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왕건 (드라마)
대한민국 방송국 KBS1의 대하드라마. 200부작으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방영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1] 2000년 4월 1일부터 2002년 2월 24일까지 방송되었던 사극이다.[2]
태조 왕건 太祖 王建 | |
장르 | 사극 |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1TV |
방송 기간 | 2000년 4월 1일 ~ 2002년 2월 24일 |
방송 시간 | 역대 방송시간 참조 |
방송 횟수 | 200부작 |
원작 | 이환경 |
기획 | 엄기백 (KBS 드라마본부) |
책임프로듀서 | 안영동, 윤흥식 (KBS 드라마운영팀) |
프로듀서 | 정영철 |
연출 | 김종선, 강일수 |
각본 | 이환경 |
출연자 | 최수종, 김영철, 서인석 외 |
해설 | 김종성 |
외부 링크 | 공식홈페이지 |
방송 시간
편집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BS 1TV | 2000년 4월 1일 ~ 2000년 4월 30일 | 매주 주말 밤 9시 50분 ~ 10시 40분 |
2000년 5월 6일 ~ 2002년 2월 24일 | 매주 주말 밤 9시 45분 ~ 10시 35분 |
역사적 사실
편집고려는 조선과 다르게 외왕내제 체제로 운영되었다. 고려 초기에 태조 왕건은 통천관을 사용했는데, 통천관은 당시 중국 황제가 쓰던 황관이었다. 광종대부터 원종대까지 대외적으로 외왕내제 체제였다.
제작진
편집등장인물
편집주인공
편집주요 인물
편집신라 인물
편집후삼국 정립 전
편집- 이근우 : 헌안왕 역 (신라 47대)
- 이성용 : 경문왕 역 (신라 48대)
- 김진화 : 헌강왕 역 (신라 49대)
- 신용규 : 정강왕 역 (신라 50대)
- 노현희 : 진성여왕 역 (신라 51대)
- 김주영 : 김위홍 역
- 신종섭 : 김민공 역
- 김효원 : 김효종 역
- 최정원 : 문의왕후 김씨 역
- 강양화 차비 김씨 역
- 박민아 : 궁인(궁예의 생모) 역
- 국정환 : 왕실 일관 역
- 연운경 : 왕실 유모 역
- 배미자 : 김위홍의 정실 부호부인 역
- 박경득 : 김집사 역
- 김종구 : 영기 역
- 김성수 : 최치원 역
- 장인한 : 왕거인 역
- 함석훈 : 서라벌 근교 도적 마석두 역
- 김준모 : 미다부리정 군관 역
- 김원배 : 신라장군 최부장 역
- 양재성 : 금성(나주) 태수 역
- 김경하 : 무진주 도독 역
후삼국 정립 후
편집- 한근욱 : 효공왕 역 (신라 52대)
- 김건호 : 신덕왕 역 (신라 53대)
- 안형식 : 경명왕 역 (신라 54대)
- 문회원 : 경애왕 역 (신라 55대)
- 안해숙 : 정실왕후 역
- 신귀식 : 경순왕 역 (신라 56대)
- 미상 : 죽방부인
- 이병욱 : 마의태자 역... 그 외 전령(효공왕에게 대야성 전황 보고, 백제 전황 보고), 자객(양길의 수하), 순군부 부장 역
- 양형호 : 김억렴 역
- 조재훈 : 김유렴 역
- 유병준 : 김율 역
- 허현호 : 김대존 역... 그 외 백성(김위홍과 진성여왕을 비판하는 노인) 역
- 한태일 : 조부령 역... 그 외 내관(경애왕을 지키다가 부달한테 살해되는 환관) 역
- 양영준 : 박효렴 역
- 박경득 : 박연식 역
- 윤덕용 : 유염 역
- 강성욱 : 김응겸 역... 그 외 서라벌 상인(왕륭 일행을 맞는 상인) 역
후백제 관련인물
편집후백제의 왕후와 왕족
편집- 금보라 : 왕후 박씨 역
- 조민희 : 고비 역
- 전병옥 : 능애 역
- 이광기 : 신검 역 (아역 이풍운) 200회 죽음
- 이영호 : 양검 역 (아역 윤동원)
- 강인기 : 용검 역 (아역 김경호)
- 임경옥 : 국대부인(견훤의 딸, 박영규의 부인) 역
- 전현 : 금강 역 190회 죽음
- 이우석 : 종우 역
- 김준모 : 위흥 역
- 이종박 : 청구 역
후백제의 대신
편집- 정진 : 능환 역
- 전무송 : 최승우 역 190회의 죽음
- 이계인 : 애술 역
- 임진일 : 신덕 역
- 이정웅 : 공직 역
- 강재일 : 추허조 역
- 유태술 : 김총 역
- 김시원 : 능창 → 수달 역 94회의 죽음
- 임혁주 : 박영규 역
- 오성열 : 박영규의 집사 역
- 유승민 : 효봉 역
- 김명국 : 상귀 역 200회의 전사
- 박철호 : 지훤 역
- 한정국 : 최필 역 182회 전사
- 민경진 : 종훈 역
- 신국 : 영순 역
- 방형주 : 방희 역 91회 전사
- 박유승 : 진호 역 궁예 수하 장교 군사역 (18회)
- 원석연 : 도우 역
- 태민영 → 김원배 : 신강 역
- 신종섭 : 공달 역
- 신원균 : 소달 역 1회 첫 화면 비상하는 새와 마루금 화면 다음 씬 첫 장면 철원성 세작 역 - 태조왕건 오프닝 화면을 제외한 첫 장면 출연자 169회 전사
- 김천만 : 부달 역 169회 전사
- 기정수 : 파달 역
- 최용욱 : 상애 역
- 차기환 : 염흔 역, 금성 포구에서 경보를 검문하는 경비병 역
- 고희준 : 의원 훈겸 역
- 김창봉 : 왕창근 역
- 이재연 : 최승우의 집사 역
상주 세력
편집146회에서 훈겸에게 지렁이 약재를 건네는 도인 역
- 손종범 : 후백제에 투항하는 상주 호족 역
후고구려(마진,태봉) 관련인물
편집후고구려(마진,태봉)의 왕후와 왕족
편집후고구려(마진,태봉)의 대신
편집- 김갑수 : 종간 역 (내원) 120회 죽음
- 박상조 : 은부 역 (내군장군) 120회 죽음
- 최운교 : 금대 역 (내군부장)(후삼국 정립 전 금성태수 비장) 120회 죽음
- 김인태 : 아지태 역 102회 죽음
- 오성열 : 입전 역 (그 외 양길의 사자, 박영규의 집사)
- 김명국 : 선장 역
- 이한위 : 진선 역 중반으로 왕충으로 바뀜
- 이도련 : 능달 역 108회 죽음
- 진운성 : 종회 역
- 맹호림 : 도인 설부 역 74회
- 백인철 : 환선길 역
- 이원발 : 환향식 역 (환선길의 아우)
- 이제신 : 부인 이씨 역 환선길 부인
- 최주봉 : 이흔암 역 (환선길의 처남)
- 조재훈 : 임춘길 역
- 하대경 : 왕실 내관 역
- 김희진 : 왕실 궁인 역
- 강태기 : 지리산 도인 역 금산사 주지스님 역
- 윤덕용 : 백락 역 (궁예의 장인가문)
- 김성옥 : 강장자 역 108회죽음
- 박주아 : 백씨부인 역 110회죽음
- 김진오 : 신하 역
군벌 시절 관련인물
편집- 철원 세력
- 송영창 : 철원 성주 역 (1회,22회)
- 이계영 : 철원성 부장 역
- 송금식 : 철원성 부장 역 (1회,22회)
- 신원균 : 철원성 전령 역 -오프닝 제외 1회 첫 화면 등장 인물
- 유종근 : 철원성 밖 방어진장 역 (1회,22회)
- 북원(원주) 세력
- 죽주(안성) 세력
고려 관련인물
편집고려의 왕후와 왕족
편집- 박상아 : 신혜왕후 유씨 역
- 염정아 : 장화왕후 오씨역
- 전미선 : 신명순성왕후 유씨역
- 안정훈 : 왕무 역 (고려 제2대 고려 혜종)
- 정국진 : 왕식렴 역
- 김광영 : 왕신 역 153회에서 죽음
- 아역
고려의 대신
편집- 강인덕 : 유금필 역
- 송용태 : 홍술 → 홍유 역
- 신동훈 : 백옥삼 → 배현경 역
- 김형일 : 능산 → 신숭겸 역 161회에서 전사함
- 길용우 : 복사귀 → 복지겸 역
- 김학철 : 박술희 역
- 심우창 : 염상 역
- 최성준 : 이능희 역
- 김하균 : 태평 역 (79회 부터 등장)
- 박지영 : 최지몽 역
- 정태우 : 최응 역
- 최영균 : 서필 역
- 이한위 : 왕충 역
- 김진태 : 박유 역
- 공호석 : 장일 역 (내군부장) 131회에서 전사함
- 김태형 : 신방 역 159회에서 전사
- 민지환 : 김행선 역
- 장순국 : 장수장 역 왕건의집사 무의사부 142회때 전사함
- 김기복 : 김락 역 161회에서전사
- 이계영 : 윤신달 역 79회에서 합류
- 강만희 : 전이갑 역 79회에서 합류하다가 161회에서 공산전투에서 애술장군하고 전사함 전의갑동생
- 권혁호 : 전의갑 역 79회에서 등장 전이갑의형 161회에서 전사
- 조인표 : 김언 역 160회에서 전사
- 김경하 : 추언규 역
- 장기용 : 이치 역
- 김진국 : 김견술 역
- 정하완 : 왕함윤 역
- 박승규 : 원극유 역
- 김봉근 : 박질 역
- 김옥만 : 검식 역 78회~130회 등장
- 오성열 : 입전 역
- 함석훈 : 윤선 역
- 조병기 : 시량 의원 역
- 유재량 : 천부장 역
- 이원종 : 고려 전의 역
- 함석훈 : 예성강 포구 경비대장 역
- 이철민 : 예성강 포구 경비병 역
- 최상길 : 박술희가 보낸 전령 역, 예성강 포구 경비부장역
- 이용진 : 낭떠러지에 떨어진 왕건을 구하는 사내 역, 송악 도성 수비대장 역
- 이승찬 : 송악 도성 수비병 역
우산국 관련인물
편집발해 관련인물
편집흑수말갈 관련인물
편집그 외 인물
편집- 벽진(성주) 호족
(특별출연)
- 광주 호족
- 평주(평산) 호족
- 정주(개풍) 호족
- 금성(나주) 호족
- 충주 호족
- 조물성(성주) 호족
- 고창(안동) 호족
- 북미질부성(영덕) 호족
송악 호족 시절 관련인물
편집승려
편집- 안대용 : 범교 역
- 이대로 : 도선 역
- 서영진 : 경보 역
- 신충식 : 석총 역
- 박병호 : 형미 역
- 곽경환 : 허월 역
- 한태일 : 옥룡사 주지 역
- 강태기 : 금산사 주지 역
- 신용규 : 옥룡사 승려 역
- 조병곤 : 금산사 승려 역
무당
편집17화 용왕제 주관 무당
캐스팅에 관해
편집- 최수종(왕건 역) 자리에는 당초 유동근과 유인촌이 물망에 올랐으며, 우여곡절 끝에 최수종으로 결정되었다.[3][4]
- 김혜리(강비 역)는 같은 방송사 TV 소설 <당신> 이후 해당 작품을 통해 안방극장 복귀를 하였는데[5][6] 김혜리가 분한 강비 역에는 강수연, 이영애, 김지수, 이태란, 김혜선, 김혜수 등이 거론되었다.[7] 김혜리의 캐스팅은 방송 한 달 전에야 결정되었다.[8]
- 태조 왕건에 출연한 배우 상당수가 야인시대에도 출연했다.
- 김영철: 태조 왕건 - 궁예, 야인시대 - 중년 김두한
- 전미선: 태조 왕건 - 신명순성왕후 유씨, 야인시대 - 김두한의 생모
- 손호균: 태조 왕건 - 원회, 야인시대 - 상하이박 / 이석재
- 박승호: 태조 왕건 - 신훤, 야인시대 - 미우라
- 전무송: 태조 왕건 - 최승우, 야인시대 - 사이토 마코토
- 손종범: 태조 왕건 - 호족 / 의원, 야인시대 - 나석주
- 이대로: 태조 왕건 - 도선대사, 야인시대 - 염동진
- 김학철: 태조 왕건 - 박술희, 야인시대 - 조병옥
- 임혁주: 태조 왕건 - 박영규, 야인시대 - 장택상
- 문회원: 태조 왕건 - 경애왕, 야인시대 - 김규식
- 김윤형: 태조 왕건 - 기훤, 야인시대 - 여운형
- 송금식: 태조 왕건 - 대야성 장군, 야인시대 - 김후옥
- 나한일: 태조 왕건 - 변사부, 야인시대 - 금강
- 함석훈: 태조 왕건 - 윤선 / 도적 마석두 / 예성강 포구 경비대장, 야인시대 - 황병관
- 오성열: 태조 왕건 - 입전 / 박영규 집사 / 양길 전령, 야인시대 - 김상도
- 기정수 : 파달 역 야인시대 - 단게 이쿠다로
참고 사항
편집- 1999년 11월 10일에 문경세트 고려궁 상량식을 개최하였고, 드라마는 상량식 이후 약 2년만인 2002년 2월 24일에 종영하였다.
- 원래 2000년 1월 1일 첫 방영 예정이었으며 작가 이환경의 전작 용의 눈물 담당 PD였던 김재형이 연출자로 낙점됐다. 그러나 김재형이 수뢰 혐의로 연출에서 손을 떼자[9] KBS는 <왕과 비>를 2000년 3월까지 연장하고 이 과정에서 <왕과 비>는 담당 PD 김종선이 <태조 왕건> 연출자로 발령되어 하차하는 대신 윤용훈-윤창범 공동연출로 변경됐다.[10]
- 김혜리가 맡았던 강비 역은 당초 강수연, 김혜수, 김지수, 이태란 등이 거론되었으나[11] 이런저런 사정으로 고사하자 김혜리를 간신히 캐스팅했지만 <용의 눈물>, <왕과 비>에 이어 연달아 투입시켰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 2001년 12월 열린 제 14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의 영예를 안았는데[12] 역대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수상작 중 유일한 사극이었으나 SBS <녹두꽃>이 2019년 12월 열린 제 32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아[13] 역대 두 번째 사극 수상작이 됐다.
- 한편, 당초 2001년 12월 말 끝낼 계획이었지만 후속작으로 기획된 <제국의 아침>의 주연급 연기자 캐스팅 문제로 인해 2002년 2월 막을 내렸다.[14]
- 금강이 화살에 박힌 눈알을 뽑아서 삼켜먹는 장면을 내보내 방송위원회로부터 경고를 받았다.[15]
- 2001년 9월 29일과 같은 달 30일 방송분에서는 견훤의 포석정 습격 장면 등을 내보냈는데 이 과정에서 지나치게 역사를 왜곡시켰다는 지적이 있었다.[16]
- 한국 녹차의 효시를 보성군인 것처럼 표현한 극중 대사 문제로 하동군의 한 주민으로부터 정정보도와 손배소를 당하기도 했다.[17]
- 태조 왕건과 야인시대는 동일한 인물들이 제작했다. 극본 역시 둘 다 이환경으로 동일인물이다.
- 궁예의 외모가 애꾸눈에 대머리라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더군다나 이런 궁예의 외모는 스트리트 파이터라는 비디오 게임에 등장하는 사가트와 외모가 유사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이환경 작가 특유의 삼국지 인용 묘사 부분이 굉장히 많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훈적인 부분도 많았다.특히 왕건이 태평과 충주에서 처음 조우하는 장면에선 [태평이 장군들 작전 회의 도중 회의 장소인 막사 안에 침입하여 의견 개진을 할 때 유금필등 주변 장수들에게 "군졸따위가 어찌 자기 본분과 직분을 망각하고 장수들 작전하는 곳에 끼어들려하느냐? 목이 라도 잘리고 싶어서 그런 행동을 하냐"는 추궁을 받는 부분]에서 왕건이 나서서 넓은 아량과 포용 정신을 발휘하여 태평의 식견과 지략을 알아보고 그를 책사로 발탁하게 되는 과정과 모습은 요즘 우리 인간들의 행태(아랫 사람이나 타인의 말과 건의를 경시하는 좋지 못한 태도)와 비교하여 큰 교훈을 주고 있다.
수상 경력
편집각주
편집- ↑ `암흑시대' 고려사 복원 활발 연합뉴스 1999년 1월 29일
- ↑ 이건 기자 (2001년 5월 21일). “(태조 왕건) 궁예죽는 날 시청률 60.4% 기록”. 한국일보.
- ↑ 정열 (1999년 8월 27일). “최수종씨, KBS 밀레니엄 사극 '왕건'역 선정”. 조선일보(연합뉴스).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김기철 (1999년 9월 30일). “[KBS] ‘왕건’역에 최수종… "차별성 높이 샀다"”. 조선일보. 201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호일 (2000년 3월 2일). “[방송.연예] `태조 왕건` 강비역에 김혜리 선정”. 부산일보.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김기철 (2000년 3월 23일). “서구이미지 벗고 '강비'로 飛上”. 한국일보. 201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이승헌 (2000년 3월 1일). “[연예가 소식]김혜리 '태조 왕건' 강비역 캐스팅”. 동아일보.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배국남 (2000년 3월 21일). “[TV읽기] 황당무계하게 막 내린 KBS주말극 '사랑하세요'”. 한국일보. 2018년 11월 29일에 확인함.
- ↑ 김기철 (1999년 8월 6일). “[김재형 PD] `왕건 연출 도중하차”. 조선일보. 2018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정재연 (1999년 8월 25일). “KBS 드라마 ‘왕과 비’ 연장 방송”. 조선일보. 2016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이승헌 (2000년 3월 1일). “[연예가 소식]김혜리 '태조 왕건' 강비역 캐스팅”. 동아일보. 2016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방송가] ‘강변가요제’ 내년부터 폐지”. 조선일보. 2001년 12월 10일. 2016년 11월 15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양소영 (2019년 12월 11일). “한국방송작가상 오늘(11일) 개최, 작가들이 뽑은 `녹두꽃`[MK이슈]”. 매일경제. 2019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이영희 (2001년 11월 29일). “KBS 1TV ‘제국의 아침’ 광종役등 캐스팅 난항…제작 지연”. 문화일보. 2016년 3월 10일에 왕건 KBS 연장 원본 문서
|url=
값 확인 필요 (도움말)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22일에 확인함. - ↑ 김선미 (2001년 11월 12일). “‘조폭신드롬’ 안방까지 흔들어”. 문화일보.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김현수 (2001년 10월 6일). “'드라마 '왕건' 경애·경순왕 모독'”. 부산일보.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진영원 (2001년 10월 11일). “[TV보기]‘왕건’ 인기높아 구설수도 잦나.”. 경남도민일보.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KBS 태조 왕건 - 공식 웹사이트
- 태조왕건 유튜브 채널 - 풀영상(멤버십 전용)
- 태조왕건 837일간 기록
- KBS 역사스페셜 왕건 코리아 - 유튜브 2000-03-25
KBS 대하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대상》 | ||
2001년 | 2002년 태조 왕건 |
2003년 |
김수현 | 올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