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사이의 모리타 문맥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1] :486; 503, Exercise §18.18
(
R
,
S
)
{\displaystyle (R,S)}
-쌍가군
R
M
S
{\displaystyle {}_{R}M_{S}}
(
S
,
R
)
{\displaystyle (S,R)}
-쌍가군
S
N
R
{\displaystyle {}_{S}N_{R}}
(
R
,
R
)
{\displaystyle (R,R)}
-쌍가군 준동형
ϕ
:
R
(
M
⊗
S
N
)
R
→
R
R
R
{\displaystyle \phi \colon {}_{R}(M\otimes _{S}N)_{R}\to {}_{R}R_{R}}
(
S
,
S
)
{\displaystyle (S,S)}
-쌍가군 준동형
ψ
:
S
(
N
⊗
R
M
)
S
→
S
S
S
{\displaystyle \psi \colon {}_{S}(N\otimes _{R}M)_{S}\to {}_{S}S_{S}}
이 데이터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id
M
⊗
S
ψ
=
ϕ
⊗
R
id
N
{\displaystyle \operatorname {id} _{M}\otimes _{S}\psi =\phi \otimes _{R}\operatorname {id} _{N}}
ψ
⊗
S
id
N
=
id
M
⊗
R
N
{\displaystyle \psi \otimes _{S}\operatorname {id} _{N}=\operatorname {id} _{M}\otimes _{R}N}
모리타 문맥
(
R
,
S
,
M
,
N
,
ϕ
,
ψ
)
{\displaystyle (R,S,M,N,\phi ,\psi )}
이 주어졌을 때, 아벨 군
R
⊕
M
⊕
N
⊕
S
{\displaystyle R\oplus M\oplus N\oplus S}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 연산 을 부여하면 이는 환 을 이루며, 이를 모리타 환 (영어 : Morita ring )이라고 한다.
(
r
,
m
,
n
,
s
)
(
r
′
,
m
′
,
n
′
,
s
′
)
=
(
r
r
′
+
ϕ
(
m
⊗
S
n
′
)
,
r
m
′
+
m
s
′
,
n
r
′
+
s
n
′
,
s
s
′
+
ψ
(
n
⊗
R
m
′
)
)
{\displaystyle (r,m,n,s)(r',m',n',s')=\left(rr'+\phi (m\otimes _{S}n'),rm'+ms',nr'+sn',ss'+\psi (n\otimes _{R}m')\right)}
R
⊕
M
⊕
N
⊕
S
{\displaystyle R\oplus M\oplus N\oplus S}
의 원소를 다음과 같은 2×2 행렬
(
r
m
n
s
)
(
r
∈
R
,
m
∈
M
,
n
∈
N
,
s
∈
S
)
{\displaystyle {\begin{pmatrix}r&m\\n&s\end{pmatrix}}\qquad (r\in R,\;m\in M,\;n\in N,\;s\in S)}
로 나타내며
ϕ
{\displaystyle \phi }
와
ψ
{\displaystyle \psi }
를 생략한다면, 모리타 환의 곱은 행렬의 곱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모리타 환은 기호로
(
R
M
N
S
)
{\displaystyle {\begin{pmatrix}R&M\\N&S\end{pmatrix}}}
로 표기한다.
특수한 경우로,
N
=
0
{\displaystyle N=0}
이며
ϕ
{\displaystyle \phi }
,
ψ
{\displaystyle \psi }
는 영 쌍가군을 정의역 으로 하는 유일한 쌍가군 준동형이라고 하자. 이 경우 모리타 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은 상삼각행렬 로 구성되며, 이를 삼각환 이라고 한다.[ 2] :16, Example 1.14 [ 1] :503, Exercise §18.18 즉, 이는 아벨 군 으로서 직합
R
⊕
M
⊕
S
{\displaystyle R\oplus M\oplus S}
이며, 그 위의 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r
,
m
,
s
)
(
r
′
,
m
′
,
s
′
)
=
(
r
r
′
,
r
m
′
+
m
s
′
,
s
s
′
)
(
r
,
r
′
∈
R
,
m
,
m
′
∈
M
,
s
,
s
′
∈
S
)
{\displaystyle (r,m,s)(r',m',s')=(rr',rm'+ms',ss')\qquad (r,r'\in R,\;m,m'\in M,\;s,s'\in S)}
삼각환은 다음과 같이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다.[ 3] :430, Theorem 6.4(c) [ 4] 모리타 문맥
(
T
,
e
)
{\displaystyle (T,e)}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T
{\displaystyle T}
는 환 이다.
e
∈
T
{\displaystyle e\in T}
는 멱등원이다. 즉,
e
2
=
e
{\displaystyle e^{2}=e}
를 만족시킨다.
이 정의는 쌍가군을 통한 정의와 동치이다. 구체적으로,
(
T
,
e
)
{\displaystyle (T,e)}
가 주어졌을 때,
R
=
e
T
e
{\displaystyle R=eTe}
S
=
(
1
−
e
)
T
(
1
−
e
)
{\displaystyle S=(1-e)T(1-e)}
M
=
e
T
(
1
−
e
)
{\displaystyle M=eT(1-e)}
N
=
(
1
−
e
)
T
e
{\displaystyle N=(1-e)Te}
ϕ
:
(
e
T
(
1
−
e
)
⊗
R
(
1
−
e
)
T
e
)
→
e
T
e
{\displaystyle \phi \colon \left(eT(1-e)\otimes _{R}(1-e)Te\right)\to eTe}
ϕ
:
(
e
t
(
1
−
e
)
⊗
R
(
1
−
e
)
t
′
e
)
↦
e
t
(
1
−
e
)
t
′
e
{\displaystyle \phi \colon \left(et(1-e)\otimes _{R}(1-e)t'e\right)\mapsto et(1-e)t'e}
ψ
:
(
(
1
−
e
)
T
e
⊗
S
e
T
(
1
−
e
)
)
→
(
1
−
e
)
T
(
1
−
e
)
{\displaystyle \psi \colon \left((1-e)Te\otimes _{S}eT(1-e)\right)\to (1-e)T(1-e)}
ψ
:
(
(
1
−
e
)
t
e
⊗
S
e
t
′
(
1
−
e
)
)
↦
(
1
−
e
)
t
e
t
′
(
1
−
e
)
{\displaystyle \psi \colon \left((1-e)te\otimes _{S}et'(1-e)\right)\mapsto (1-e)tet'(1-e)}
로 놓으면,
(
R
,
S
,
M
,
N
,
ϕ
,
ψ
)
{\displaystyle (R,S,M,N,\phi ,\psi )}
는 모리타 문맥을 이룬다. 반대로, 모리타 문맥
(
R
,
S
,
M
,
N
,
ϕ
,
ψ
)
{\displaystyle (R,S,M,N,\phi ,\psi )}
이 주어졌을 때,
T
=
(
R
M
N
S
)
{\displaystyle T={\begin{pmatrix}R&M\\N&S\end{pmatrix}}}
e
=
(
1
R
0
M
0
N
0
S
)
{\displaystyle e={\begin{pmatrix}1_{R}&0_{M}\\0_{N}&0_{S}\end{pmatrix}}}
로 놓으면, 이는 위 정의를 만족시킨다.
특히, 만약
N
=
(
1
−
e
)
T
e
=
0
{\displaystyle N=(1-e)Te=0}
일 경우,
(
T
,
e
)
{\displaystyle (T,e)}
는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을 정의한다.
모리타 문맥의 개념은 범주론 적으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모리타 문맥 은 2개의 대상을 갖는 준가법 범주 (즉, 아벨 군 의 범주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Ab} }
위의 풍성한 범주 )이다.[ 3] :430, Theorem 6.4(a) 이러한 준가법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주어졌으며, 그 두 대상이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라고 하자. 그렇다면
R
=
End
C
(
X
)
=
hom
C
(
X
,
X
)
{\displaystyle R=\operatorname {End} _{\mathcal {C}}(X)=\hom _{\mathcal {C}}(X,X)}
S
=
End
C
(
Y
)
=
hom
C
(
Y
,
Y
)
{\displaystyle S=\operatorname {End} _{\mathcal {C}}(Y)=\hom _{\mathcal {C}}(Y,Y)}
M
=
hom
C
(
X
,
Y
)
{\displaystyle M=\hom _{\mathcal {C}}(X,Y)}
N
=
hom
C
(
Y
,
X
)
{\displaystyle N=\hom _{\mathcal {C}}(Y,X)}
로 놓으면, (준가법 범주 에서의 자기 사상 모노이드 는 환 을 이루므로)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자연스럽게 환 의 구조를 가지며, 사상의 합성을 통해
M
{\displaystyle M}
은
(
R
,
S
)
{\displaystyle (R,S)}
-쌍가군 ,
N
{\displaystyle N}
은
(
S
,
R
)
{\displaystyle (S,R)}
-쌍가군 을 이룬다. 또한, 사상의 합성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사상
ϕ
:
M
⊗
S
N
→
R
{\displaystyle \phi \colon M\otimes _{S}N\to R}
ψ
:
N
⊗
S
M
→
S
{\displaystyle \psi \colon N\otimes _{S}M\to S}
이 존재한다. 만약
N
=
0
{\displaystyle N=0}
일 경우 이는 삼각환을 정의한다.
2-범주 이론을 통해, 모리타 문맥의 개념을 일반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모리타 문맥
(
R
,
S
,
M
,
N
,
ϕ
,
ψ
)
{\displaystyle (R,S,M,N,\phi ,\psi )}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3] :424–425, Definition 5.1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대상(=0-사상)이다.
M
:
R
→
S
{\displaystyle M\colon R\to S}
와
N
:
S
→
R
{\displaystyle N\colon S\to R}
는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1-사상이다.
ϕ
:
N
∘
M
⇒
id
R
{\displaystyle \phi \colon N\circ M\Rightarrow \operatorname {id} _{R}}
와
ψ
:
M
∘
N
→
id
S
{\displaystyle \psi \colon M\circ N\to \operatorname {id} _{S}}
는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2-사상이다.
다음과 같은 쌍가군 2-범주
Bimod
{\displaystyle \operatorname {Bimod} }
를 생각하자.
Bimod
{\displaystyle \operatorname {Bimod} }
의 대상(=0-사상)은 환 이다.
Bimod
{\displaystyle \operatorname {Bimod} }
의 두 대상
R
{\displaystyle R}
,
S
{\displaystyle S}
사이의 1-사상은
(
R
,
S
)
{\displaystyle (R,S)}
-쌍가군 이다. 1-사상의 합성은 쌍가군 의 텐서곱
(
S
N
T
)
∘
(
R
M
S
)
=
R
(
M
⊗
S
N
)
T
{\displaystyle (_{S}N_{T})\circ (_{R}M_{S})={}_{R}(M\otimes _{S}N)_{T}}
으로 주어진다.
Bimod
{\displaystyle \operatorname {Bimod} }
의 두 대상
R
{\displaystyle R}
,
S
{\displaystyle S}
사이의 두 1-사상
R
M
S
{\displaystyle _{R}M_{S}}
,
R
N
S
{\displaystyle _{R}N_{S}}
사이의 2-사상은
(
R
,
S
)
{\displaystyle (R,S)}
-쌍가군 준동형
ϕ
:
M
→
N
{\displaystyle \phi \colon M\to N}
이다.
그렇다면, 2-범주
Bimod
{\displaystyle \operatorname {Bimod} }
속의 모리타 문맥은 위의 다른 정의들과 동치 이다.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은 가환환 이다.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가환환 이며,
M
=
0
{\displaystyle M=0}
이다.
환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및
(
R
,
S
)
{\displaystyle (R,S)}
-쌍가군
R
M
S
{\displaystyle _{R}M_{S}}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의 왼쪽 아이디얼 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2] :17, Proposition 1.17(1)
N
⊕
S
{\displaystyle N\oplus {\mathfrak {S}}}
여기서
S
⊆
S
{\displaystyle {\mathfrak {S}}\subseteq S}
는
S
{\displaystyle S}
의 왼쪽 아이디얼 이다.
N
⊆
R
⊕
M
{\displaystyle N\subseteq R\oplus M}
은
R
R
⊕
R
M
{\displaystyle _{R}R\oplus {}_{R}M}
의
R
{\displaystyle R}
-부분 가군 이며,
M
S
⊆
N
∩
M
{\displaystyle M{\mathfrak {S}}\subseteq N\cap M}
이다.
마찬가지로,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의 오른쪽 아이디얼 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2] :17, Proposition 1.17(2)
R
⊕
N
{\displaystyle {\mathfrak {R}}\oplus N}
여기서
R
⊆
R
{\displaystyle {\mathfrak {R}}\subseteq R}
는
R
{\displaystyle R}
의 오른쪽 아이디얼 이다.
N
⊆
M
⊕
S
{\displaystyle N\subseteq M\oplus S}
은
M
S
⊕
S
S
{\displaystyle M_{S}\oplus S_{S}}
의
S
{\displaystyle S}
-부분 가군 이며,
R
M
⊆
N
∩
M
{\displaystyle {\mathfrak {R}}M\subseteq N\cap M}
이다.
마찬가지로,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의 양쪽 아이디얼 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2] :17, Proposition 1.17(3)
r
⊕
N
⊕
s
{\displaystyle {\mathfrak {r}}\oplus N\oplus {\mathfrak {s}}}
여기서
r
⊆
R
{\displaystyle {\mathfrak {r}}\subseteq R}
는
R
{\displaystyle R}
의 양쪽 아이디얼 이다.
s
⊆
S
{\displaystyle {\mathfrak {s}}\subseteq S}
는
S
{\displaystyle S}
의 양쪽 아이디얼 이다.
R
N
S
⊆
R
M
S
{\displaystyle _{R}N_{S}\subseteq {}_{R}M{}_{S}}
은
R
M
S
{\displaystyle _{R}M_{S}}
의
(
R
,
S
)
{\displaystyle (R,S)}
-부분 쌍가군이며,
r
M
⊆
N
{\displaystyle {\mathfrak {r}}M\subseteq N}
이자
M
s
⊆
N
{\displaystyle M{\mathfrak {s}}\subseteq N}
이다.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2] :19, Theorem 1.22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은 왼쪽 뇌터 환 이다.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왼쪽 뇌터 환 이며,
R
M
{\displaystyle _{R}M}
은
R
{\displaystyle R}
-뇌터 가군 이다.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2] :19, Theorem 1.22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은 오른쪽 뇌터 환 이다.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오른쪽 뇌터 환 이며,
M
S
{\displaystyle M_{S}}
은
S
{\displaystyle S}
-뇌터 가군 이다.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2] :19, Theorem 1.22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은 왼쪽 아르틴 환 이다.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왼쪽 아르틴 환 이며,
R
M
{\displaystyle _{R}M}
은
R
{\displaystyle R}
-아르틴 가군 이다.
삼각환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2] :19, Theorem 1.22
(
R
M
0
S
)
{\displaystyle ({\begin{smallmatrix}R&M\\0&S\end{smallmatrix}})}
은 오른쪽 아르틴 환 이다.
R
{\displaystyle R}
와
S
{\displaystyle S}
는 오른쪽 아르틴 환 이며,
M
S
{\displaystyle M_{S}}
은
S
{\displaystyle S}
-아르틴 가군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