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가운데 하나라고 하자.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 (영어 : normed
K
{\displaystyle \mathbb {K} }
-algebra )
(
A
,
+
,
0
,
⋅
,
1
,
‖
‖
)
{\displaystyle (A,+,0,\cdot ,1,\|\|)}
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주어진 집합 이다.[ 1] :4, Definition I.10
(
A
,
+
,
0
,
‖
‖
)
{\displaystyle (A,+,0,\|\|)}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이다.
(
A
,
+
,
0
,
⋅
,
1
)
{\displaystyle (A,+,0,\cdot ,1)}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결합 대수 이다.
또한, 노름 공간 구조와 결합 대수 구조 사이에 다음과 같은 두 호환 조건이 주어져야 한다.
(노름 부등식)
‖
a
⋅
b
‖
≤
‖
a
‖
‖
b
‖
∀
a
,
b
∈
A
{\displaystyle \Vert a\cdot b\Vert \leq \Vert a\Vert \Vert b\Vert \qquad \forall a,b\in A}
(항등원의 노름)
‖
1
‖
=
1
{\displaystyle \|1\|=1}
(일부 문헌에서는 곱셈 항등원을 가져야 하는 조건을 생략한다.[ 4] :246, §10.1 )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사실 바나흐 공간 이라면 (즉, 완비 거리 공간 이라면),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 (영어 : Banach
K
{\displaystyle \mathbb {K} }
-algebra )라고 한다.[ 1] :4, Definition I.10 [ 4] :245, Definition 10.1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환 을 이루므로, 가역원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가역원
a
∈
Unit
(
A
)
{\displaystyle a\in \operatorname {Unit} (A)}
가운데 노름이 1인 것을 유니터리 원소 (unitary元素, 영어 : unitary element )라고 한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
(
A
,
⋅
,
‖
‖
)
{\displaystyle (A,\cdot ,\|\|)}
에 대하여, 그 반대환
A
op
=
(
A
,
⋅
op
)
{\displaystyle A^{\operatorname {op} }=(A,\cdot ^{\operatorname {op} })}
, 즉
a
⋅
op
b
=
b
⋅
a
(
a
,
b
∈
A
)
{\displaystyle a\cdot ^{\operatorname {op} }b=b\cdot a\qquad (a,b\in A)}
에 같은 노름을 부여하면,
A
op
{\displaystyle A^{\operatorname {op} }}
역시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를 이룬다.[ 1] :6, Example I.17 또한, 환 연산은 노름 공간 구조와 상관이 없으므로, 만약
A
{\displaystyle A}
가 바나흐 대수라면
A
op
{\displaystyle A^{\operatorname {op} }}
역시 바나흐 대수이다.
유한 또는 무한 개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들
(
A
i
)
i
∈
I
{\displaystyle (A_{i})_{i\in I}}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직접곱 의 부분 공간
A
=
⨁
^
i
∈
I
A
i
=
{
(
a
i
)
i
∈
I
∈
∏
i
∈
I
A
i
:
sup
i
∈
I
‖
a
i
‖
<
∞
}
{\displaystyle A={\widehat {\bigoplus }}_{i\in I}A_{i}=\left\{(a_{i})_{i\in I}\in \prod _{i\in I}A_{i}\colon \sup _{i\in I}\|a_{i}\|<\infty \right\}}
위에 L1 노름
‖
(
a
i
)
i
∈
I
‖
=
sup
i
=
1
n
‖
a
i
‖
A
i
(
a
∈
A
)
{\displaystyle \|(a_{i})_{i\in I}\|=\sup _{i=1}^{n}\|a_{i}\|_{A_{i}}\qquad (a\in A)}
및 성분별 곱
(
a
i
)
i
∈
I
⋅
(
b
i
)
i
∈
I
=
(
a
i
b
i
)
i
∈
I
(
a
,
b
∈
A
)
{\displaystyle (a_{i})_{i\in I}\cdot (b_{i})_{i\in I}=(a_{i}b_{i})_{i\in I}\qquad (a,b\in A)}
을 부여하면, 이 역시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이 경우
A
{\displaystyle A}
의 항등원은
1
A
=
(
1
A
1
,
1
A
2
,
…
,
1
A
n
)
{\displaystyle 1_{A}=(1_{A_{1}},1_{A_{2}},\dotsc ,1_{A_{n}})}
이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
A
{\displaystyle A}
의 양쪽 아이디얼
I
⊆
A
{\displaystyle {\mathfrak {I}}\subseteq A}
가 주어졌으며,
I
{\displaystyle {\mathfrak {I}}}
가 닫힌집합 이며,
I
≠
A
{\displaystyle {\mathfrak {I}}\neq A}
라고 하자. 그렇다면, 몫환
A
/
I
{\displaystyle A/{\mathfrak {I}}}
위에는 자연스러운 노름
‖
a
+
I
‖
=
inf
i
∈
I
‖
a
+
i
‖
{\displaystyle \|a+{\mathfrak {I}}\|=\inf _{i\in {\mathfrak {I}}}\|a+i\|}
을 줄 수 있다. 그렇다면,
A
/
I
{\displaystyle A/{\mathfrak {I}}}
역시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루며, 그 항등원은
1
A
+
I
{\displaystyle 1_{A}+{\mathfrak {I}}}
이다.
실수 바나흐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을 때, 그 복소화
A
⊗
R
C
{\displaystyle A\otimes _{\mathbb {R} }\mathbb {C} }
위에 노름
‖
a
⊗
R
z
‖
=
‖
a
‖
|
z
|
{\displaystyle \|a\otimes _{\mathbb {R} }z\|=\|a\||z|}
과 곱셈
(
a
⊗
R
z
)
⋅
(
b
⊗
R
w
)
=
a
b
⊗
R
z
w
{\displaystyle (a\otimes _{\mathbb {R} }z)\cdot (b\otimes _{\mathbb {R} }w)=ab\otimes _{\mathbb {R} }zw}
을 부여하면, 이는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
A
{\displaystyle A}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완비화
A
¯
{\displaystyle {\bar {A}}}
는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
a
¯
‖
A
¯
=
lim
i
→
∞
‖
a
i
‖
A
(
a
¯
∈
A
¯
)
{\displaystyle \|{\bar {a}}\|_{\bar {A}}=\lim _{i\to \infty }\|a_{i}\|_{A}\qquad ({\bar {a}}\in {\bar {A}})}
(여기서
(
a
i
)
i
∈
N
⊆
A
{\displaystyle (a_{i})_{i\in \mathbb {N} }\subseteq A}
는
a
¯
∈
A
¯
{\displaystyle {\bar {a}}\in {\bar {A}}}
로 수렴하는,
A
{\displaystyle A}
속의 임의의 코시 열 이다.) 그 위에 곱셈
a
¯
b
¯
=
lim
i
→
∞
a
i
b
i
(
a
¯
,
b
¯
∈
A
¯
)
{\displaystyle {\bar {a}}{\bar {b}}=\lim _{i\to \infty }a_{i}b_{i}\qquad ({\bar {a}},{\bar {b}}\in {\bar {A}})}
을 정의하면,
A
¯
{\displaystyle {\bar {A}}}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여기서
(
a
i
)
i
∈
N
⊆
A
{\displaystyle (a_{i})_{i\in \mathbb {N} }\subseteq A}
와
(
b
i
)
i
∈
N
⊆
A
{\displaystyle (b_{i})_{i\in \mathbb {N} }\subseteq A}
는 각각
a
¯
,
b
¯
∈
A
¯
{\displaystyle {\bar {a}},{\bar {b}}\in {\bar {A}}}
로 수렴하는,
A
{\displaystyle A}
속의 임의의 두 코시 열 이다.) 이를
A
{\displaystyle A}
의 완비화 (完備化, 영어 : completion )라고 한다.[ 1] :5, Definition I.13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
A
{\displaystyle A}
의 원소
w
∈
A
{\displaystyle w\in A}
가 주어졌으며,
‖
w
‖
≤
1
{\displaystyle \|w\|\leq 1}
이라고 하자. 또한,
w
{\displaystyle w}
가 가역원 이며, 중심 에 속한다고 하자.
w
∈
Z
(
A
)
∩
Unit
(
A
)
{\displaystyle w\in \operatorname {Z} (A)\cap \operatorname {Unit} (A)}
이 경우,
A
{\displaystyle A}
위에 새 이항 연산
⋆
w
{\displaystyle \star _{w}}
를 다음과 같이 부여하자.
a
⋆
w
b
=
w
a
b
∀
a
,
b
∈
A
{\displaystyle a\star _{w}b=wab\qquad \forall a,b\in A}
그렇다면
(
A
,
⋆
w
,
w
−
1
)
{\displaystyle (A,\star _{w},w^{-1})}
역시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루며,
⋆
w
{\displaystyle \star _{w}}
에 대한 항등원은
w
−
1
{\displaystyle w^{-1}}
이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
A
{\displaystyle A}
의 이중 연속 쌍대 공간
A
″
{\displaystyle A''}
위에 (이중) 쌍대 노름 및 곱셈
ϕ
χ
:
f
↦
ϕ
(
a
↦
G
(
f
(
a
)
)
)
(
ϕ
,
χ
∈
A
″
,
f
∈
A
′
,
a
∈
A
)
{\displaystyle \phi \chi \colon f\mapsto \phi (a\mapsto G(f(a)))\qquad (\phi ,\chi \in A'',\;f\in A',\;a\in A)}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A
″
{\displaystyle A''}
는 항상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만약
A
{\displaystyle A}
가 바나흐 대수가 아닌 노름 대수이더라도
A
″
{\displaystyle A''}
은 항상 바나흐 대수이다.) 이 연산을 아렌스 곱 (영어 : Arens product )이라고 한다.
겔판트-마주르 정리 (Гельфанд-Mazur定理, 영어 : Gelfand–Mazur theorem )에 따르면, 실수 바나흐 대수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나눗셈환 이다.
영역 이며, 모든 주 아이디얼 이 닫힌집합 이다.
R
{\displaystyle \mathbb {R} }
(실수체 ) ·
C
{\displaystyle \mathbb {C} }
(복소수체 ) ·
H
{\displaystyle \mathbb {H} }
(사원수 대수 )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복소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나눗셈환 인 것은
C
{\displaystyle \mathbb {C} }
밖에 없다.
증명 (복소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나눗셈환 인 것은
C
{\displaystyle \mathbb {C} }
밖에 없다) :
실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뇌터 가환환 인 것은 유한 차원이다. 특히, 실수 바나흐 대수 가운데 뇌터 가환환 이며 정역 인 것은
R
{\displaystyle \mathbb {R} }
와
C
{\displaystyle \mathbb {C} }
밖에 없다.
복소수 바나흐 대수
B
{\displaystyle B}
의 임의의 두 원소
a
,
b
∈
B
{\displaystyle a,b\in B}
에 대하여,
a
b
−
b
a
≠
1
{\displaystyle ab-ba\neq 1}
이다. (이는
a
b
{\displaystyle ab}
와
b
a
{\displaystyle ba}
의 스펙트럼 이 0을 제외하고 서로 같기 때문이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는 위상환 을 이룬다. 즉, 덧셈과 곱셈은 연속 함수 를 이룬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의 가역원군은 위상군 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
B
{\displaystyle B}
의 가역원군
Unit
(
B
)
⊆
B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t} (B)\subseteq B}
는
B
{\displaystyle B}
의 열린집합 이며, 역원 함수
(
−
)
−
1
:
Unit
(
B
)
→
Unit
(
B
)
{\displaystyle (-)^{-1}\colon \operatorname {Unit} (B)\to \operatorname {Unit} (B)}
는 연속 함수 이다.
임의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
B
{\displaystyle B}
의 원소
b
∈
B
{\displaystyle b\in B}
의 스펙트럼 은 다음과 같다.
σ
(
b
)
=
{
λ
∈
K
:
∄
(
λ
−
b
)
−
1
}
{\displaystyle \sigma (b)=\left\{\lambda \in \mathbb {K} \colon \nexists (\lambda -b)^{-1}\right\}}
이는 바나흐 공간 위의 유계 작용소 의 스펙트럼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가환 복소수 바나흐 대수
B
{\displaystyle B}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두 집합 사이에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
B
{\displaystyle B}
의 극대 아이디얼 의 집합
Max
(
B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x} (B)}
(항등원을 보존하는) 결합 대수 준동형
B
→
C
{\displaystyle B\to \mathbb {C} }
의 집합
Δ
(
B
)
{\displaystyle \Delta (B)}
. (이는 물론 전단사 함수 이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극대 아이디얼
m
∈
Max
(
B
)
{\displaystyle {\mathfrak {m}}\in \operatorname {Max} (B)}
에 대하여,
B
/
m
{\displaystyle B/{\mathfrak {m}}}
은 체 인 복소수 바나흐 대수이므로,
B
/
m
≅
C
{\displaystyle B/{\mathfrak {m}}\cong \mathbb {C} }
이다. 따라서, 몫 준동형
(
/
m
)
:
B
↠
B
/
m
≅
C
{\displaystyle (/\mathbb {m} )\colon B\twoheadrightarrow B/{\mathfrak {m}}\cong \mathbb {C} }
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B
{\displaystyle B}
의 극대 아이디얼 은 지표 (指標, 영어 : character )라고도 한다.
임의의 지표
χ
∈
Δ
(
B
)
{\displaystyle \chi \in \Delta (B)}
는 항상 연속 함수 이다. (이는 그 핵
m
∈
Max
(
B
)
{\displaystyle {\mathfrak {m}}\in \operatorname {Max} (B)}
는 항상 닫힌집합 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작용소 노름 은 항상 1이다. 이에 따라,
Δ
(
B
)
{\displaystyle \Delta (B)}
위에 점별 수렴 위상을 부여하면,
Δ
(
B
)
{\displaystyle \Delta (B)}
는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을 이룬다. 특히, 복소수 바나흐 대수
C
0
(
Δ
(
B
)
,
C
)
{\displaystyle {\mathcal {C}}^{0}(\Delta (B),\mathbb {C} )}
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B
{\displaystyle B}
의 겔판트 표현 (Гельфанд表現, 영어 : Gelfand representation )은 다음과 같다.
^
:
B
→
C
0
(
Δ
(
B
)
,
C
)
{\displaystyle {\hat {\;}}\colon B\to {\mathcal {C}}^{0}(\Delta (B),\mathbb {C} )}
b
^
:
χ
↦
χ
(
b
)
(
b
∈
B
,
χ
∈
Δ
(
B
)
)
{\displaystyle {\hat {b}}\colon \chi \mapsto \chi (b)\qquad (b\in B,\;\chi \in \Delta (B))}
이는 결합 대수 준동형을 이루며, 또한 스펙트럼 을 보존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σ
(
b
)
=
σ
(
b
^
)
=
{
χ
(
b
)
:
χ
∈
Δ
(
B
)
}
⊆
C
∀
b
∈
B
{\displaystyle \sigma (b)=\sigma ({\hat {b}})=\{\chi (b)\colon \chi \in \Delta (B)\}\subseteq \mathbb {C} \qquad \forall b\in B}
여기서 우변은 복소수 바나흐 대수
C
0
(
Δ
(
B
)
,
C
)
{\displaystyle {\mathcal {C}}^{0}(\Delta (B),\mathbb {C} )}
에서 취한 스펙트럼이다.
공집합 이 아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위에 정의된 연속 함수 의 공간
C
0
(
X
,
K
)
{\displaystyle {\mathcal {C}}^{0}(X,\mathbb {K} )}
은 (균등 노름 및 점별 합과 곱에 대하여)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4] :247, Example 10.3(a)
실수체
R
{\displaystyle \mathbb {R} }
· 복소수체
C
{\displaystyle \mathbb {C} }
· 사원수 대수
H
{\displaystyle \mathbb {H} }
는 모두 실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이 가운데
C
{\displaystyle \mathbb {C} }
는 추가로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
R
{\displaystyle \mathbb {R} }
와
H
{\displaystyle \mathbb {H} }
는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루지 못한다.)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mathbb {K} }
-벡터 공간
V
=
K
n
{\displaystyle V=\mathbb {K} ^{n}}
위에 1-노름
‖
(
a
1
,
…
,
a
n
)
‖
=
max
{
a
1
,
…
,
a
n
}
{\displaystyle \|(a_{1},\dotsc ,a_{n})\|=\max\{a_{1},\dotsc ,a_{n}\}}
및 성분별 곱
(
a
1
,
…
,
a
n
)
⋅
(
b
1
,
…
,
b
n
)
=
(
a
1
b
1
,
…
,
a
n
b
n
)
{\displaystyle (a_{1},\dotsc ,a_{n})\cdot (b_{1},\dotsc ,b_{n})=(a_{1}b_{1},\dotsc ,a_{n}b_{n})}
을 부여하면, 이는 가환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그 가역원군 은
Unit
(
V
)
=
(
K
×
)
n
{\displaystyle \operatorname {Unit} (V)=(\mathbb {K} ^{\times })^{n}}
이다.
1차원 이상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V
→
V
{\displaystyle V\to V}
유계 작용소 들의 집합
B
(
V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B} (V,V)}
는 작용소 노름 과 함수의 합성 에 의하여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대수를 이룬다.[ 1] :5, Example I.14 만약
V
{\displaystyle V}
가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이라면,
B
(
V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B} (V,V)}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1] :5, Example I.14 [ 4] :248, Example 10.3(b)
모든 C* 대수 는 복소수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C* 대수
(
A
,
∗
)
{\displaystyle (A,^{*})}
가 주어졌을 때, 그 위에 노름
‖
a
‖
=
sup
{
|
λ
|
:
λ
∈
C
,
λ
−
a
∗
a
∉
Unit
(
A
)
}
{\displaystyle \|a\|=\sup \left\{{\sqrt {|\lambda |}}\colon \lambda \in \mathbb {C} ,\;\lambda -a^{*}a\not \in \operatorname {Unit} (A)\right\}}
을 부여하면 이는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위상군
G
{\displaystyle G}
위의 (왼쪽 하르 측도 에 대한) 르베그 공간
L
1
(
G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1}(G;\mathbb {K} )}
은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이다. 그 위에 합성곱
(
f
∗
g
)
(
x
)
=
∫
G
f
(
y
)
g
(
y
−
1
x
)
d
y
(
f
,
g
∈
L
1
(
G
;
K
)
)
{\displaystyle (f*g)(x)=\int _{G}f(y)g(y^{-1}x)\;\mathrm {d} y\qquad (f,g\in \operatorname {L} ^{1}(G;\mathbb {K} ))}
을 부여하면, 이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를 이룬다.
‘바나흐 대수’라는 이름은 스테판 바나흐 를 딴 것이다. 그러나 바나흐 대수의 이론은 스테판 바나흐 와 큰 관계가 없으며, 다만 바나흐가 연구한 바나흐 공간 을 이루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5]
바나흐 대수의 개념은 나구모 미치오(일본어 : 南雲 道夫 , 1905~1995)가 1936년에 ‘선형 계량환’(독일어 : linearer metrischer Ring )이라는 이름으로 도입하였다.[ 5] [ 6] 이후 이즈라일 겔판트 가 이를 ‘노름환’(독일어 : normierter Ring )이라는 이름으로 재도입하였고, 이에 대하여 자세히 연구하였다.[ 5] [ 7] 1945년에 워런 앰브로즈(영어 : Warren Ambrose , 1914~1995)가 ‘바나흐 대수’(영어 : Banach algebra )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 5] [ 8]
아렌스 곱은 리하르트 프리드리히 아렌스(독일어 : Richard Friederich Arens , 1919~2000)가 1951년에 도입하였다.[ 9] [ 10]
겔판트-마주르 정리는 이즈라일 겔판트 와 스타니스와프 마주르 의 이름을 땄다. 마주르가 1938년에 증명하였는데[ 11] [ 12] , 저널에 페이지가 모자라 증명을 싣지 못하고 정리 자체만 출판하였다. 1941년에 이즈라일 겔판트 가 독자적으로 증명하였다.[ 7]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Bonsall, Frank F.; Duncan, John (1973). 《Complete normed algebras》.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80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642-65669-9 . ISBN 978-3-642-65671-2 . ISSN 0071-1136 .
↑ Dales, H. Garth; Aeina, Pietro; Eschmeier, Jörg; Laursen, Kjeld; Willis, George A. (2003). 《Introduction to Banach Algebras, Operators and Harmonic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영어). ISBN 0-521-53584-0 .
↑ Mosak, Richard D. (1975). 《Banach algebras》. Chicago Lectures in Mathematics (영어). ISBN 0-226-54203-3 .
↑ 가 나 다 라 Rudin, Walter (1991). 《Functional analysis》 (영어). 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2판. MacGraw-Hill. ISBN 0-07-054236-8 . MR 1157815 . Zbl 0867.46001 .
↑ 가 나 다 라 Runde, Volker (2012년 6월). “Why Banach algebras?” (PDF) . 《Canadian Mathematical Society Notes》 (영어) 44 (3): 10-11. arXiv :1206.1366 . Bibcode :2012arXiv1206.1366R . 2016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Nagumo, Mitio (1936). “Einige analytische Untersuchungen in linearen, metrischen Ringen” . 《Japanese Journal of Mathematics》 (독일어) 13 : 61–80.
↑ 가 나 Gelfand, I. M. (1941). “Normierte Ringe” . 《Матема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독일어) 51 (1): 3–24. JFM 67.0406.02 . MR 4726 . Zbl 0024.32002 .
↑ Ambrose, Warren (1945). “Structure theorems for a special class of Banach algebra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7 : 364–386. doi :10.1090/S0002-9947-1945-0013235-8 . MR 13235 .
↑ Arens, Richard Friedrich (1951). “Operations induced in function classes” . 《Monatshefte für Mathematik》 (영어) 55 : 1–19. ISSN 0026-9255 .
↑ Arens, Richard Friedrich (1951). “The adjoint of a bilinear operatio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2 : 839–848. doi :10.1090/S0002-9939-1951-0045941-1 . MR 45941 .
↑ Mazur, Stanisław (1938). “Sur les anneaux linéaires”. 《Comptus Rendus de l’Acade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07 : 1025–1027. JFM 64.0086.01 .
↑ Mazet, Pierre (2007). “La preuve originale de S. Mazur pour son théorème sur les algèbres normées” (PDF) . 《Gazette de la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프랑스어) 111 : 5–11. MR 2289675 . Zbl 1158.46035 .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29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