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더 알아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6년 11월)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행하기 위하여 도입된 차량이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및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전동차와 같이 한국형 표준전동차를 기반으로 한다. 현재 총 4량 20개 편성(80량)이 운행하고 있다.
![]() 대저역에 진입 중인 302편성 | |
제작 및 운영 | |
---|---|
제작사 | |
제작 연도 | 2005년 (301~320) |
생산량 | 80량 |
제원 | |
양 수 | 4량 |
차량 정원 | 선두차 113명 중간차 124명 |
전장 | 17,500 mm |
전폭 | 2,750 mm |
전고 | 3,600 mm |
차량 중량 | 122.2 t |
궤간 (mm) | 1435 |
성능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
제어 방식 |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IGBT(미쓰비시) (현대로템 IPM) 2레벨 1C4M제어 |
기동가속도 | 3.0 km/h/s |
영업 최고 속도 | ATC/ATP/ATO 구간 8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감속도 | 영업시 3.5km/h/s, 비상시 4.5 km/h/s |
전동기 출력 | 210 kW |
구동 장치 | 농형 3상 유도전동기 |
제동 방식 | 발전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MT비 | 2M 2T |
보안 장치 | ATC/ATP/ATO [수동운전.자동운전] |
구분
편집1차 도입분 (301~320편성)
편집2005년 11월 28일 월요일 1차 개통(수영~대저)에 대비하여 도입됐다. 현대로템 공장에서 제작되어 트레일러로 대저차량기지까지 운반됐다.
기술 사양
편집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IGBT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전동차와 동일한 IGBT를 사용한 차량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 121, 125, 130~131, 133~134, 139, 142, 145~151편성,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중 201~205, 215~231, 257~272편성,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중 301~315, 321~333, 336~340, 349편성,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 126~134편성,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등이다.
배속
편집- 301~320편성: 대저차량사업소, 4량
편성
편집4량 20개 편성으로 운행한다. 3호선 승강장은 추후 6량 1편성으로 증결 운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 부산교통공사는 M'객차를 M1, M객차를 M2라고 지칭하며 하단에도 이를 적용하였다.
◇◇ | ◇◇ | ||||
30XX | 31XX | 34XX | 35XX | ||
Tc | M1 | M1 | Tc | ||
←대저 | ※XX는 편성 번호 | 수영→ |
Tc칸에는 ATP-ATO 방송장치,운전 제어객대 등이 있다.
객차번호 | 구성 |
---|---|
30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31XX | M1(팬터그래프,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34XX | M1(팬터그래프,추진제어장치,견인전동기(TM)) |
35XX | Tc(SIV,공기압축기,축전지) |
현재 운행구간
편집-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영 - 대저
현황
편집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하여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차호 | 도입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301 편성 | 2005년 | 운행 중 |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302 편성 | 운행 중 | ||
303 편성 | 운행 중 | ||
304 편성 | 운행 중 | 2012년 11월 배산~물만골간 추돌사고로 수리 후 운행 재개 되었다.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305 편성 | 운행 중 | 1호차에 LED조명이 설치됐다.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발광 다이오드|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306 편성 | 운행 중 |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된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307 편성 | 운행 중 | ||
308 편성 | 운행 중 | ||
309 편성 | 운행 중 | ||
310 편성 | 운행 중 | ||
311 편성 | 운행 중 | 시범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ED]]]]조명이 설치됐다. | |
312 편성 | 운행 중 | 객실 내 형광등이 LED로 교체됐다. | |
313 편성 | 운행 중 | 2012년 11월 배산~물만골간 추돌사고로 수리 후 운행 재개 되었다. | |
314 편성 | 운행 중 | ||
315 편성 | 운행 중 | ||
316 편성 | 운행 중 | 기존 LCD 안내기에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분 열차에 사용되는 신형 LED 안내기로 교체됐다. | |
317 편성 | 운행 중 | ||
318 편성 | 운행 중 | ||
319 편성 | 운행 중 | ||
320 편성 | 운행 중 |
특이사항
편집측면행선기 작동 중단
편집2005년 개통당시부터 전역사 스크린도어 설치가 되었으나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가 점등이 되었다. 현재는 모든 열차에 측면안내 게시기를 제거후 부산교통공사로고를 부착 완료후 운행하고 있다.
사진
편집-
구포역에 들어가는 305편성
-
전동차 실내 (일부 편성은 조명에 덮개가 씌워져 있음)
같이 보기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