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아이디얼 정역
R
{\displaystyle R}
(예를 들어, 정수환
Z
{\displaystyle \mathbb {Z} }
또는 체 계수 일변수 다항식환
K
[
x
]
{\displaystyle K[x]}
) 위의 임의의
m
×
n
{\displaystyle m\times n}
행렬
A
∈
Mat
(
m
,
n
;
R
)
{\displaystyle A\in \operatorname {Mat} (m,n;R)}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역 행렬
P
∈
GL
(
m
;
R
)
{\displaystyle P\in \operatorname {GL} (m;R)}
와
Q
∈
GL
(
n
;
R
)
{\displaystyle Q\in \operatorname {GL} (n;R)}
및 유한 개의 원소
d
1
,
d
2
,
…
,
d
r
∈
R
{\displaystyle d_{1},d_{2},\dots ,d_{r}\in R}
가 존재한다.
P
A
Q
=
(
d
1
d
2
⋱
d
r
0
(
m
−
r
)
×
(
n
−
r
)
)
{\displaystyle PAQ={\begin{pmatrix}d_{1}\\&d_{2}\\&&\ddots \\&&&d_{r}\\&&&&0_{(m-r)\times (n-r)}\\\end{pmatrix}}}
d
i
≠
0
(
i
=
1
,
2
,
…
,
r
)
{\displaystyle d_{i}\neq 0\qquad (i=1,2,\dots ,r)}
d
1
∣
d
2
∣
⋯
∣
d
r
{\displaystyle d_{1}\mid d_{2}\mid \cdots \mid d_{r}}
(여기서
0
(
m
−
r
)
×
(
n
−
r
)
{\displaystyle 0_{(m-r)\times (n-r)}}
는
(
m
−
r
)
×
(
n
−
r
)
{\displaystyle (m-r)\times (n-r)}
영행렬 이다.) 또한
d
1
,
d
2
,
…
,
d
r
{\displaystyle d_{1},d_{2},\dots ,d_{r}}
은 가역원 배의 차이를 무시하면 유일하다. 이를
A
{\displaystyle A}
의 스미스 표준형 이라고 한다.
행렬의 스미스 표준형은 두 행 또는 두 열을 교환하는 연산과 한 행 또는 열에 다른 행 또는 열의 배수를 더하는 연산을 통해 구할 수 있다.
R
{\displaystyle R}
는 유일 인수 분해 정역 이므로, 모든 0이 아닌 원소는 유일한 인수 분해를 갖는다. 임의의
r
∈
R
∖
{
0
}
{\displaystyle r\in R\setminus \{0\}}
에 대하여,
l
(
r
)
∈
N
{\displaystyle l(r)\in \mathbb {N} }
이
r
{\displaystyle r}
의 소인수의 중복집합 의 크기라고 하자.
우선
R
{\displaystyle R}
위의
2
×
2
{\displaystyle 2\times 2}
행렬
(
a
b
c
e
)
{\displaystyle {\begin{pmatrix}a&b\\c&e\end{pmatrix}}}
을 생각하자.
R
{\displaystyle R}
가 베주 정역 이므로,
a
{\displaystyle a}
와
b
{\displaystyle b}
의 최대공약수
d
{\displaystyle d}
에 대하여,
d
=
u
a
+
v
b
{\displaystyle d=ua+vb}
인
u
,
v
∈
R
{\displaystyle u,v\in R}
가 존재한다.
a
=
d
a
′
{\displaystyle a=da'}
,
b
=
d
b
′
{\displaystyle b=db'}
라고 하자. 그렇다면
u
a
′
+
v
b
′
=
1
{\displaystyle ua'+vb'=1}
이다. 따라서
(
u
−
b
′
v
a
′
)
{\displaystyle {\begin{pmatrix}u&-b'\\v&a'\end{pmatrix}}}
은 가역 행렬 이며,
(
a
b
c
e
)
(
u
−
b
′
v
a
′
)
=
(
d
0
u
c
+
v
d
−
b
′
c
+
a
′
d
)
{\displaystyle {\begin{pmatrix}a&b\\c&e\end{pmatrix}}{\begin{pmatrix}u&-b'\\v&a'\end{pmatrix}}={\begin{pmatrix}d&0\\uc+vd&-b'c+a'd\end{pmatrix}}}
이다. 마찬가지로, 왼쪽에 가역 행렬 을 곱하여 첫 행 첫 열 성분이
a
{\displaystyle a}
와
c
{\displaystyle c}
의 최대공약수 이며 둘째 행 첫 열 성분이 0이도록 만들 수 있다.
이제 일반적인
m
×
n
{\displaystyle m\times n}
행렬
A
{\displaystyle A}
를 생각하자. 만약
A
=
0
{\displaystyle A=0}
이라면,
A
{\displaystyle A}
는 이미 스스로의 스미스 표준형이다.
A
≠
0
{\displaystyle A\neq 0}
이라고 가정하자. 행과 열의 교환을 통해, 편의상
A
11
≠
0
{\displaystyle A_{11}\neq 0}
이라고 가정하자. (보통 과정을 간단하게 만들기 위해
l
(
A
11
)
{\displaystyle l(A_{11})}
가 가장 작도록 행·열을 교환한다.) 만약 모든
i
,
j
=
2
,
…
,
n
{\displaystyle i,j=2,\dots ,n}
에 대하여
A
11
∣
A
i
j
{\displaystyle A_{11}\mid A_{ij}}
라면, 각 열에 첫 열의 배수를 더하고 각 행에 첫 행의 배수를 더하여, 첫 행과 첫 열의
A
11
{\displaystyle A_{11}}
을 제외한 모든 성분이 0이 되게 만들 수 있다. 만약
A
11
∤
A
i
j
{\displaystyle A_{11}\nmid A_{ij}}
인
i
,
j
=
2
,
…
,
n
{\displaystyle i,j=2,\dots ,n}
이 존재한다면, 행과 열의 교환 및 행 또는 열에 다른 행 또는 열의 배수를 더하는 연산을 통해
A
11
∤
A
12
{\displaystyle A_{11}\nmid A_{12}}
이거나
A
11
∤
A
21
{\displaystyle A_{11}\nmid A_{21}}
라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A
11
∣
A
12
,
A
21
{\displaystyle A_{11}\mid A_{12},A_{21}}
이지만
A
11
∤
A
22
{\displaystyle A_{11}\nmid A_{22}}
라면, 첫 행의 적절한 배수를 둘째 행에서 빼 둘째 행 첫 열의 성분을 0으로 만들고, 마찬가지로 첫 행 둘째 열의 성분을 0으로 만든 뒤, 다시 둘째 행을 첫 행에 더하면,
A
11
{\displaystyle A_{11}}
은 변하지 않으며,
A
11
{\displaystyle A_{11}}
이 바로 오른쪽 성분을 나누지 못하게 된다.) 편의상
A
11
∤
A
12
{\displaystyle A_{11}\nmid A_{12}}
라고 하자. 그렇다면
(
A
11
A
12
A
21
A
22
)
Q
′
=
(
A
11
′
0
A
21
′
A
22
′
)
{\displaystyle {\begin{pmatrix}A_{11}&A_{12}\\A_{21}&A_{22}\end{pmatrix}}Q'={\begin{pmatrix}A'_{11}&0\\A'_{21}&A'_{22}\end{pmatrix}}}
A
11
′
=
gcd
{
A
11
,
A
12
}
{\displaystyle A'_{11}=\gcd\{A_{11},A_{12}\}}
인 가역 행렬
Q
′
{\displaystyle Q'}
이 존재한다. 따라서
Q
=
(
Q
′
0
0
1
(
n
−
2
)
×
(
n
−
2
)
)
{\displaystyle Q={\begin{pmatrix}Q'&0\\0&1_{(n-2)\times (n-2)}\end{pmatrix}}}
는 가역 행렬 이며, 행렬
A
Q
{\displaystyle AQ}
의 첫 행 첫 열 성분은
A
11
′
{\displaystyle A'_{11}}
이다. 또한
A
11
∤
A
12
{\displaystyle A_{11}\nmid A_{12}}
이므로
A
11
′
{\displaystyle A'_{11}}
은
l
(
A
11
′
)
<
l
(
A
11
)
{\displaystyle l(A'_{11})<l(A_{11})}
을 만족시킨다. (
A
11
∤
A
21
{\displaystyle A_{11}\nmid A_{21}}
인 경우에도 가역 행렬 의 왼쪽 곱셈을 통해 첫 행 첫 열의 소인수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첫 행 첫 열의 원소는 소인수의 수가 줄어들수록 가역원 에 가까워져 ‘다른 성분들을 나눌 가능성’이 늘어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첫 행 첫 열의 성분이 모든 다른 성분을 나누는 행렬을 얻는다. 이제 첫 행의 적절한 배수를 다른 행에 더하고 첫 열의 적절한 배수를 다른 열에 더하면
A
{\displaystyle A}
는 다음과 같은 꼴의 행렬과 동치가 된다.
(
d
1
0
0
A
′
)
{\displaystyle {\begin{pmatrix}d_{1}&0\\0&A'\end{pmatrix}}}
d
1
∣
A
i
j
′
(
∀
i
,
j
)
{\displaystyle d_{1}\mid A'_{ij}\qquad (\forall i,j)}
다시
A
′
{\displaystyle A'}
에 대하여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A
{\displaystyle A}
와 동치인 다음과 같은 꼴의 행렬을 얻는다.
(
d
1
0
0
d
2
A
″
)
{\displaystyle {\begin{pmatrix}d_{1}&0\\0&d_{2}\\&&A''\end{pmatrix}}}
d
1
∣
d
2
∣
A
i
j
″
(
∀
i
,
j
)
{\displaystyle d_{1}\mid d_{2}\mid A''_{ij}\qquad (\forall i,j)}
여기서
d
1
∣
d
2
{\displaystyle d_{1}\mid d_{2}}
인 이유는
d
2
{\displaystyle d_{2}}
가
A
′
{\displaystyle A'}
의 성분의 선형 결합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스미스 표준형을 얻는다.
유리수 계수 다항식환
Q
[
x
]
{\displaystyle \mathbb {Q} [x]}
위의 행렬
(
x
+
3
1
1
2
x
+
2
1
−
6
−
3
x
−
2
)
{\displaystyle {\begin{pmatrix}x+3&1&1\\2&x+2&1\\-6&-3&x-2\end{pmatrix}}}
의 스미스 표준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x
+
3
1
1
2
x
+
2
1
−
6
−
3
x
−
2
)
∼
(
1
1
x
+
3
1
x
+
2
2
x
−
2
−
3
−
6
)
∼
(
1
1
x
+
3
0
x
+
1
−
x
−
1
0
−
x
−
1
−
x
2
−
x
)
∼
(
1
0
0
0
x
+
1
−
x
−
1
0
−
x
−
1
−
x
2
−
x
)
∼
(
1
0
0
0
x
+
1
−
x
−
1
0
0
−
(
x
+
1
)
2
)
∼
(
1
0
0
0
x
+
1
0
0
0
−
(
x
+
1
)
2
)
∼
(
1
0
0
0
x
+
1
0
0
0
(
x
+
1
)
2
)
{\displaystyle {\begin{aligned}{\begin{pmatrix}x+3&1&1\\2&x+2&1\\-6&-3&x-2\end{pmatrix}}&\sim {\begin{pmatrix}1&1&x+3\\1&x+2&2\\x-2&-3&-6\end{pmatrix}}\sim {\begin{pmatrix}1&1&x+3\\0&x+1&-x-1\\0&-x-1&-x^{2}-x\end{pmatrix}}\sim {\begin{pmatrix}1&0&0\\0&x+1&-x-1\\0&-x-1&-x^{2}-x\end{pmatrix}}\\&\sim {\begin{pmatrix}1&0&0\\0&x+1&-x-1\\0&0&-(x+1)^{2}\end{pmatrix}}\sim {\begin{pmatrix}1&0&0\\0&x+1&0\\0&0&-(x+1)^{2}\end{pmatrix}}\\&\sim {\begin{pmatrix}1&0&0\\0&x+1&0\\0&0&(x+1)^{2}\end{pmatrix}}\end{alig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