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도 공간
(
X
,
Σ
,
μ
)
{\displaystyle (X,\Sigma ,\mu )}
및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
0
≤
p
≤
∞
{\displaystyle 0\leq p\leq \infty }
가 주어졌다고 하고,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가 (보렐 시그마 대수 를 갖춘)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라고 하자. 그렇다면, 르베그 공간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위상 벡터 공간 이며, 그 정의는
p
{\displaystyle p}
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다.
0
<
p
≤
∞
{\displaystyle 0<p\leq \infty }
및 가측 함수
f
:
X
→
K
{\displaystyle f\colon X\to \mathbb {K} }
에 대하여 다음 기호를 정의하자.
‖
⋅
‖
p
:
M
(
X
;
K
)
→
[
0
,
∞
]
{\displaystyle \|\cdot \|_{p}\colon {\mathcal {M}}(X;\mathbb {K} )\to [0,\infty ]}
‖
f
‖
p
=
{
∫
X
|
f
(
x
)
|
p
d
μ
p
p
<
∞
inf
{
C
∈
R
:
μ
(
{
x
∈
X
:
|
f
(
x
)
|
>
C
}
)
=
0
}
p
=
∞
{\displaystyle \|f\|_{p}={\begin{cases}{\sqrt[{p}]{\int _{X}|f(x)|^{p}\mathrm {d} \mu }}&p<\infty \\\inf \left\{C\in \mathbb {R} \colon \mu (\{x\in X\colon |f(x)|>C\})=0\right\}&p=\infty \end{cases}}}
그렇다면,
L
p
{\displaystyle {\mathcal {L}}^{p}}
를 다음과 같은 집합으로 정의하자.
L
p
(
X
;
K
)
=
{
f
∈
M
(
X
;
K
)
:
‖
f
‖
p
<
∞
}
{\displaystyle {\mathcal {L}}^{p}(X;\mathbb {K} )=\{f\in {\mathcal {M}}(X;\mathbb {K} )\colon \|f\|_{p}<\infty \}}
여기서
M
(
X
;
Y
)
{\displaystyle {\mathcal {M}}(X;Y)}
는 두 측도 공간
X
,
Y
{\displaystyle X,Y}
사이의 가측 함수 의 집합이며,
K
{\displaystyle \mathbb {K} }
의 경우 보렐 시그마 대수 를 갖춘 것으로 여긴다.
L
p
(
X
;
K
)
{\displaystyle {\mathcal {L}}^{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에 대한 벡터 공간 을 이루며, 부분 공간
(
‖
⋅
‖
p
)
−
1
(
0
)
=
{
f
∈
M
(
X
;
K
)
|
‖
f
‖
p
=
0
}
⊆
L
p
(
X
;
K
)
{\displaystyle (\|\cdot \|_{p})^{-1}(0)=\{f\in {\mathcal {M}}(X;\mathbb {K} )|\|f\|_{p}=0\}\subseteq {\mathcal {L}}^{p}(X;\mathbb {K} )}
으로 몫공간을 취한 것을 르베그 공간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라고 한다.[ 1] :43, §II.2 [ 2] :31, §1.43; 35, §1.47
L
p
(
X
;
K
)
=
L
p
(
X
;
K
)
(
‖
⋅
‖
p
)
−
1
(
0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frac {{\mathcal {L}}^{p}(X;\mathbb {K} )}{(\|\cdot \|_{p})^{-1}(0)}}}
이 위에는 "열린 공 "들
{
ball
(
f
,
r
)
:
r
∈
R
+
,
f
∈
L
p
(
X
;
K
)
}
{\displaystyle \left\{\operatorname {ball} (f,r)\colon r\in \mathbb {R} ^{+},\;f\in \operatorname {L} ^{p}(X;\mathbb {K} )\right\}}
ball
(
f
,
r
)
=
{
g
∈
L
p
(
X
;
K
)
:
‖
f
−
g
‖
p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f,r)=\left\{g\in \operatorname {L} ^{p}(X;\mathbb {K} )\colon \|f-g\|_{p}<r\right\}}
을 기저 로 하는 위상 을 줄 수 있다. (물론,
p
<
1
{\displaystyle p<1}
이라면 이는 거리 공간 이 아니므로 엄밀히 말해 열린 공 이라고 일컬어질 수 없다.)
만약
p
≥
1
{\displaystyle p\geq 1}
이라면,
‖
⋅
‖
p
{\displaystyle \|\cdot \|_{p}}
는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위의 완비 노름 을 이루며,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그러나 만약
p
<
1
{\displaystyle p<1}
이라면 이는 (기호와 달리) 일반적으로 노름 이 되지 못한다.
p
=
0
{\displaystyle p=0}
인 경우,
L
0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0}(X;\mathbb {K} )}
은 모든 가측 함수
X
→
K
{\displaystyle X\to \mathbb {K} }
의 (동치류의) 공간이다. 즉,
K
{\displaystyle \mathbb {K} }
-벡터 공간
M
(
X
;
K
)
{\displaystyle {\mathcal {M}}(X;\mathbb {K} )}
에
N
=
{
f
∈
M
(
X
;
K
)
:
μ
(
{
x
∈
X
:
f
(
x
)
≠
0
}
)
=
0
}
{\displaystyle {\mathcal {N}}=\left\{f\in {\mathcal {M}}(X;\mathbb {K} )\colon \mu (\{x\in X\colon f(x)\neq 0\})=0\right\}}
를 정의하였을 때
L
0
(
X
;
K
)
=
M
(
X
;
K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L} ^{0}(X;\mathbb {K} )={\frac {{\mathcal {M}}(X;\mathbb {K} )}{\mathcal {N}}}}
이다.
이 경우, 측도 수렴 위상을 부여하여 균등 공간 이자 (균등 위상 을 부여한) 위상 벡터 공간 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이 경우 유사 거리 함수 의 족
{
d
S
}
S
∈
Σ
,
μ
(
S
)
<
∞
{\displaystyle \{d_{S}\}_{S\in \Sigma ,\;\mu (S)<\infty }}
d
S
(
f
,
g
)
=
∫
S
min
{
|
f
−
g
|
,
1
}
d
μ
{\displaystyle d_{S}(f,g)=\int _{S}\min\{|f-g|,1\}\mathrm {d} \mu }
을 통해 균등 공간 구조를 부여한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셈측도 를 갖춘) 자연수 의 이산 공간
N
{\displaystyle \mathbb {N} }
일 경우,
L
p
(
N
;
K
)
=
L
p
(
N
;
K
)
=
ℓ
p
(
K
)
{\displaystyle {\mathcal {L}}^{p}(\mathbb {N} ;\mathbb {K} )=\mathrm {L} ^{p}(\mathbb {N} ;\mathbb {K} )=\ell ^{p}(\mathbb {K} )}
로 쓴다. (셈측도 는 공집합 이 아닌 영집합 을 갖지 않으므로, 이 경우
L
p
{\displaystyle {\mathcal {L}}^{p}}
와
L
p
{\displaystyle \mathrm {L} ^{p}}
를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함수
f
∈
M
(
N
;
K
)
{\displaystyle f\in {\mathcal {M}}(\mathbb {N} ;\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값을 갖는 수열 이 되고, 노름
‖
⋅
‖
p
{\displaystyle \|\cdot \|_{p}}
은 다음과 같다.
‖
f
‖
p
=
{
∑
i
=
0
∞
|
f
i
|
p
p
0
<
p
<
∞
sup
i
∈
N
|
f
i
|
p
=
∞
{\displaystyle \|f\|_{p}={\begin{cases}{\sqrt[{p}]{\sum _{i=0}^{\infty }|f_{i}|^{p}}}&0<p<\infty \\\sup _{i\in \mathbb {N} }|f_{i}|&p=\infty \end{cases}}}
만약
1
≤
p
≤
∞
{\displaystyle 1\leq p\leq \infty }
일 경우,
‖
⋅
‖
p
{\displaystyle \|\cdot \|_{p}}
는 민코프스키 부등식 에 따라 노름 을 이룬다.
‖
f
+
g
‖
p
≤
‖
f
‖
p
+
‖
g
‖
p
(
f
,
g
∈
L
p
(
X
;
K
)
)
{\displaystyle \|f+g\|_{p}\leq \|f\|_{p}+\|g\|_{p}\qquad (f,g\in \operatorname {L} ^{p}(X;\mathbb {K} ))}
만약
0
<
p
<
1
{\displaystyle 0<p<1}
일 경우,
‖
⋅
‖
p
{\displaystyle \|\cdot \|_{p}}
는 다음과 같은, 더 약한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3] :816
‖
f
+
g
‖
p
≤
2
(
1
−
p
)
/
p
(
‖
f
‖
p
+
‖
g
‖
p
)
(
f
,
g
∈
L
p
(
X
;
K
)
)
{\displaystyle \|f+g\|_{p}\leq 2^{(1-p)/p}(\|f\|_{p}+\|g\|_{p})\qquad (f,g\in \operatorname {L} ^{p}(X;\mathbb {K} ))}
증명:
임의의 두 음이 아닌 실수
s
,
t
∈
R
≥
0
{\displaystyle s,t\in \mathbb {R} _{\geq 0}}
에 대하여
(
s
+
t
)
p
≤
s
p
+
t
p
≤
2
1
−
p
(
s
+
t
)
p
{\displaystyle (s+t)^{p}\leq s^{p}+t^{p}\leq 2^{1-p}(s+t)^{p}}
가 성립함은 미적분학 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
‖
f
+
g
‖
p
)
p
=
∫
X
|
f
+
g
|
p
d
μ
≤
∫
X
(
|
f
|
+
|
g
|
)
p
d
μ
≤
∫
X
(
|
f
|
p
+
|
g
|
p
)
d
μ
=
(
‖
f
‖
p
)
p
+
(
‖
g
‖
p
)
p
≤
2
1
−
p
(
‖
f
‖
p
+
‖
g
‖
p
)
p
{\displaystyle (\|f+g\|_{p})^{p}=\int _{X}|f+g|^{p}\mathrm {d} \mu \leq \int _{X}(|f|+|g|)^{p}\mathrm {d} \mu \leq \int _{X}(|f|^{p}+|g|^{p})\mathrm {d} \mu =(\|f\|_{p})^{p}+(\|g\|_{p})^{p}\leq 2^{1-p}(\|f\|_{p}+\|g\|_{p})^{p}}
이다.
임의의 측도 공간
(
X
,
Σ
,
μ
)
{\displaystyle (X,\Sigma ,\mu )}
및
p
∈
[
0
,
∞
]
{\displaystyle p\in [0,\infty ]}
및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리스-피셔 정리 영어 : Riesz–Fischer theorem ) 만약
1
≤
p
≤
∞
{\displaystyle 1\leq p\leq \infty }
라면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이다.
만약
1
<
p
<
∞
{\displaystyle 1<p<\infty }
라면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반사 바나흐 공간 이다. (그러나
p
=
1
{\displaystyle p=1}
또는
p
=
∞
{\displaystyle p=\infty }
인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만약
p
=
2
{\displaystyle p=2}
일 경우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이다. (그러나
X
{\displaystyle X}
의 크기에 따라 이는 분해 가능 공간 이 아닐 수 있다.)
만약
K
=
C
{\displaystyle \mathbb {K} =\mathbb {C} }
이며
p
=
∞
{\displaystyle p=\infty }
일 경우
L
∞
(
X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infty }(X;\mathbb {C} )}
는 가환 C* 대수 이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추가로 시그마 유한 측도 를 갖추었다면, 이는 가환 폰 노이만 대수 를 이룬다.
임의의 측도 공간
(
X
,
Σ
,
μ
)
{\displaystyle (X,\Sigma ,\mu )}
및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및
1
<
p
<
∞
{\displaystyle 1<p<\infty }
에 대하여,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의 연속 쌍대 공간 은 다음과 같다.
(
L
p
(
X
;
K
)
)
′
=
L
q
(
X
;
K
)
(
1
/
p
+
1
/
q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operatorname {L} ^{q}(X;\mathbb {K} )\qquad (1/p+1/q=1)}
구체적으로, 이 동형 사상은
L
p
(
X
;
K
)
×
L
q
(
X
;
K
)
→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times \operatorname {L} ^{q}(X;\mathbb {K} )\to \mathbb {K} }
(
[
f
]
,
[
g
]
)
↦
∫
X
f
(
x
)
g
(
x
)
d
μ
(
x
)
{\displaystyle ([f],[g])\mapsto \int _{X}f(x)g(x)\mathrm {d} \mu (x)}
이다. 특히,
p
=
2
{\displaystyle p=2}
일 경우
L
2
{\displaystyle \operatorname {L} ^{2}}
는 스스로의 연속 쌍대 공간이 되며, 따라서 이 경우 힐베르트 공간 을 이룬다.
그러나
L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infty }}
의 연속 쌍대 공간은 (선택 공리 를 가정하면) 일반적으로
L
1
{\displaystyle \operatorname {L} ^{1}}
보다 훨씬 크다. 반면,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시그마 유한 측도 를 갖추었다면,
(
L
1
)
′
=
L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1})'=\operatorname {L} ^{\infty }}
이다.
임의의 두 확장된 실수
0
<
p
<
q
≤
∞
{\displaystyle 0<p<q\leq \infty }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측도 공간
(
X
,
Σ
,
μ
)
{\displaystyle (X,\Sigma ,\mu )}
위에 다음과 같은 두 조건을 생각하자.
㈎
sup
{
μ
(
S
)
:
S
∈
Σ
,
μ
(
S
)
≠
∞
}
<
∞
{\displaystyle \sup\{\mu (S)\colon S\in \Sigma ,\;\mu (S)\neq \infty \}<\infty }
㈏
inf
{
μ
(
S
)
:
S
∈
Σ
,
μ
(
S
)
≠
0
}
>
0
{\displaystyle \inf\{\mu (S)\colon S\in \Sigma ,\;\mu (S)\neq 0\}>0}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동치 가 성립한다.[ 4]
㈎
⟺
L
p
(
X
;
K
)
⊆
L
q
(
X
;
K
)
{\displaystyle \iff \operatorname {L} ^{p}(X;\mathbb {K} )\subseteq \operatorname {L} ^{q}(X;\mathbb {K} )}
㈏
⟺
L
p
(
X
;
K
)
⊇
L
q
(
X
;
K
)
{\displaystyle \iff \operatorname {L} ^{p}(X;\mathbb {K} )\supseteq \operatorname {L} ^{q}(X;\mathbb {K} )}
㈎와 ㈏가 동시에 성립
⟺
L
p
(
X
;
K
)
=
L
q
(
X
;
K
)
{\displaystyle \iff \operatorname {L} ^{p}(X;\mathbb {K} )=\operatorname {L} ^{q}(X;\mathbb {K} )}
대표적인 측도 공간 에서 위 두 조건이 성립하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다.
X
{\displaystyle X}
가 유한 집합 이며, 그 위에 셈측도 를 부여하자. 그렇다면, 이 경우 임의의
0
≤
p
≤
∞
{\displaystyle 0\leq p\leq \infty }
에 대하여
L
p
(
X
;
K
)
=
K
X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mathbb {K} ^{X}}
이다. 즉, 이 경우 르베그 공간은
K
{\displaystyle \mathbb {K} }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이며, 그 차원은
X
{\displaystyle X}
의 크기 이다.
p
{\displaystyle p}
의 값에 따라,
K
X
{\displaystyle \mathbb {K} ^{X}}
위에 정의되는 노름 은 서로 다르며, 다음과 같다.
‖
f
‖
p
=
∑
x
∈
X
|
f
(
x
)
|
p
p
(
0
<
p
<
∞
)
{\displaystyle \|f\|_{p}={\sqrt[{p}]{\sum _{x\in X}|f(x)|^{p}}}\qquad (0<p<\infty )}
‖
f
‖
∞
=
max
x
∈
X
|
f
(
x
)
|
{\displaystyle \|f\|_{\infty }=\max _{x\in X}|f(x)|}
만약
p
=
2
{\displaystyle p=2}
일 경우 이는 힐베르트 공간 을 이루며,
|
X
|
≥
2
{\displaystyle |X|\geq 2}
이자
1
≤
p
≠
2
{\displaystyle 1\leq p\neq 2}
일 경우 이는 힐베르트 공간이 아닌 바나흐 공간 이다.
X
=
N
{\displaystyle X=\mathbb {N} }
일 경우,
p
{\displaystyle p}
의 범위에 따라서, 수열 르베그 공간
ℓ
p
(
K
)
{\displaystyle \ell ^{p}(\mathbb {K} )}
공간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p
{\displaystyle p}
의 범위
ℓ
p
(
K
)
{\displaystyle \ell ^{p}(\mathbb {K} )}
의 성질
0
≤
p
<
1
{\displaystyle 0\leq p<1}
K
{\displaystyle \mathbb {K} }
-위상 벡터 공간 (
K
{\displaystyle \mathbb {K} }
-국소 볼록 공간 이 아님)
1
≤
p
<
2
{\displaystyle 1\leq p<2}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p
=
2
{\displaystyle p=2}
분해 가능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2
<
p
≤
∞
{\displaystyle 2<p\leq \infty }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집합
X
{\displaystyle X}
속의 원소
x
0
∈
X
{\displaystyle x_{0}\in X}
가 주어졌으며,
μ
(
S
)
=
{
1
S
∋
x
0
0
S
∌
x
0
{\displaystyle \mu (S)={\begin{cases}1&S\ni x_{0}\\0&S\not \ni x_{0}\end{cases}}}
라고 하자. 그렇다면,
0
≤
p
≤
∞
{\displaystyle 0\leq p\leq \infty }
에 대하여,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다음과 같다.
L
p
(
X
;
K
)
=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mathbb {K} }
‖
f
‖
p
=
|
f
(
x
0
)
|
(
0
<
p
≤
∞
)
{\displaystyle \|f\|_{p}=|f(x_{0})|\qquad (0<p\leq \inft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