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n
{\displaystyle n}
차 불변 다항식
p
∈
Sym
(
g
∗
)
{\displaystyle p\in \operatorname {Sym} ({\mathfrak {g}}^{*})}
그렇다면,
g
{\displaystyle {\mathfrak {g}}}
로 구성되는 베유 대수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가환 미분 등급 대수 이다. 또한, 불변 다항식 의 공간
inv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 ({\mathfrak {g}})}
은 자연스럽게 베유 대수 의 부분 공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inv
(
g
)
→
W
(
g
)
→
C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inv} ({\mathfrak {g}})\to \operatorname {W} ({\mathfrak {g}})\to \operatorname {CE} ({\mathfrak {g}})}
이제,
p
∈
inv
(
g
)
{\displaystyle p\in \operatorname {inv} ({\mathfrak {g}})}
의 원소는 베유 대수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속에서 항상 닫힌 원소이며, 베유 대수 의 코호몰로지 는 (정의에 따라) 자명하다. 따라서,
d
c
=
p
{\displaystyle \mathrm {d} {\mathsf {c}}=p}
가 되는
2
n
−
1
{\displaystyle 2n-1}
차 원소
c
∈
W
2
n
−
1
(
g
)
{\displaystyle {\mathsf {c}}\in \operatorname {W} ^{2n-1}({\mathfrak {g}})}
를 찾을 수 있다. 이를
p
{\displaystyle p}
의 천-사이먼스 원소 (영어 : Chern–Simons element )라고 한다.
이과 같은 구성은 임의의 L∞-대수 에 대하여 그대로 일반화된다.
리 대수 값 미분 형식의 천-사이먼스 형식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A
{\displaystyle A}
는 가환 미분 등급 대수 의 준동형
A
:
W
(
g
)
→
Ω
(
M
)
{\displaystyle {\mathsf {A}}\colon \operatorname {W} ({\mathfrak {g}})\to \operatorname {\Omega } (M)}
과 같은 데이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기저 를
(
t
i
)
i
∈
I
{\displaystyle (t_{i})_{i\in I}}
라고 하고,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의, 이에 대응하는 등급 1의 생성원을
(
t
i
)
i
∈
I
⊆
W
(
g
)
{\displaystyle (t^{i})_{i\in I}\subseteq \operatorname {W} ({\mathfrak {g}})}
라고 할 때, 미분 등급 대수 준동형
A
{\displaystyle {\mathsf {A}}}
에 대응하는 1차 미분 형식 은
A
=
t
i
A
(
t
i
)
∈
Ω
1
(
M
;
g
)
{\displaystyle A=t_{i}{\mathsf {A}}(t^{i})\in \operatorname {\Omega } ^{1}(M;{\mathfrak {g}})}
이다.
이에 따라서,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n
{\displaystyle n}
차 불변 다항식
p
{\displaystyle p}
에 대한
W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mathfrak {g}})}
속의 대수적 천-사이먼스 원소
c
∈
W
2
n
−
1
(
g
)
{\displaystyle {\mathsf {c}}\in \operatorname {W} ^{2n-1}({\mathfrak {g}})}
에 대하여, 그 상
CS
(
A
,
p
)
=
A
(
c
)
∈
Ω
2
n
−
1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CS} (A,p)={\mathsf {A}}({\mathsf {c}})\in \operatorname {\Omega } ^{2n-1}(M)}
은
M
{\displaystyle M}
위의
2
n
−
1
{\displaystyle 2n-1}
차 미분 형식 을 이룬다. 즉, 이는
d
CS
(
A
,
p
)
=
p
(
A
)
{\displaystyle \mathrm {d} \operatorname {CS} (A,p)=p(A)}
를 만족시킨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리 군
G
{\displaystyle G}
및 그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G
{\displaystyle G}
-주다발
G
↪
P
↠
M
{\displaystyle G\hookrightarrow P\twoheadrightarrow M}
P
{\displaystyle P}
위의 주접속
A
∈
Ω
1
(
P
;
g
)
{\displaystyle A\in \Omega ^{1}(P;{\mathfrak {g}})}
그렇다면,
P
{\displaystyle P}
의 주접속 의 공간은
Ω
1
(
M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Omega } ^{1}(M;{\mathfrak {g}})}
에 대한 아핀 공간 이지만, 이는 표준적인 원점을 갖지 않는다.
원점을 고르는 것은 주접속
P
{\displaystyle P}
의 임의의 자명화 및 각 자명화의 단면을 선택하는 것에 해당한다. 즉, 충분히 섬세한 열린 덮개
(
U
β
)
β
∈
B
{\displaystyle (U_{\beta })_{\beta \in B}}
및 미분 동형
U
β
×
G
→
(
P
↾
U
β
)
{\displaystyle U_{\beta }\times G\to (P\upharpoonright U_{\beta })}
들을 고르면, 주접속
A
{\displaystyle A}
는 덮개의 각 원소 위의
g
{\displaystyle {\mathfrak {g}}}
값 1차 미분 형식 들의 모임
A
↾
U
β
∈
Ω
1
(
U
;
g
)
{\displaystyle A\upharpoonright U_{\beta }\in \operatorname {\Omega } ^{1}(U;{\mathfrak {g}})}
의 데이터로 주어진다. 이에 따라, 선택한 불변 다항식
p
∈
inv
(
g
)
{\displaystyle p\in \operatorname {inv} ({\mathfrak {g}})}
에 대한 각 조각별 천-사이먼스 형식들을 정의하여 짜깁기하여
M
{\displaystyle M}
전체에 정의된 미분 형식
ω
2
n
−
1
∈
Ω
2
n
−
1
(
M
)
{\displaystyle \omega _{2n-1}\in \operatorname {\Omega } ^{2n-1}(M)}
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미분 형식은
p
{\displaystyle p}
가 게이지 불변이므로 무한소 게이지 변환(즉, 항등 함수 와 호모토픽 한 게이지 변환
∈
Aut
(
P
)
=
C
∞
(
M
,
G
)
{\displaystyle \in \operatorname {Aut} (P)={\mathcal {C}}^{\infty }(M,G)}
)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게이지 불변이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큰 게이지 변환(즉,
Aut
(
P
)
=
C
∞
(
M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ut} (P)={\mathcal {C}}^{\infty }(M,G)}
의 자명하지 않은 연결 성분 )에 대하여 불변이지 않다. 즉, 이는 일반적으로 대역적으로 잘 정의되지 않는다.
다만, 만약 (예를 들어)
M
{\displaystyle M}
이
2
n
−
1
{\displaystyle 2n-1}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라면, 그 적분
S
CS
=
∫
M
ω
2
n
−
1
∈
R
{\displaystyle S_{\operatorname {CS} }=\int _{M}\omega _{2n-1}\in \mathbb {R} }
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큰 게이지 변환의 군
π
0
(
C
∞
(
M
,
G
)
)
{\displaystyle \pi _{0}({\mathcal {C}}^{\infty }(M,G))}
은 이 값 위에 작용하게 된다. 만약
π
0
(
C
∞
(
M
,
G
)
)
{\displaystyle \pi _{0}({\mathcal {C}}^{\infty }(M,G))}
의 작용이
S
CS
↦
S
CS
+
(
Δ
S
CS
)
Z
{\displaystyle S_{\operatorname {CS} }\mapsto S_{\operatorname {CS} }+(\Delta S_{\operatorname {CS} })\mathbb {Z} }
의 꼴이라면, 이 경우
exp
(
2
π
i
S
CS
)
∈
U
(
1
)
{\displaystyle \exp(2\pi \mathrm {i} S_{\operatorname {CS} })\in \operatorname {U} (1)}
는 잘 정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이론물리학에서 천-사이먼스 이론 의 정의에 사용되며, 큰 게이지 변환의 작용은 물리학적으로 천-사이먼스 이론 의 전위(영어 : level )의 양자화로 귀결된다.
가장 자주 사용되는 천-사이먼스 형식은 다음과 같다.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유한 차원 표현
ρ
:
g
→
g
l
(
N
;
R
)
{\displaystyle \rho \colon {\mathfrak {g}}\to {\mathfrak {gl}}(N;\mathbb {R} )}
이 주어졌을 때,
p
n
(
x
i
)
=
tr
(
(
∑
i
x
i
ρ
(
t
i
)
)
n
)
{\displaystyle p_{n}(x^{i})=\operatorname {tr} \left(\left(\sum _{i}x^{i}\rho (t_{i})\right)^{n}\right)}
는 대각합 의 순환성에 의하여 항상
2
n
{\displaystyle 2n}
차 불변 다항식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2
n
−
1
{\displaystyle 2n-1}
차 천-사이먼스 형식
ω
2
n
−
1
{\displaystyle \omega _{2n-1}}
을 정의할 수 있다. 즉,
ω
2
n
−
1
=
tr
(
ρ
(
F
)
n
)
{\displaystyle \omega _{2n-1}=\operatorname {tr} (\rho (F)^{n})}
이 된다. 여기서
ρ
(
F
)
n
{\displaystyle \rho (F)^{n}}
이란
ρ
{\displaystyle \rho }
를 사용하여
t
i
A
(
δ
t
i
)
=
F
∈
Ω
2
(
M
;
g
)
{\displaystyle t_{i}{\mathsf {A}}(\delta t^{i})=F\in \operatorname {\Omega } ^{2}(M;{\mathfrak {g}})}
를 2차 미분 형식 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로 간주한 뒤, 행렬 곱셈과 미분 형식 쐐기곱 을 합성한 연산에 대한 제곱이다.
만약
g
=
u
(
n
)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u}}(n)}
일 때,
ω
1
,
ω
3
,
…
,
ω
2
n
−
1
{\displaystyle \omega _{1},\omega _{3},\dotsc ,\omega _{2n-1}}
들은
u
(
n
)
{\displaystyle {\mathfrak {u}}(n)}
의
n
{\displaystyle n}
개 불변 다항식 에 각각 대응한다. (만약
g
=
s
u
(
n
)
{\displaystyle {\mathfrak {g}}={\mathfrak {su}}(n)}
일 경우,
ω
1
=
0
{\displaystyle \omega _{1}=0}
이 된다.)
이러한 7차 이하의 천-사이먼스 형식들은 다음과 같다.
ω
1
=
tr
A
{\displaystyle \omega _{1}=\operatorname {tr} A}
ω
3
=
tr
(
F
∧
A
−
1
3
A
∧
A
∧
A
)
{\displaystyle \omega _{3}=\operatorname {tr} \left(F\wedge A-{\frac {1}{3}}A\wedge A\wedge A\right)}
ω
5
=
tr
(
F
∧
F
∧
A
−
1
2
F
∧
A
∧
A
∧
A
+
1
10
A
∧
A
∧
A
∧
A
∧
A
)
{\displaystyle \omega _{5}=\operatorname {tr} \left(F\wedge F\wedge A-{\frac {1}{2}}F\wedge A\wedge A\wedge A+{\frac {1}{10}}A\wedge A\wedge A\wedge A\wedge A\right)}
ω
7
=
tr
(
4
7
A
∧
A
∧
A
∧
A
∧
A
∧
A
∧
A
+
2
d
A
∧
A
∧
A
∧
A
∧
A
∧
A
+
8
3
d
A
∧
d
A
∧
A
∧
A
∧
A
+
4
3
d
A
∧
A
∧
d
A
∧
A
∧
A
+
d
A
∧
d
A
∧
d
A
∧
A
)
{\displaystyle \omega _{7}=\operatorname {tr} \left({\frac {4}{7}}A\wedge A\wedge A\wedge A\wedge A\wedge A\wedge A+2dA\wedge A\wedge A\wedge A\wedge A\wedge A+{\frac {8}{3}}dA\wedge dA\wedge A\wedge A\wedge A+{\frac {4}{3}}dA\wedge A\wedge dA\wedge A\wedge A+dA\wedge dA\wedge dA\wedge A\right)}
이러한 식에서,
∧
{\displaystyle \wedge }
는 사실 (리 대수의 표현 을 사용하여) 미분 형식 의 정사각 행렬 로 간주한 것들의 행렬곱이다. 즉, 리 대수의 지표는 (정사각 행렬 로 표현하여) 행렬곱을 취하고, 행렬의 각 성분인 미분 형식 은 쐐기곱 을 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꼴의 불변 다항식에 대한 천-사이먼스 형식은 다음과 같이 대수적으로 모형화될 수 있다.
하나의 등급 1의 생성원
a
{\displaystyle {\mathsf {a}}}
로 생성되는 유리수 계수 자유 미분 대수
A
=
Q
⟨
a
,
d
a
⟩
{\displaystyle {\mathcal {A}}=\mathbb {Q} \langle {\mathsf {a}},\mathrm {d} {\mathsf {a}}\rangle }
를 생각하자. 이는 등급 가환 법칙을 따르지 않지만, 미분 연산
d
{\displaystyle \mathrm {d} }
는 멱영 연산이며
a
{\displaystyle {\mathsf {a}}}
에 대한 곱셈과 등급 가환한다. 즉,
d
2
a
=
0
{\displaystyle \mathrm {d} ^{2}\mathrm {a} =0}
d
:
a
p
↦
(
d
a
)
p
−
a
(
d
p
)
∀
p
∈
A
{\displaystyle \mathrm {d} \colon {\mathsf {a}}p\mapsto (\mathrm {d} {\mathsf {a}})p-{\mathsf {a}}(\mathrm {d} p)\qquad \forall p\in A}
d
:
(
d
a
)
p
↦
(
d
a
)
(
d
p
)
∀
p
∈
A
{\displaystyle \mathrm {d} \colon (\mathrm {d} {\mathsf {a}})p\mapsto (\mathrm {d} {\mathsf {a}})(\mathrm {d} p)\qquad \forall p\in A}
이다.
이제, 다음과 같은 꼴의 항들로 생성되는 부분 벡터 공간 을 생각하자.
V
=
Span
Q
{
p
q
−
(
−
)
deg
p
deg
q
q
p
:
p
,
q
∈
A
}
⊊
A
{\displaystyle V=\operatorname {Span} _{\mathbb {Q} }\left\{pq-(-)^{\deg p\deg q}qp\colon p,q\in {\mathcal {A}}\right\}\subsetneq {\mathcal {A}}}
(이는 대각합 의 순환성에 의하여 대각합을 취하면 0이 되는 항들의 공간이며, 특히 아이디얼 이 아니다. 예를 들어,
a
2
∈
V
{\displaystyle {\mathsf {a}}^{2}\in V}
이지만
a
3
∉
V
{\displaystyle {\mathsf {a}}^{3}\not \in V}
이다.) 그렇다면, 임의의 양의 정수
k
∈
Z
+
{\displaystyle k\in \mathbb {Z} ^{+}}
에 대하여,
d
w
2
k
−
1
−
(
d
a
+
a
2
)
k
∈
V
{\displaystyle \mathrm {d} {\mathsf {w}}_{2k-1}-(\mathrm {d} {\mathsf {a}}+{\mathsf {a}}^{2})^{k}\in V}
가 되는 원소
w
2
k
−
1
∈
A
{\displaystyle {\mathsf {w}}_{2k-1}\in {\mathcal {A}}}
가 존재함을 보일 수 있으며, 그 동치류
w
2
k
−
1
+
V
∈
A
/
V
{\displaystyle {\mathsf {w}}_{2k-1}+V\in {\mathcal {A}}/V}
는 유일하다. 이것이
2
n
−
1
{\displaystyle 2n-1}
차 천-사이먼스 형식이 된다.
특히, 천-사이먼스 형식을 계산할 때,
a
2
k
∈
V
{\displaystyle {\mathsf {a}}^{2k}\in V}
이라는 사실이 자주 사용된다.
이를 통해, 처음 몇 개의 천-사이먼스 형식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편의상
f
=
d
a
+
a
2
{\displaystyle {\mathsf {f}}=\mathrm {d} {\mathsf {a}}+{\mathsf {a}}^{2}}
이며, “대각합”
tr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
은
A
/
V
{\displaystyle {\mathcal {A}}/V}
로 동치류 를 취하는 것이다.
1차 천-사이먼스 형식의 계산:
tr
(
f
)
=
tr
(
d
a
+
a
2
)
=
tr
(
d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mathsf {f}})=\operatorname {tr} (\mathrm {d} {\mathsf {a}}+{\mathsf {a}}^{2})=\operatorname {tr} (\mathrm {d} {\mathsf {a}})}
3차 천-사이먼스 형식의 계산:
tr
(
f
2
)
=
tr
(
(
d
a
+
a
2
)
(
d
a
+
a
2
)
)
=
tr
(
d
a
2
+
2
(
d
a
)
a
2
)
=
tr
(
d
(
(
d
a
)
a
)
+
2
3
a
3
)
=
tr
d
(
(
d
a
)
a
+
2
3
a
3
)
=
tr
d
(
f
a
−
1
3
a
3
)
{\displaystyle {\begin{aligned}\operatorname {tr} ({\mathsf {f}}^{2})&=\operatorname {tr} \left((\mathrm {d} {\mathsf {a}}+{\mathsf {a}}^{2})(\mathrm {d} {\mathsf {a}}+{\mathsf {a}}^{2})\right)\\&=\operatorname {tr} \left(\mathrm {d} {\mathsf {a}}^{2}+2(\mathrm {d} {\mathsf {a}}){\mathsf {a}}^{2}\right)\\&=\operatorname {tr} \left(\mathrm {d} ((\mathrm {d} {\mathsf {a}}){\mathsf {a}})+{\frac {2}{3}}{\mathsf {a}}^{3}\right)\\&=\operatorname {tr} \mathrm {d} \left((\mathrm {d} {\mathsf {a}}){\mathsf {a}}+{\frac {2}{3}}{\mathsf {a}}^{3}\right)\\&=\operatorname {tr} \mathrm {d} \left({\mathsf {f}}{\mathsf {a}}-{\frac {1}{3}}{\mathsf {a}}^{3}\right)\end{aligned}}}
↑ Chern, Shiing-Shen; Simons, James Harris (1974). “Characteristic forms and geometric invariant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99 (1): 48–69. doi:10.2307/1971013. ISSN 0003-486X. JSTOR 1971013. MR 0353327. Zbl 0283.53036
↑ Chern, Shiing-Shen ; Simons, James Harris (1974). “Characteristic forms and geometric invariants” .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99 (1): 48–69. doi :10.2307/1971013 . ISSN 0003-486X . JSTOR 1971013 . MR 0353327 . Zbl 0283.53036 .
↑ Schwartz, A. S. (1978). “The partition function of degenerate quadratic functional and Ray-Singer invariants”. 《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 (English) 2 (3): 247–252. doi:10.1007/BF00406412.
↑ Achúcarro, A.; Townsend, P. (1986). “A Chern–Simons action for three-dimensional anti-De Sitter supergravity theories”. 《Physics Letters B》 (영어) 180: 89. Bibcode:1986PhLB..180...89A. doi:10.1016/0370-2693(86)90140-1.
↑ Lopez, Ana; Eduardo Fradkin. “Fermionic Chern-Simons Field Theory for the Fractional Hall Effect” (영어). Bibcode:1997cond.mat..4055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