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스킴
대수기하학에서 정규 스킴(正規scheme, 영어: normal scheme)은 모든 국소환이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인 스킴이다.
정의
편집국소환 달린 공간 에서, 만약 모든 에 대하여 구조층의 줄기 가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인 국소환이라면, 를 정규 국소환 달린 공간(영어: normal locally ringed space)이라고 한다.
정규 스킴은 정규 국소환 달린 공간인 스킴이다.[1]:91, Exercise II.3.8 정규환(正規環, 영어: normal ring) 는 그 스펙트럼 가 정규 스킴인 가환환이다. 즉, 임의의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국소화 가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인 경우이다.
정규화
편집임의의 기약 축소 스킴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을 만족시키는 기약 정규 스킴 및 스킴 사상 가 존재하며, 이를 의 정규화(영어: normalization)라고 한다.[1]:91, Exercise II.3.8
- 임의의 기약 정규 스킴 및 우세 사상 에 대하여, 가 되는 스킴 사상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위에 열린 아핀 스킴들로 구성된 열린 덮개 를 잡았을 때, 각 의 정수적 폐포 들의 스펙트럼 을 이어붙여 스킴 를 구성할 수 있다. 자연스러운 사상 는 가환환의 포함 준동형 으로부터 유도된다.
만약 가 기약 스킴이 아닌 축소 스킴이라면, 그 정규화는 의 각 기약 성분 의 정규화 들의 분리합집합
으로 정의된다.
성질
편집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세르 조건
편집뇌터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정의하자.
- Rk: 모든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만약 라면, 국소화 는 정칙 국소환이다. 여기서 는 아이디얼의 높이이다.
- Sk: 모든 소 아이디얼 에 대하여, . 여기서 는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서의, 유일한 극대 아이디얼에 대한) 깊이이다.
세르 조건(영어: Serre’s criterion)에 따르면, 뇌터 가환환의 경우, 다음 표에서 각 행에 적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조건 | 뇌터 가환환에 대하여 동치인 조건 |
---|---|
정규환 | R1 + S2 |
축소환 | R0 + S1 |
코언-매콜리 환 | S∞ |
대수기하학적으로, 정규 스킴의 세르 조건에서, R1 조건은 대략 "여차원 1의 특이 부분 집합이 존재하지 않음"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대수기하학적으로 S2 조건은 하르톡스 확장정리에 해당한다.
정규 대수다양체
편집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대수다양체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이는 정수적으로 닫힌 정역의 정의를 그대로 기하학적으로 번역한 것이다. 즉, 에 대하여 라고 놓으면, 모든 환 에 대하여, 만약 다음 두 조건
- (쌍유리 사상)
- (유한 사상) 는 위의 유한 생성 가군
이 성립한다면, 이어야 한다.
역사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Springer. doi:10.1007/978-1-4757-3849-0. ISBN 978-0-387-90244-9. ISSN 0072-5285. MR 0463157. Zbl 0367.14001.
- ↑ Zariski, Oscar (1939). “Some Results in the Arithmetic Theory of Algebraic Varieties.”.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61 (2): 249–294. doi:10.2307/2371499. JSTOR 2371499. MR 1507376.
외부 링크
편집- “Normal schem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Normal analytic spac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Normal variety”. 《nLab》 (영어).
- “What are normal schemes intuitively?” (영어). StackExchange. 2016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Is there a “geometric” intuition underlying the notion of normal varieties?” (영어). Math Overfloow. 2016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
- Siegel, Charles (2008년 7월 8일). “Normalization and normal varieties”. 《Rigorous Trivialities》 (영어). 2016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