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마음작용)
뇌(惱, 괴롭힘, 산스크리트어: pradāśa, 영어: spite, spitefulness, malice)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2]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뇌(惱)는 심흔려(心佷悷) 즉 마음으로 하여금 다른 이에 대해 패려궂는 행위를 하게 하고 다른 이를 슬프게 만드는 행위를 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다른 이에게 패려궂고 다른 이를 슬프게 하려는 마음이다.[3][4]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에 따르면, 뇌(惱)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나쁜 일 또는 행위[罪事]에 견고히 집착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뇌(惱)와 상응하게 되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다른 이의 진실한 충고[諫]를 들어도 그 나쁜 일 또는 행위[罪事]를 회개(悔改: 잘못을 뉘우치고 고침[5])하지 못하여 스스로 번민(煩悶: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괴로워함[6])하게 된다.[2][7][8][9]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 따르면, 뇌(惱)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과거의 진(瞋: 증오하고 성냄)의 대상을 돌이켜 생각하게 하여 진노(瞋怒: 성내고 노여워함[10])하게 하고 괴롭힘[惱]을 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현재의 대상이 자기 뜻에 맞지 아니한 것을 보고 진노(瞋怒: 성내고 노여워함)하게 하고 괴롭힘[惱]을 행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2]
같이 보기
편집-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
- 현관: 4제현관 · 6현관
- 유루와 무루
- 번뇌의 해석
- 번뇌의 다른 이름
- 번뇌의 작용
- 번뇌의 분류
-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
-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
-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 번뇌 = 개: 5개
-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 번뇌 = 뇌: 3뇌
- 번뇌 = 누: 3루
- 번뇌 = 박: 3박 · 4박
-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 번뇌 = 악행: 3악행
- 번뇌 = 취: 2취 · 4취
참고 문헌
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 가 나 星雲, "惱".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惱: 梵語 pradāśa。音譯作波羅陀舍。心所名。為俱舍七十五法之一,唯識百法之一。與愁、悲、苦、憂等,皆表迷界苦之現象。依俱舍宗之解釋,所謂惱,即雖自知其罪過,猶不聽他人勸誨,一味使心神懊惱煩悶;俱舍宗視為小煩惱法之一,六垢之一,為拘繫於欲界之法,於修道位斷之;與五受中之憂根相應,又為見取見之等流,立有別體。唯識宗則解釋為起瞋怒之心,追想過去之行事或現在不悅之事物,而心中懊惱之精神作用;以其為二十隨煩惱之一,因離瞋之外,別無惱之作用,故屬於瞋之一部分;與捨根相應。〔大毘婆沙論卷四十二、俱舍論卷二十一、成唯識論卷六、成實論卷十瞋恚品、雜阿毘曇心論卷四、入阿毘達磨論卷上、瑜伽師地論卷五十五、顯揚聖教論卷一、大乘廣五蘊論、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 p4956"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570DTITLEB4o 惱]". 2012년 10월 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가 나 다 운허, "惱(뇌)". 2012년 10월 9일에 확인
"惱(뇌): 【범】 pradāśa 심소(心所)의 이름. (1) 구사종(俱舍宗)에서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의 하나. 죄악을 범하고, 그것이 나쁜 일인 줄 알면서도 집착하여, 다른 이가 타일러도 고치지 못하고 스스로 번민하는 것. (2) 유식종(唯識宗)에서는 20수번뇌(隨煩惱)의 하나. 과거에 분하게 여기던 것을 돌이켜 생각하거나, 현재의 사물이 자기 마음에 맞지 아니하여 괴로워하는 정신작용." 인용 오류: 잘못된<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83B1rowno6 惱(뇌)]". 2012년 10월 9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b13 - T26n1542_p0700b14. 뇌(惱,)
"惱云何。謂心佷悷。已正當惱。是名為惱。" - ↑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7 / 463. 뇌(惱,)
"뇌(惱)는 무엇인가? 마음이 맞지 않아 번민하면서 이미 괴로워했고 지금 막 괴로워하고 앞으로 괴로워 할 것[惱]이다." - ↑ "悔改",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
- ↑ "번민(煩悶)",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
- ↑ 권오민 2003, 69–81쪽.
- ↑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1권. p. T29n1558_p0109c09 - T29n1558_p0109c10. 뇌(惱)
"惱謂堅執諸有罪事。由此不取如理諫悔。" -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1권. p. 956 / 1397. 뇌(惱)
"'뇌'란 이를테면 온갖 나쁜 일[罪事]에 대해 견고히 집착하는 것을 말하니, 이것으로 말미암아 참다운 충고[諫]도 받아들이지 않고 회개하지도 않는다." - ↑ "瞋怒",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10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