료 15분 전에 일어난 세네갈 관중들의 폭동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경기가 중단되던 당시에는 코트디부아르가 2-0으로 앞서고 있었다.[2]
코트디부아르가 합계 6 : 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콩고 민주 공화국이 합계 5 : 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토고가 합계 3 : 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1 : 0 | 부르키나파소 |
---|---|---|
부르키나파소 | 3 : 1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
부르키나파소가 합계 3 : 2로 본선에 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