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에서 치환 적분(置換積分, 영어: integration by substitution)은 기존의 변수를 새 변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기법이다.
구간 와 함수 및 이 주어졌다고 하자.
- 만약 의 부정적분 가 존재하고, 가 미분 가능 함수라면, 다음이 성립한다.[1]:246, 定理6.2.1
-
- 만약 의 원함수 가 존재하고, 가 미분 가능 함수이며, 모든 에 대하여 이라면, 다음이 성립한다.[1]:252, 定理6.2.2
-
만약 가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며, 가 연속 함수라면, 다음이 성립한다.[2]:408
-
부정적분에 대한 첫 번째 명제의 조건에 따라 이며, 가 미분 가능 함수이므로, 연쇄 법칙을 적용하면 을 얻는다. 즉, 의 한 원함수는 이므로 첫 번째 명제가 성립한다.
부정적분에 대한 두 번째 명제의 조건에 따라 모든 에 대하여 이므로, 다르부 정리에 따라 모든 에 대하여 이거나 모든 에 대하여 이다. 따라서 는 존재한다. 이며,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즉, 의 한 원함수는 이므로 두 번째 명제가 성립한다.
정적분에 대한 명제의 조건에 따라 와 는 연속 함수이므로, 원함수가 존재한다. 연쇄 법칙에 따라, 의 한 원함수를 라고 하면, 의 한 원함수는 이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하므로, 명제가 성립한다.
-
치환 적분을 통해 대칭적인 함수의 대칭적인 구간 위의 적분에 대한 공식을 증명할 수 있다. 가 연속 함수라고 하자.
- 만약 가 홀함수라면 (모든 에 대하여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
- 만약 가 짝함수라면 (모든 에 대하여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만약 가 홀함수라면, 치환 적분 을 쓴 뒤 를 대입하면 다음을 얻으므로 원하는 명제가 성립한다.
-
만약 가 짝함수라면, 치환 적분 을 쓴 뒤 를 대입하면 다음을 얻으므로 원하는 명제가 성립한다.[4]:41, 例7.4.4
-
치환 적분을 통해 주기 함수의 한 주기 동안의 적분이 어디에서나 같음을 증명할 수 있다. 가 를 주기로 가지는 연속 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치환 적분 를 쓴 뒤 를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하므로, 원하는 명제가 성립한다.[4]:42-43, 例7.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