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대수 이론에서, 불변 다항식 (不變多項式, 영어 : invariant polynomial )은 어떤 리 대수의 원소를 변수로 가지며, 그 딸림표현 작용에 대하여 불변인 다항식 이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쌍대 공간
g
∗
{\displaystyle {\mathfrak {g}}^{*}}
위의 대칭 대수
Sym
(
g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mathfrak {g}}^{*})}
를 생각하자.
α
∈
Sym
n
g
∗
{\displaystyle \alpha \in \textstyle \operatorname {Sym} ^{n}{\mathfrak {g}}^{*}}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n
{\displaystyle n}
차 불변 다항식 이라고 한다.
∑
i
=
0
n
−
1
α
(
x
0
,
x
1
,
…
,
[
x
i
,
x
i
+
1
]
,
…
,
x
n
)
=
0
{\displaystyle \sum _{i=0}^{n-1}\alpha (x_{0},x_{1},\dotsc ,[x_{i},x_{i+1}],\dotsc ,x_{n})=0}
g
{\displaystyle {\mathfrak {g}}}
위의 불변 다항식은 각 차수들의 불변 다항식들의 합이다.
유한형 (즉, 각 차수의 차원이 유한한) L∞-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베유 대수 (영어 : Weil algebra )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는 다음과 같은 미분 등급 대수 이다. 이는 미분 구조를 잊으면 자유 등급 가환 대수이며,
g
∗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동차 원소 기저 를
t
i
{\displaystyle t^{i}}
라고 할 때,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의 생성원은
t
i
{\displaystyle t^{i}}
및
δ
t
i
{\displaystyle \delta t^{i}}
이다 (
deg
δ
t
i
=
1
+
deg
t
i
{\displaystyle \deg \delta t^{i}=1+\deg t^{i}}
). 또한, 그 미분은 다음과 같다.
d
t
i
=
d
C
E
t
i
+
δ
t
i
{\displaystyle \mathrm {d} t^{i}=\mathrm {d} _{\mathrm {CE} }t^{i}+\delta t^{i}}
d
δ
t
i
=
−
δ
d
C
E
t
i
{\displaystyle \mathrm {d} \delta t^{i}=-\delta \mathrm {d} _{\mathrm {CE} }t^{i}}
여기서
d
CE
{\displaystyle \mathrm {d} _{\operatorname {CE} }}
란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
C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CE} ({\mathfrak {g}})}
의 미분이다. 즉, 이는
δ
2
=
{
d
,
δ
}
=
0
{\displaystyle \delta ^{2}=\{\mathrm {d} ,\delta \}=0}
을 따른다.
물론, 베유 대수에서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대수로 가는 전사 미분 등급 대수 준동형
W
(
g
)
→
C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to \operatorname {CE} ({\mathfrak {g}})}
t
i
↦
t
i
{\displaystyle t^{i}\mapsto t^{i}}
δ
t
i
↦
0
{\displaystyle \delta t^{i}\mapsto 0}
이 존재한다.
유한형 L∞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불변 다항식은 베유 대수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의 원소
α
∈
W
(
g
)
{\displaystyle \alpha \in \operatorname {W} ({\mathfrak {g}})}
가운데,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1] :Definition 4.1.13
α
∈
⋀
δ
g
∗
⊆
W
(
g
)
{\displaystyle \alpha \in \bigwedge \delta {\mathfrak {g}}^{*}\subseteq \operatorname {W} ({\mathfrak {g}})}
d
W
(
g
)
α
=
0
{\displaystyle \mathrm {d} _{\operatorname {W} ({\mathfrak {g}})}\alpha =0}
즉, 베유 대수의 닫힌 원소 가운데,
δ
g
∗
{\displaystyle \delta {\mathfrak {g}}^{*}}
만으로 생성되는 것이다.
이는 리 대수 의 경우의 정의를 일반화한다.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리 대수인 경우, 불변 다항식은
Sym
(
g
∗
)
⊆
W
(
g
)
=
Sym
(
g
∗
)
⊗
⋀
(
g
∗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mathfrak {g}}^{*})\subseteq \operatorname {W} ({\mathfrak {g}})=\operatorname {Sym} ({\mathfrak {g}}^{*})\otimes \bigwedge ({\mathfrak {g}}^{*})}
의 원소이며, 여기서 불변 다항식 조건은 이 원소가 닫힌 원소라는 조건과 동치 이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킬링 형식
B
∈
Sym
2
g
∗
{\displaystyle B\in \operatorname {Sym} ^{2}{\mathfrak {g}}^{*}}
은 2차 불변 다항식이다. 즉,
B
(
x
,
[
y
,
z
]
)
−
B
(
[
x
,
y
]
,
z
)
=
0
∀
x
,
y
,
z
∈
g
{\displaystyle B(x,[y,z])-B([x,y],z)=0\qquad \forall x,y,z\in {\mathfrak {g}}}
이다.
계수
n
{\displaystyle n}
의 단순 리 대수 는
n
{\displaystyle n}
개의 불변 다항식을 가진다. 그 차수는 다음과 같다.[ 2] :59, §3.7
단순 리 대수
불변 다항식의 차수
a
n
{\displaystyle {\mathfrak {a}}_{n}}
2, 3, …, n +1
b
n
{\displaystyle {\mathfrak {b}}_{n}}
,
c
n
{\displaystyle {\mathfrak {c}}_{n}}
2, 4, 6, …, 2n
d
n
{\displaystyle {\mathfrak {d}}_{n}}
2, 4, 6, …, 2n −2, n
e
6
{\displaystyle {\mathfrak {e}}_{6}}
2, 5, 6, 8, 9, 12
e
7
{\displaystyle {\mathfrak {e}}_{7}}
2, 6, 8, 10, 12, 14, 18
e
8
{\displaystyle {\mathfrak {e}}_{8}}
2, 8, 12, 14, 18, 20, 24, 30
f
4
{\displaystyle {\mathfrak {f}}_{4}}
2, 6, 8, 12
g
2
{\displaystyle {\mathfrak {g}}_{2}}
2, 6
위 표에서, 첫 2차 불변 다항식은 항상 킬링 형식 이다. “차수”란 다항식의 차수를 뜻한다. 이를 L∞-대수 로 해석할 경우, 각 변수의 등급이 2이므로, L∞-대수 로서의 등급은 다항식 차수의 2배이다. 이 수들은 해당 리 대수 의 콤팩트 형식의 유리수 계수 특이 코호몰로지 환을 결정한다. 즉, 만약 불변 다항식의 차수가
d
1
,
d
2
,
…
,
d
r
{\displaystyle d_{1},d_{2},\dotsc ,d_{r}}
라면, 리 군의 특이 코호몰로지 환은 차수
deg
x
i
=
2
d
i
−
1
{\displaystyle \deg x_{i}=2d_{i}-1}
의
r
{\displaystyle r}
개의 생성원으로 생성되는 외대수 이다. 특히,
dim
G
=
∑
i
=
1
r
(
2
d
i
−
1
)
{\displaystyle \dim G=\sum _{i=1}^{r}(2d_{i}-1)}
이다.
a
n
=
s
u
(
n
+
1
)
{\displaystyle {\mathfrak {a}}_{n}={\mathfrak {su}}(n+1)}
의 경우, 그 불변 다항식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리 대수의 원소를
(
n
+
1
)
×
(
n
+
1
)
{\displaystyle (n+1)\times (n+1)}
무대각합 반 에르미트 행렬 로 표현할 경우,
p
k
(
M
)
=
tr
(
n
+
1
)
×
(
n
+
1
)
(
M
k
)
{\displaystyle p_{k}(M)=\operatorname {tr} _{(n+1)\times (n+1)}(M^{k})}
이다. 만약
k
=
1
{\displaystyle k=1}
인 경우는 (행렬이 무대각합이므로)
p
1
=
0
{\displaystyle p_{1}=0}
이 되며,
k
≥
n
+
2
{\displaystyle k\geq n+2}
인 경우는 더 낮은 차수의 불변 다항식들의 곱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s
o
(
n
)
{\displaystyle {\mathfrak {so}}(n)}
의 경우, 그 리 대수의 원소는 반대칭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이며, 따라서 다음과 같은 불변 다항식을 적을 수 있다.
p
k
(
M
)
=
tr
(
M
k
)
{\displaystyle p_{k}(M)=\operatorname {tr} (M^{k})}
이 경우
k
{\displaystyle k}
가 홀수 일 때
p
k
=
0
{\displaystyle p_{k}=0}
이다. 즉, 짝수 차수만이 남게 된다.
n
{\displaystyle n}
이 홀수일 때 불변 다항식들은
p
2
,
…
,
p
n
−
1
{\displaystyle p_{2},\dotsc ,p_{n-1}}
로 구성된다.
n
=
2
m
{\displaystyle n=2m}
이 짝수일 때는 추가로
m
{\displaystyle m}
차 불변 다항식
q
(
M
)
=
ϵ
i
1
j
1
i
2
j
2
⋯
i
m
j
m
M
i
1
j
1
⋯
M
i
m
j
m
{\displaystyle q(M)=\epsilon ^{i_{1}j_{1}i_{2}j_{2}\dotsb i_{m}j_{m}}M_{i_{1}j_{1}}\dotsm M_{i_{m}j_{m}}}
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