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셜어
마셜어(Kajin M̧ajeļ, Ebon)는 미크로네이아 어군에 속하는 마셜 제도의 공용어이다. 화자들은 대부분 마셜 제도에 있으며, 미국과 나우루를 포함한 다른 나라의 마셜 제도 출신자들도 사용한다.
사용 국가 | 마셜 제도 |
---|---|
언어 인구 | 불명 (약 55,000 명 - 1979년) |
문자 | 로마자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미크로네시아어군 핵심 미크로네시아어군 마셜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마셜 제도 |
언어 부호 | |
ISO 639-1 | mh
|
ISO 639-2 | mah
|
ISO 639-3 | mah 마셜어
|
글로톨로그 | mars1254[1] |
분류
편집마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하는 미크로네시아어군의 일원이다. 마셜어와 가장 언어계통학적으로 가까운 언어들에은 추크어, 키리바시어, 코스라에어, 나우루어, 폰페이어 등이 있다.[2]
음운론
편집마셜어의 자음들은 각각 구개음화, 원순음화, 연구개음화 등, 이차조음을 가진다. 구개음화된 자음들은 '가벼운 자음', 원순음화 또는 연구개음화된 자음들은 '무거운 자음'이라고 불린다.
마셜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3]
양순음 | 설단음 | 설배음 | |||||
---|---|---|---|---|---|---|---|
구개음화 | 연구개음화 | 구개음화 | 연구개음화 | 원순음화 | (연구개음) | 원순음화 | |
파열음 | pʲ | pˠ | tʲ | tˠ | k | kʷ | |
비음 | mʲ | mˠ | nʲ | nˠ | nʷ | ŋ | ŋʷ |
유음 | rʲ | rˠ | rʷ | ||||
설측음 | lʲ | lˠ | lʷ | ||||
접근음 | j | (ɰ) | w |
- 마셜어에는 유/무기성이 변별적 자질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파열음은 모음 사이나 이중 자음이 아닐 경우에 변이음으로 유성음화된다.[4]
- /tʷ/는 음운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 /tʲ/는 자유 변이음으로 [tʲ], [t͡sʲ], [sʲ], [t͡ɕ], [ɕ], [c], 또는 [ç]를 가지고, 이들의 유성음화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5][6] 어중에서 이중 자음이 아닐 때 [zʲ] 또는 [ʑ]등으로 나타나기에, 외래어의 치찰음을 표기할 때 쓰인다.[7]
- 접근음 /j ɰ w/는 다양한 환경에서 소멸한다. 특히 인접한 모음을 후설모음, 원순모음으로 동화시킨다. 마셜어의 모음은 원순성과 모음의 전설/후설성을 변별적 자질로 갖지 않기에, 음성학적으로 드러나는 모음들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이 자음들의 존재가 사용된다. 특히, /ɰ/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오직 서술된 현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 설배음은 연구개음과 구개수음 사이로, IPA로는 [k̠ ɡ̠ ŋ̠ k̠ʷ ɡ̠ʷ ŋ̠ʷ]로 표기할 수 있다. 모든 설배음은 '무거운 자음'이다.
각주
편집-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arshallese〉.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Willson, Heather. “<<Willson, Heather (2002), The Marshallese Complementizer Phrase>>” (PDF). 《The Marshallese Complementizer Phrase》.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Choi 1992, p.14.
- ↑ Choi 1992, p.14.
- ↑ Choi 1992, p.14.
- ↑ Rudiak-Gould (2004), pp. 7–8
- ↑ Rudiak-Gould (2004), pp. 7–8
참고자료
편집- Choi, John. 《Phonetic Underspecification and Target Interpolation: An Acoustic Study of Marshallese Vowel Allophony》.
- Rudiak-Gould, Peter. 《Practical Marshallese》.
- Abo, Takaji; Bender, Byron; Capelle, Alfred; DeBrum, Tony (1976). 《Marshallese–English Dictionary》. University Press of Hawai‘i.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 Bender, Byron (1968). “Marshallese Phonology”. 《Oceanic Linguistics》 7 (1): 16–35. doi:10.2307/3622845. JSTOR 3622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