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셜어(Kajin M̧ajeļ, Ebon, 영어: Marshallese)는 미크로네이아 어군에 속하는 마셜 제도의 공용어이다. 화자들은 대부분 마셜 제도에 있으며, 미국과 나우루를 포함한 다른 나라의 마셜 제도 출신자들도 사용한다.

마셜어
Kajin M̧ajeļ
Kajin Majōl
사용 국가 마셜 제도
언어 인구 불명 (약 55,000 명 - 1979년)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마셜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마셜 제도의 기 마셜 제도
언어 부호
ISO 639-1 mh
ISO 639-2 mah
ISO 639-3 mah 마셜어
글로톨로그 mars1254[1]

분류

편집

마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하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의 일원이다. 마셜어와 가장 언어계통학적으로 가까운 언어들에은 추크어, 키리바시어, 코스라에어, 나우루어, 폰페이어 등이 있다.[2]

음운론

편집

마셜어의 자음들은 각각 구개음화, 원순음화, 연구개음화 등, 이차조음을 가진다. 구개음화된 자음들은 '가벼운 자음', 원순음화 또는 연구개음화된 자음들은 '무거운 자음'이라고 불린다.

마셜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3]

양순음 설단음 설배음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구개음화 연구개음화 원순음화 (연구개음) 원순음화
파열음 k
비음 ŋ ŋʷ
유음
설측음
접근음 j (ɰ) w
  • 마셜어에는 유/무기성이 변별적 자질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파열음은 모음 사이나 이중 자음이 아닐 경우에 변이음으로 유성음화된다.[4]
  • /tʷ/는 음운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 /tʲ/는 자유 변이음으로 [tʲ], [t͡sʲ], [sʲ], [t͡ɕ], [ɕ], [c], 또는 [ç]를 가지고, 이들의 유성음화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5][6] 어중에서 이중 자음이 아닐 때 [zʲ] 또는 [ʑ]등으로 나타나기에, 외래어의 치찰음을 표기할 때 쓰인다.[7]
  • 접근음 /j ɰ w/는 다양한 환경에서 소멸한다. 특히 인접한 모음을 후설모음, 원순모음으로 동화시킨다. 마셜어의 모음은 원순성과 모음의 전설/후설성을 변별적 자질로 갖지 않기에, 음성학적으로 드러나는 모음들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 자음들의 존재가 사용된다. 특히, /ɰ/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오직 서술된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 설배음은 연구개음과 구개수음 사이로, IPA로는 [k̠ ɡ̠ ŋ̠ k̠ʷ ɡ̠ʷ ŋ̠ʷ]로 표기할 수 있다. 모든 설배음은 '무거운 자음'이다.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arshallese〉.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Willson, Heather. “<<Willson, Heather (2002), The Marshallese Complementizer Phrase>>” (PDF). 《The Marshallese Complementizer Phrase》.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30일에 확인함. 
  3. Choi 1992, p.14.
  4. Choi 1992, p.14.
  5. Choi 1992, p.14.
  6. Rudiak-Gould (2004), pp. 7–8
  7. Rudiak-Gould (2004), pp. 7–8

참고자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