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코호몰로지
군론에서 군 코호몰로지(群cohomology, 영어: group cohomology)와 군 호몰로지(群homology, 영어: group homology)는 군 위에 정의되는 코호몰로지 · 호몰로지 이론이다.[1][2][3]
정의
편집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의 계수 차 군 호몰로지 및 의 계수 차 군 코호몰로지 는 각각 아벨 군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로 정의될 수 있지만, 이 정의들은 서로 동치이다.
- 군 코호몰로지와 군 호몰로지는 각각 불변량 함자의 왼쪽 유도 함자 및 쌍대 불변량 함자의 오른쪽 유도 함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 군 코호몰로지와 군 호몰로지는 각각 특별한 Ext 함자 및 Tor 함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 군 (코)호몰로지는 구체적인 (공)사슬 복합체의 (코)호몰로지로서 정의될 수 있다.
유도 함자를 통한 정의
편집군 코호몰로지는 불변량 함자의 왼쪽 유도 함자로, 군 호몰로지는 쌍대 불변량 함자의 오른쪽 유도 함자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의 왼쪽 가군들의 범주 는 단사 대상을 충분히 가지는 아벨 범주이다.
다음과 같은 함자를 정의하자.
즉, 이는 가군을 그 불변량으로 구성된 아벨 군으로 대응시킨다.
는 왼쪽 완전 함자이다. 그 번째 오른쪽 유도 함자를 의 차 군 코호몰로지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함자를 정의하자.
여기서
이다. 즉, 는 의 쌍대 불변량(영어: coinvariant)으로 구성된다.
는 오른쪽 완전 함자이다. 그 번째 왼쪽 유도 함자를 의 차 군 호몰로지라고 한다.
Ext와 Tor를 통한 정의
편집군 코호몰로지는 군환에 대한 Ext 함자의 특별한 경우이며, 군 호몰로지는 군환에 대한 Tor 함자의 특별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군 및 -왼쪽 가군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를 자명한 -왼쪽 가군으로 여길 수 있다. (즉,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다.) 그렇다면, -왼쪽 가군의 범주 에서 Ext 함자를 취할 수 있다. 의 계수의 군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은 Ext 함자이다.
마찬가지로, 를 자명한 -오른쪽 가군으로 여길 수 있다. (즉,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다.) 그렇다면, 오른쪽 가군 와 왼쪽 가군 사이의 Tor 함자를 취할 수 있다. 의 계수의 군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은 Tor 함자이다.
군 코호몰로지의 구체적 정의
편집가 군이고 이 -가군이라고 하자.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차 공사슬(共사슬, 영어: cochain)을 함수로 정의하고, 차 공사슬의 집합을 으로 쓰자. 이는 덧셈에 대하여 아벨 군을 이룬다. (여기서 은 군의 직접곱 이다.)
공경계 준동형(共境界準同形, 영어: coboundary homomorphism)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이렇게 정의하면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은 공사슬 복합체를 이루며, 이에 따라
과 같이 코호몰로지 군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계수를 가진 의 차 군 코호몰로지라고 한다.
군 호몰로지의 구체적 정의
편집양의 정수 에 대하여, 차 사슬(영어: cochain)의 집합은 이다.
그 사이에 다음과 같은 경계 준동형(境界準同形, 영어: boundary homomorphism)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사슬 복합체를 얻는다.
을 계수를 가진 의 차 군 호몰로지라고 한다.
구체적 정의의 유도
편집구체적 정의는 Ext · Tor를 사용한 정의로부터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우선, 아벨 군의 아벨 범주 에서, -결합 대수 (즉, 환) 의 왼쪽 가군 및 오른쪽 가군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물론
이다. 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막대 복합체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는 의 분해를 이룬다.
막대 복합체의 모든 성분들은 -사영 가군이므로, 막대 복합체 는 의 사영 분해를 정의한다. 이에 따라서, Ext 함자 은 다음과 같은 공사슬 복합체의 코호몰로지로 얻어진다.
그런데 은 -자유 가군이므로,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전단사 함수가 존재한다.
여기서 은 모든 함수 의 집합이며, 이는 군 코호몰로지를 정의하는 차 공사슬의 집합과 같다.
마찬가지로, Tor 함자 은 의 사영 분해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사슬 복합체
의 호몰로지로 계산된다.
그런데
이다. 이는 군 호몰로지를 정의하는 차 사슬의 집합과 같다.
성질
편집낮은 차수의 군 (코)호몰로지
편집군 코호몰로지의 공사슬 복합체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군 호몰로지의 사슬 복합체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이에 따라, 낮은 차수의 군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마지막 열은 의 위의 작용이 자명할 경우에 대한 특별한 해석이다.)
공사슬 종류 | 기호 | 해석 | 자명한 작용일 경우의 해석 |
---|---|---|---|
0차 완전 공사슬 | |||
0차 닫힌 사슬 | 임의의 원소 | ||
0차 닫힌 공사슬 | 불변량: 가운데, 임의의 에 대하여 인 것 | 임의의 원소 | |
0차 완전 사슬 | |||
1차 닫힌 공사슬 | 교차 준동형(영어: crossed homomorphism): 함수 가운데, 인 것 | 군 준동형 | |
1차 완전 공사슬 | 주 교차 준동형(영어: principal crossed homomorphism, 에 대하여, 꼴의 교차 준동형)들의 선형 결합 | 상수 함수 | |
1차 닫힌 사슬 | 선형 결합 가운데, 인 것 | 선형 결합 | |
1차 완전 사슬 | 꼴의 선형 결합들의 합 ( ) | 의 원소 |
특히, 만약 의 위의 작용이 자명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위상 코호몰로지와의 관계
편집만약 의 위의 작용이 자명하다면, 군 호몰로지와 군 코호몰로지는 각각 (이산 위상을 부여한 위상군으로서의) 분류 공간 의 특이 호몰로지 및 특이 코호몰로지와 동형이다.
증명:
보다 일반적으로, 만약 의 작용이 자명하지 않다면, 은 위의 일종의 층 을 정의하며, 이 층의 층 (코)호몰로지는 의 계수 군 (코)호몰로지와 같다.
예
편집자유군
편집개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군 을 생각하자. 자명한 작용을 가진 아벨 군 에 대하여, 군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순환군
편집차 순환군 을 생각하자. 자명한 작용을 가진 아벨 군 에 대하여, 군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은 의 -꼬임 부분군이다.
이는 순환군의 분류 공간인 의 특이 호몰로지와 같다. 특히, 일 경우 이는 무한 차원 실수 사영 공간 의 특이 호몰로지이다.
자유 아벨 군
편집차 자유 아벨 군 을 생각하자. 자명한 작용을 가진 아벨 군 에 대하여, 군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Isaksen, Daniel C. (2002년 11월). “A cohomological viewpoint on elementary school arithmetic” (PDF).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영어) 109 (9): 796–805. doi:10.2307/3072368. ISSN 0002-9890. JSTOR 3072368. MR 1933702. Zbl 1026.20029. 2014년 1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16일에 확인함.
각주
편집- ↑ Adem, Alejandro; Milgram, R. James (2004). 《Cohomology of finite group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영어) 309 2판.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62-06280-7. ISBN 978-3-540-20283-7. ISSN 0072-7830. MR 2035696. Zbl 1061.20044.
- ↑ Brown, Kenneth Stephen (1982). 《Cohomology of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87.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84-9327-6. ISBN 978-0-387-90688-1. ISSN 0072-5285. MR 0672956. Zbl 0584.20036.
- ↑ Rotman, Joseph (1995).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group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48 4판. Springer-Verlag. ISBN 978-0-387-94285-8. MR 1307623. Zbl 0810.20001.
외부 링크
편집- “Cohomology of group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Group cohomology”. 《nLab》 (영어).
- “Cohomology group”. 《Groupprops》 (영어).
- “First cohomology group”. 《Groupprops》 (영어).
- “Second cohomology group”. 《Groupprops》 (영어).
- “Second cohomology group for trivial group action”.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finite cyclic groups”.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Klein four-group”.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elementary abelian groups”.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dicyclic groups”.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symmetric groups”.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free groups”. 《Groupprops》 (영어).
- “Homology group”. 《Groupprops》 (영어).
- “Homology group for trivial group action”. 《Groupprops》 (영어).
- “Group cohomology of elementary abelian groups”. 《Groupprops》 (영어).
- Sharifi, Romyar. “Group and Galois cohomology” (PDF) (영어). 2014년 2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일에 확인함.
- Milne, James S. (2013년 3월 23일). 《Class field theory》 (PDF) (영어) 4.02판. 2013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1일에 확인함.
- Buzzard, Kevin (2012년 2월 9일). “Notes on the definitions of group cohomology and homology” (PDF) (영어).
- Conrad, Brian. “The bar resolution” (PDF) (영어).
- “Kuenneth-formula for group cohomology with nontrivial action on the coefficient”. 《Math Overflow》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