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단순환
환론에서 반단순환(半單純環, 영어: semisimple ring)은 모든 가군이 반단순 가군인 환이다. 유한 개의 나눗셈환들의 위의 행렬환들의 직접곱과 동형이다.
정의
편집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환을 반단순환이라고 한다.
- 스스로에 대한 왼쪽 가군으로서 반단순 가군이다.
- 스스로에 대한 오른쪽 가군으로서 반단순 가군이다.
- 의 왼쪽 가군들의 범주 에서, 모든 짧은 완전열은 분할 완전열이다.
- 의 오른쪽 가군들의 범주 에서, 모든 짧은 완전열은 분할 완전열이다.
- 위의 모든 왼쪽 가군이 반단순 가군이다.
- 위의 모든 오른쪽 가군이 반단순 가군이다.
- 왼쪽 아르틴 환이며, 반원시환이다.
- 오른쪽 아르틴 환이며, 반원시환이다.
- 유한 개의 아르틴 단순환들의 직접곱이다. (단순환의 경우, 왼쪽 아르틴 조건과 오른쪽 아르틴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아르틴-웨더번 정리 영어: Artin–Wedderburn theorem) 유한 개의 나눗셈환들 에 대한 직접곱 과 동형이다.
성질
편집모든 반단순환은 왼쪽 아르틴 환이며, 오른쪽 아르틴 환이며, 왼쪽 뇌터 환이며, 오른쪽 뇌터 환이며, 반원시환이다. 또한,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1]:173
반단순환 | ⇒ | 반원시환 | ⇒ | 반소환 |
⇑ | ⇑ | |||
단순환 | ⇒ | 左·右 원시환 | ⇒ | 소환 |
만약 (왼쪽 또는 오른쪽) 아르틴 환의 조건을 가정하면, 이 함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단순해진다.[1]:173, Proposition 11.7
반단순환 | ⇔ | 아르틴 반원시환 | ⇔ | 아르틴 반소환 |
⇑ | ||||
아르틴 단순환 | ⇔ | 아르틴 원시환 | ⇔ | 아르틴 소환 |
특히, 반단순환이 아닌 단순환이 존재한다.
유한 개의 반단순환들의 직접곱은 반단순환이다.
분류
편집반단순환의 구조는 아르틴-웨더번 정리(영어: Artin–Wedderburn theorem)로서 완전히 알려져 있다.[2]:40, Theorem 1.11 구체적으로, 반단순환 가 주어졌을 때, 정의에 따라 는 반단순 가군이며, 이를 유한 개의 단순 가군의 직합으로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가 된다. 슈어 보조정리에 의하여 는 나눗셈환이다. 즉, 반단순환은 유한 개의 나눗셈환 위의 행렬환들의 직접곱과 동형이다.
예
편집정수환 는 반원시환이지만 아르틴 환이 아니므로 반단순환이 아니다. 정수환 위의 반단순 가군은 소수 크기의 순환군들의 직합인데, 이렇게 표기될 수 없는 아벨 군들이 존재한다.
바일 대수 는 단순환이자 영역이지만, 반단순환이 아니다.
복소수 행렬 대수
편집자연수 이 주어졌다고 하자. 복소수체 위의 행렬 대수
가 주어졌을 때, 만약
라면, 는 반단순 대수이다. (여기서 는 에르미트 수반이다.)
증명:
마슈케 정리
편집라고 하자. (즉, 의 크기는 의 표수를 소인수로 갖지 않는다.) 그렇다면 군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므로 자명하게 왼쪽 아르틴 환이자 오른쪽 아르틴 환이다. 마슈케 정리(영어: Maschke’s theorem)에 따르면, 군환 는 반단순환이다. 이는 하인리히 마슈케(영어: Heinrich Maschke, 1853~1908)가 증명하였다.[3][4]
각주
편집- ↑ 가 나 Lam, Tsit-Yuen (2001). 《A first course in noncommutative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31 2판. Springer. doi:10.1007/978-1-4419-8616-0. ISBN 978-0-387-95183-6. ISSN 0072-5285.
- ↑ Farb, Benson; Dennis, R. Keith (1993). 《Noncommutative algebra》.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44.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0889-1. ISBN 978-1-4612-6936-6. ISSN 0072-5285.
- ↑ Maschke, Heinrich (1898). “Ueber den arithmetischen Charakter der Coefficienten der Substitutionen endlicher linearer Substitutionsgruppen”.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50 (4): 492–498. doi:10.1007/BF01444297. JFM 29.0114.03. MR 1511011.
- ↑ Maschke, Heinrich (1899). “Beweis des Satzes, dass diejenigen endlichen linearen Substitutionsgruppen, in welchen einige durchgehends verschwindende Coefficienten auftreten, intransitiv sind”.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52 (2–3): 363–368. doi:10.1007/BF01476165. JFM 30.0131.01. MR 1511061.
외부 링크
편집- “Classical semi-simple ring”.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emi-simple ring”.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emi-simple algebra”.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dderburn-Artin theor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Semisimple Artinian ring”. 《Commalg》 (영어).
- 이철희. “아틴-웨더번 정리(Artin–Wedderburn theorem)”. 《수학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