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위상수학 에서 연결 공간 (連結空間, 영어 : connected space )은 공집합 이 아닌 두 열린집합 으로 쪼갤 수 없는 위상 공간 이다.
A
{\displaystyle A}
는 유클리드 평면의 연결 부분 공간이며,
B
{\displaystyle B}
는 비연결 부분 공간이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연결 공간 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의 두 열린집합
U
,
V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에 대하여,
U
∪
V
=
X
{\displaystyle U\cup V=X}
이며
U
∩
V
=
∅
{\displaystyle U\cap V=\varnothing }
이라면,
U
{\displaystyle U}
와
V
{\displaystyle V}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공집합 이다.
X
{\displaystyle X}
의 두 닫힌집합
E
,
F
⊆
X
{\displaystyle E,F\subseteq X}
에 대하여,
E
∪
F
=
X
{\displaystyle E\cup F=X}
이며
E
∩
F
=
∅
{\displaystyle E\cap F=\varnothing }
이라면,
E
{\displaystyle E}
와
F
{\displaystyle F}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공집합 이다. (이는 열린집합 의 여집합 이 닫힌집합 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만약
X
=
X
1
∪
X
2
{\displaystyle X=X_{1}\cup X_{2}}
이며
X
1
∩
cl
(
X
2
)
=
cl
(
X
1
)
∩
X
2
=
∅
{\displaystyle X_{1}\cap \operatorname {cl} (X_{2})=\operatorname {cl} (X_{1})\cap X_{2}=\varnothing }
이라면,
X
1
{\displaystyle X_{1}}
과
X
2
{\displaystyle X_{2}}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공집합 이다.
X
{\displaystyle X}
의 열린닫힌집합 (=경계 가 공집합인 부분 집합)은 정확히 두 개가 있다. (이는
X
{\displaystyle X}
와
∅
{\displaystyle \varnothing }
이다.)
공집합 이 아니며, 모든 연속 함수
X
→
{
0
,
1
}
{\displaystyle X\to \{0,1\}}
은 상수 함수 이다. 여기서
{
0
,
1
}
{\displaystyle \{0,1\}}
은 두 개의 점을 갖는 이산 공간 이다.
연결 공간이 아닌 공간을 비연결 공간 (非連結空間, 영어 : disconnected space )이라고 한다.
임의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그 연결 부분 공간들의 집합은 포함 관계에 따라서 부분 순서 집합 을 이룬다. 또한, 주어진 점
x
0
∈
X
{\displaystyle x_{0}\in X}
을 포함하는 모든 연결 부분 공간들의 부분 순서 집합은 최대 원소 를 가지며, 이를
x
0
{\displaystyle x_{0}}
의 연결 성분 (連結成分, 영어 : connected component )이라 한다. 각 연결 성분들은 서로소 이며,
X
{\displaystyle X}
는 그 연결 성분들의 서로소 합집합 이다.
연결 성분은 항상 닫힌집합 이지만, 열린집합 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실수 에 하극한 위상 이 주어졌을때, 연결성분은 한원소 집합이다. 이는 닫힌집합일 뿐이다
위 유클리드 평면의 부분 공간에 포함된 임의의 두 점을 경로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이는 경로 연결 공간이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임의의 두 점
x
,
y
∈
X
{\displaystyle x,y\in X}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f
:
[
0
,
1
]
→
X
{\displaystyle f\colon [0,1]\to X}
가 존재할 경우,
X
{\displaystyle X}
를 경로 연결 공간 (經路連結空間, 영어 : path-connected space )이라 한다.
f
(
0
)
=
x
{\displaystyle f(0)=x}
이며
f
(
1
)
=
y
{\displaystyle f(1)=y}
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사이의 경로 라고 한다.
두 점 사이를 잇는 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X
{\displaystyle X}
위의 동치 관계 를 정의한다. 이 동치 관계의 동치류 는 부분 공간 위상 아래 경로 연결 공간을 이루며, 이를 경로 연결 성분 (經路連結成分, 영어 : path-connected component )이라고 한다. 경로 연결 성분은 일반적으로 연결 성분보다 더 작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점
x
,
y
∈
X
{\displaystyle x,y\in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연속 함수
f
:
[
0
,
1
]
→
X
{\displaystyle f\colon [0,1]\to X}
가 존재할 경우,
X
{\displaystyle X}
를 호 연결 공간 (弧連結空間, 영어 : arc-connected space )이라 한다.
f
(
0
)
=
x
{\displaystyle f(0)=x}
이며
f
(
1
)
=
y
{\displaystyle f(1)=y}
이다.
f
{\displaystyle f}
는 매장 이다. 즉,
f
{\displaystyle f}
는
[
0
,
1
]
{\displaystyle [0,1]}
과
f
(
[
0
,
1
]
)
⊂
X
{\displaystyle f([0,1])\subset X}
사이의 위상 동형 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x
{\displaystyle x}
와
y
{\displaystyle y}
사이의 호 (弧, 영어 : arc )라고 한다.
연결성 · 경로 연결성 · 호 연결성이 동치일 조건
편집
모든 경로 연결 공간은 연결 공간이며, 모든 호 연결 공간은 경로 연결 공간이다. 즉,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호 연결 공간 ⊊ 경로 연결 공간 ⊊ 연결 공간 ⊊ 위상 공간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이 서로 동치 이다.
X
{\displaystyle X}
는 경로 연결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호 연결 공간이다.
그러나 호 연결 공간이 아닌 경로 연결 T1 공간 이 존재한다.
유한 개의 점을 갖는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경우 다음이 서로 동치이다.
X
{\displaystyle X}
는 연결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경로 연결 공간이다.
(두 개 이상의 점을 갖는 유한 위상 공간은 절대로 호 연결 공간일 수 없다.)
국소 경로 연결 공간
X
{\displaystyle X}
의 경우, 다음이 서로 동치이다.
X
{\displaystyle X}
는 연결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경로 연결 공간이다.
국소 콤팩트 국소 연결 거리화 가능 공간
X
{\displaystyle X}
의 경우, 다음이 서로 동치이다.[ 1] :327
X
{\displaystyle X}
는 연결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경로 연결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는 호 연결 공간이다.
특히, 유클리드 공간 의 열린집합 은 국소 콤팩트 국소 연결 거리화 가능 공간 이므로, 이 경우 세 조건이 일치한다.
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사이의 연속 함수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연결 공간이라면
f
{\displaystyle f}
의 상
f
(
X
)
{\displaystyle f(X)}
또한 연결 공간이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경로 연결 공간이라면
f
{\displaystyle f}
의 상
f
(
X
)
{\displaystyle f(X)}
또한 경로 연결 공간이다.
연결 거리화 가능 공간
X
{\displaystyle X}
의 크기 는 1 이하이거나
2
ℵ
0
{\displaystyle 2^{\aleph _{0}}}
이상이다.
|
X
|
=
0
∨
|
X
|
=
1
∨
|
X
|
≥
2
ℵ
0
{\displaystyle |X|=0\lor |X|=1\lor |X|\geq 2^{\aleph _{0}}}
연결 거리 공간
(
X
,
d
)
{\displaystyle (X,d)}
가 서로 다른 두 점
x
,
y
∈
X
{\displaystyle x,y\in X}
를 갖는다고 하자. 함수
f
:
z
↦
d
(
x
,
z
)
{\displaystyle f\colon z\mapsto d(x,z)}
는 연속 함수
X
→
[
0
,
∞
)
{\displaystyle X\to [0,\infty )}
이며, 따라서 그 상
f
(
X
)
{\displaystyle f(X)}
은 구간 이다.
0
,
d
(
x
,
y
)
∈
f
(
X
)
{\displaystyle 0,d(x,y)\in f(X)}
이므로
(
0
,
d
(
x
,
y
)
)
⊆
f
(
X
)
{\displaystyle (0,d(x,y))\subseteq f(X)}
이다. 따라서,
2
ℵ
0
=
|
f
(
X
)
|
≤
|
X
|
{\displaystyle 2^{\aleph _{0}}=|f(X)|\leq |X|}
이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부분 집합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을 생각하자.
Y
{\displaystyle Y}
는 연결 공간이다.
X
{\displaystyle X}
의 두 열린집합
U
,
V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에 대하여,
Y
⊆
U
∪
V
{\displaystyle Y\subseteq U\cup V}
이며
U
∩
V
∩
Y
=
∅
{\displaystyle U\cap V\cap Y=\varnothing }
이라면,
U
∩
Y
{\displaystyle U\cap Y}
와
V
∩
Y
{\displaystyle V\cap Y}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공집합 이다.
X
{\displaystyle X}
의 두 열린집합
U
,
V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에 대하여,
Y
⊆
U
∪
V
{\displaystyle Y\subseteq U\cup V}
이며
U
∩
V
=
∅
{\displaystyle U\cap V=\varnothing }
이라면,
U
∩
Y
{\displaystyle U\cap Y}
와
V
∩
Y
{\displaystyle V\cap Y}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공집합 이다.
연결 공간과 부분공간 위상 의 정의에 따라, 첫 번째 조건과 두 번째 조건은 서로 동치 이다. 이 조건은 자명하게 세 번째 조건을 함의하지만, 세 번째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이 연결 공간일 필요는 없다.
X
{\displaystyle X}
가 거리화 가능 공간 인 경우, 위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2] :72, Exercise 3.2.6
임의의 연결 집합은 자명하게 세 번째 조건을 만족시킨다. 이제, 거리 공간
(
X
,
d
)
{\displaystyle (X,d)}
의 비연결 집합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Y
⊆
E
∪
F
{\displaystyle Y\subseteq E\cup F}
E
∩
F
∩
Y
=
∅
{\displaystyle E\cap F\cap Y=\varnothing }
E
∩
Y
≠
∅
{\displaystyle E\cap Y\neq \varnothing }
F
∩
Y
≠
∅
{\displaystyle F\cap Y\neq \varnothing }
인 두 닫힌집합
E
,
F
⊆
X
{\displaystyle E,F\subseteq X}
이 존재한다. 이제
U
=
{
x
∈
X
:
d
(
x
,
E
∩
Y
)
<
d
(
x
,
F
∩
Y
)
}
{\displaystyle U=\{x\in X\colon d(x,E\cap Y)<d(x,F\cap Y)\}}
V
=
{
x
∈
X
:
d
(
x
,
E
∩
Y
)
>
d
(
x
,
F
∩
Y
)
}
{\displaystyle V=\{x\in X\colon d(x,E\cap Y)>d(x,F\cap Y)\}}
라고 하자. 그렇다면,
U
,
V
⊆
X
{\displaystyle U,V\subseteq X}
는 열린집합 이며,
U
∩
V
=
∅
{\displaystyle U\cap V=\varnothing }
이다. 만약
x
∈
E
∩
Y
{\displaystyle x\in E\cap Y}
,
y
∈
F
∩
Y
{\displaystyle y\in F\cap Y}
라면,
d
(
x
,
E
∩
Y
)
=
0
<
d
(
x
,
F
)
≤
d
(
x
,
F
∩
Y
)
{\displaystyle d(x,E\cap Y)=0<d(x,F)\leq d(x,F\cap Y)}
d
(
y
,
F
∩
Y
)
=
0
<
d
(
y
,
E
)
≤
d
(
y
,
E
∩
Y
)
{\displaystyle d(y,F\cap Y)=0<d(y,E)\leq d(y,E\cap Y)}
이다. 즉,
x
∈
U
{\displaystyle x\in U}
,
y
∈
V
{\displaystyle y\in V}
이다. 따라서,
∅
≠
E
∩
Y
⊆
U
∩
Y
{\displaystyle \varnothing \neq E\cap Y\subseteq U\cap Y}
∅
≠
F
∩
Y
⊆
V
∩
Y
{\displaystyle \varnothing \neq F\cap Y\subseteq V\cap Y}
Y
=
(
E
∩
Y
)
∪
(
F
∩
Y
)
⊆
U
∪
V
{\displaystyle Y=(E\cap Y)\cup (F\cap Y)\subseteq U\cup V}
이다.
연결 공간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공집합 은 자명하게 연결 공간이며, 또한 경로 연결 공간이자 호 연결 공간이다.
한원소 공간
{
∙
}
{\displaystyle \{\bullet \}}
역시 자명하게 (경로/호) 연결 공간이다.
실직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은 연결 공간이다.
연결 위상체 에 대한 모든 위상 벡터 공간 은 연결 공간이다. 특히, 모든 유클리드 공간 은 연결 공간이다.
이산 값매김환 의 스펙트럼 은 두 개의 점을 갖는 위상 공간
{
0
,
1
}
{\displaystyle \{0,1\}}
이며, 그 기저 는
{
{
1
}
,
{
0
,
1
}
}
{\displaystyle \{\{1\},\{0,1\}\}}
이다. 이는 연결 공간이다.
비연결 공간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유리수 의 집합
Q
{\displaystyle \mathbb {Q} }
, 무리수 의 집합
R
∖
Q
{\displaystyle \mathbb {R} \setminus \mathbb {Q} }
, 및 (순서 위상 을 부여한) 초실수 의 집합
∗
R
{\displaystyle {}^{*}\mathbb {R} }
는 연결 공간이 아니며, 완전 분리 공간 이다.
크기 가 2 이상인 이산 공간 은 연결 공간이 아니며, 완전 분리 공간 이다.
일반선형군
GL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n;\mathbb {R} )}
은 두 개의 연결 성분을 가진다. 이들은 각각 행렬식 이 양수·음수인 가역 행렬 들로 구성된다.
모든 크기의 비이산 공간 은 경로 연결 공간이지만, 크기가 2 이상인 비이산 공간은 호 연결 공간이 아니다.
긴 직선 L*나 위상수학자의 사인 곡선 은 연결 공간이지만 경로 연결 공간이 아니다.
크기가
2
≤
|
X
|
<
2
ℵ
0
{\displaystyle 2\leq |X|<2^{\aleph _{0}}}
인 경로 연결 공간
X
{\displaystyle X}
는 호 연결 공간일 수 없다. 적어도 두 개의 점을 가지려면, 두 점 사이의 호가 존재하여야 하는데, 호는
2
ℵ
0
{\displaystyle 2^{\aleph _{0}}}
개의 점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산 집합 에 비이산 위상 을 주면, 이는 경로 연결 공간이지만 호 연결 공간이 아니다.
경로 연결 공간이지만 호 연결 공간이 아닌 T1 공간 의 예로, 전순서 집합
[
0
,
∞
)
{\displaystyle [0,\infty )}
에 원소
0
′
{\displaystyle 0'}
을 다음과 같이 추가하여 부분 순서 집합 으로 만들자.
0
′
<
a
∀
a
∈
(
0
,
∞
)
{\displaystyle 0'<a\quad \forall a\in (0,\infty )}
0
′
≮
0
,
0
′
≯
0
{\displaystyle 0'\not <0,\quad 0'\not >0}
여기에 순서 위상 을 준 공간은 T1 공간 이며 경로 연결 공간이지만,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 아니며 호 연결 공간도 아니다. 이는
0
{\displaystyle 0}
과
0
′
{\displaystyle 0'}
사이에 경로가 존재하지만, 호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단위원을 갖는) 가환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다음이 서로 동치 이다.
R
{\displaystyle R}
의 스펙트럼
Spec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
는 연결 공간이다.
R
{\displaystyle R}
의 모든 유한 생성 사영 가군 은 상수 계수(영어 : rank )를 갖는다.
모든
r
∈
R
{\displaystyle r\in R}
에 대하여, 만약
r
2
=
r
{\displaystyle r^{2}=r}
라면,
r
=
0
{\displaystyle r=0}
이거나
r
=
1
{\displaystyle r=1}
이다.
만약
R
≅
R
1
×
R
2
{\displaystyle R\cong R_{1}\times R_{2}}
인 가환환
R
1
{\displaystyle R_{1}}
,
R
2
{\displaystyle R_{2}}
가 존재한다면,
R
1
{\displaystyle R_{1}}
또는
R
2
{\displaystyle R_{2}}
는 자명환 이다.
이 부분의 본문은
구간 입니다.
실직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부분 집합
S
⊂
R
{\displaystyle S\subset \mathbb {R} }
의 경우 다음이 서로 동치이다.
S
{\displaystyle S}
는 연결 공간이다.
S
{\displaystyle S}
는 경로 연결 공간이다.
S
{\displaystyle S}
는 호 연결 공간이다.
S
{\displaystyle S}
는 구간 이다. 즉,
a
≤
b
{\displaystyle a\leq b}
이며
S
∈
{
[
a
,
b
]
,
(
a
,
b
]
,
[
a
,
b
)
,
(
a
,
b
)
}
{\displaystyle S\in \{[a,b],(a,b],[a,b),(a,b)\}}
인
a
,
b
∈
[
−
∞
,
∞
]
{\displaystyle a,b\in [-\infty ,\infty ]}
가 존재한다. (공집합 은
a
>
b
{\displaystyle a>b}
인 구간으로 간주한다.)
연결 공간은 대역적인 개념이다. 만약 연결 공간의 개념을 국소화한다면 (즉, 모든 점의 연결 공간인 근방 들이 국소 기저 를 이룬다면), 국소 연결 공간 의 개념을 얻는다.
연결 공간은 또한 0차 베티 수 가 1인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 조건을 1차 베티 수에도 적용시키면 단일 연결 공간 의 개념을 얻으며, 보다 일반적으로 모든 호모토피 불변량이 자명하다면 축약 가능 공간 의 개념을 얻는다.
연결 공간의 조건에서, 열린집합 을 닫힌집합 으로 바꾸고, 서로소인 조건을 없애면 기약 공간 의 개념을 얻는다. 이는 매우 강한 조건으로서,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조건과 호환되지 않는다.
↑ Cullen, Helen Frances (1968). 《Introduction to general topology》 (영어). Heath and Company. Zbl 0164.23301 .
↑ Brown, Ronald (2006). 《Topology and groupoids. A geometric account of general topology, homotopy types and the fundamental groupoid》 (영어) 3차 개정 증보판. ISBN 1-4196-2722-8 . Zbl 1093.55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