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에서 미분 연산자 (微分演算子, 영어 : differential operator )는 미분 연산을 포함할 수 있는, 함수 또는 단면 공간 위의 국소적 선형 변환 이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두 매끄러운 벡터 다발
E
,
F
↠
M
{\displaystyle E,F\twoheadrightarrow M}
그렇다면,
E
{\displaystyle E}
와
F
{\displaystyle F}
의 매끄러운 단면 들의 실수 벡터 공간
Γ
∞
(
E
)
{\displaystyle \Gamma ^{\infty }(E)}
Γ
∞
(
F
)
{\displaystyle \Gamma ^{\infty }(F)}
을 생각하자.
E
{\displaystyle E}
와
F
{\displaystyle F}
사이의 미분 연산자 는 특별한 꼴의 실수 선형 변환
D
:
Γ
∞
(
E
)
→
Γ
∞
(
F
)
{\displaystyle D\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F)}
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국소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꼴의 연산자를 생각하자.
s
∇
X
1
∇
X
2
⋯
∇
X
k
:
Γ
∞
(
E
)
→
Γ
∞
(
F
)
{\displaystyle s\nabla _{X_{1}}\nabla _{X_{2}}\cdots \nabla _{X_{k}}\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F)}
여기서
k
∈
N
{\displaystyle k\in \mathbb {N} }
는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이다.
∇
{\displaystyle \nabla }
는
E
{\displaystyle E}
의 임의의 코쥘 접속 이다.
s
∈
Γ
∞
(
E
∗
⊗
F
)
{\displaystyle s\in \Gamma ^{\infty }(E^{*}\otimes F)}
는
E
∗
⊗
F
{\displaystyle E^{*}\otimes F}
의 임의의 매끄러운 단면 이다.
X
1
,
…
,
X
k
∈
Γ
∞
(
T
M
)
{\displaystyle X_{1},\dots ,X_{k}\in \Gamma ^{\infty }(\mathrm {T} M)}
는
M
{\displaystyle M}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이다.
그렇다면, 미분 연산자 는 위와 같은 꼴의 연산자
(
D
i
)
i
∈
I
{\displaystyle (D_{i})_{i\in I}}
들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연산자이다. 여기서 합이 잘 정의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어떤 (충분히 섬세한) 열린 덮개
(
U
j
)
j
∈
J
{\displaystyle (U_{j})_{j\in J}}
에 대하여, 각
j
∈
J
{\displaystyle j\in J}
에 대하여
{
i
∈
I
:
D
i
↾
U
j
≠
∅
}
{\displaystyle \{i\in I\colon D_{i}\upharpoonright U_{j}\neq \varnothing \}}
은 유한 집합 이다.
(만약
M
{\displaystyle M}
이 콤팩트 공간 이라면, 위의 국소적 유한성 조건은 단순히 대역적 유한성에 불과하다.)
위와 같은 꼴에서 가능한 최소의
k
{\displaystyle k}
를 미분 연산자의 차수 (영어 : degree )라고 한다. (만약
M
{\displaystyle M}
이 콤팩트 공간이 아니라면 이는 무한할 수 있다.)
실수 선형 변환
D
:
Γ
∞
(
E
)
→
Γ
∞
(
F
)
{\displaystyle D\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F)}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과 같은 꼴의 분해가 존재한다면,
D
{\displaystyle D}
를
k
{\displaystyle k}
차 미분 연산자 라고 한다.
D
=
T
∘
j
k
{\displaystyle D=T\circ \mathrm {j} ^{k}}
여기서
j
k
:
Γ
∞
(
E
)
→
Γ
∞
(
J
k
E
)
{\displaystyle \mathrm {j} ^{k}\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mathrm {J} ^{k}E)}
는
E
{\displaystyle E}
의
k
{\displaystyle k}
차 제트 연장이다.
J
k
E
{\displaystyle \mathrm {J} ^{k}E}
는
E
{\displaystyle E}
의
k
{\displaystyle k}
차 제트 다발 이다.
T
:
J
k
E
→
F
{\displaystyle T\colon \mathrm {J} ^{k}E\to F}
는 벡터 다발 사상이다.
미분 연산자 는 미분 연산자들의 합으로 정의되는 국소 연산자이다. 즉, 그렇다면, 미분 연산자 는 위와 같은 꼴의 연산자
(
D
i
)
i
∈
I
{\displaystyle (D_{i})_{i\in I}}
들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연산자이며,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어떤 (충분히 섬세한) 열린 덮개
(
U
j
)
j
∈
J
{\displaystyle (U_{j})_{j\in J}}
에 대하여, 각
j
∈
J
{\displaystyle j\in J}
에 대하여
{
i
∈
I
:
D
i
↾
U
j
≠
∅
}
{\displaystyle \{i\in I\colon D_{i}\upharpoonright U_{j}\neq \varnothing \}}
은 유한 집합 이다.
(만약
M
{\displaystyle M}
이 콤팩트 공간 이라면, 위의 국소적 유한성 조건은 단순히 대역적 유한성에 불과하다.)
실수 벡터 공간 값의 층 사상
D
:
Γ
∞
(
E
)
→
Γ
∞
(
F
)
{\displaystyle D\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F)}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임의의 매끄러운 단면
s
∈
Γ
∞
(
E
)
{\displaystyle s\in \Gamma ^{\infty }(E)}
에 대하여,
supp
(
D
s
)
⊆
supp
s
{\displaystyle \operatorname {supp} (Ds)\subseteq \operatorname {supp} s}
. 여기서
supp
{\displaystyle \operatorname {supp} }
은 층의 지지 집합 이다.
그렇다면,
D
{\displaystyle D}
를 미분 연산자 라고 한다.
이 정의가 위의 두 정의와 동치라는 사실은 자명하지 않으며, 페트레 정리 (Peetre定理, 영어 : Peetre’s theorem )라고 한다.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두 벡터 다발
E
,
F
{\displaystyle E,F}
가 주어졌다고 하자.
E
→
F
{\displaystyle E\to F}
미분 연산자의 공간을
D
(
E
,
F
)
{\displaystyle {\mathcal {D}}(E,F)}
로 표기하자.
그렇다면, 모든 미분 연산자
Γ
∞
(
E
)
→
Γ
∞
(
F
)
{\displaystyle \Gamma ^{\infty }(E)\to \Gamma ^{\infty }(F)}
는 유한한 차수를 가지며, 따라서 차수에 따라 자연스러운 오름 여과
Γ
∞
(
E
∗
⊗
F
)
=
D
0
(
E
,
F
)
⊆
D
1
(
E
,
F
)
⊆
⋯
⊆
D
∞
(
E
,
F
)
=
D
(
E
,
F
)
{\displaystyle \Gamma ^{\infty }(E^{*}\otimes F)={\mathcal {D}}_{0}(E,F)\subseteq {\mathcal {D}}_{1}(E,F)\subseteq \cdots \subseteq {\mathcal {D}}_{\infty }(E,F)={\mathcal {D}}(E,F)}
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 여과는 자연스럽게 등급을 이루지 않는다.
미분 연산자의 차수 여과는 합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호환된다.
D
n
(
E
′
,
E
″
)
∘
D
m
(
E
,
E
′
)
⊆
D
m
+
n
(
E
,
E
″
)
{\displaystyle {\mathcal {D}}_{n}(E',E'')\circ {\mathcal {D}}_{m}(E,E')\subseteq {\mathcal {D}}_{m+n}(E,E'')}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C
∞
(
M
,
C
)
→
C
∞
(
M
,
C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athbb {C} )\to {\mathcal {C}}^{\infty }(M,\mathbb {C} )}
미분 연산자는 유사 미분 연산자 이다.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이 주어졌다고 하자. 편의상
D
(
E
)
=
D
(
E
,
E
)
{\displaystyle {\mathcal {D}}(E)={\mathcal {D}}(E,E)}
와 같이 표기하자.
이제, 다음과 같이 등급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gr
D
(
E
)
=
⨁
i
=
0
∞
D
i
(
E
)
D
i
−
1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mathcal {D}}(E)=\bigoplus _{i=0}^{\infty }{\frac {{\mathcal {D}}_{i}(E)}{{\mathcal {D}}_{i-1}(E)}}}
(여기서 편의상
D
i
−
1
(
E
)
=
{
0
}
{\displaystyle {\mathcal {D}}_{i-1}(E)=\{0\}}
으로 간주한다.)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등급 대수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1] :64, Proposition 2.1
Γ
∞
(
Sym
(
T
M
)
⊗
End
(
E
)
)
≅
gr
D
(
E
)
{\displaystyle \Gamma ^{\infty }\left(\operatorname {Sym} (\mathrm {T} M)\otimes \operatorname {End} (E)\right)\cong \operatorname {gr} {\mathcal {D}}(E)}
여기서
Sym
(
T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mathrm {T} M)}
은 그 올이 접공간 의 대칭 대수 인 벡터 다발 이다.
End
(
E
)
=
E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End} (E)=E\otimes E^{*}}
는
E
{\displaystyle E}
위의 자기 벡터 다발 사상으로 구성된 벡터 다발 이다.
이는 다음과 같다.
X
1
⊗
X
2
⊗
⋯
⊗
X
k
⊗
T
↦
[
T
∇
X
1
∇
X
2
⋯
∇
X
k
]
∀
X
1
,
…
,
X
k
∈
Γ
∞
(
T
M
)
,
T
∈
Γ
∞
(
E
⊗
E
∗
)
{\displaystyle X_{1}\otimes X_{2}\otimes \cdots \otimes X_{k}\otimes T\mapsto [T\nabla _{X_{1}}\nabla _{X_{2}}\cdots \nabla _{X_{k}}]\qquad \forall X_{1},\dots ,X_{k}\in \Gamma ^{\infty }(\mathrm {T} M),\;T\in \Gamma ^{\infty }(E\otimes E^{*})}
여기서
∇
{\displaystyle \nabla }
는
E
{\displaystyle E}
위에 정의된 임의의 코쥘 접속 이다.
주표상 (主表象, 영어 : principal symbol )은 미분 연산자의 차수를 나타내는, 여접다발 위에 정의되는 완전 대칭 다항식이다. 대략 미분 연산자의 최고차항에서 편미분 연산자를 형식적인 변수
∂
i
↦
ξ
i
{\displaystyle \partial _{i}\mapsto \xi _{i}}
로 치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두 매끄러운 벡터 다발
E
,
F
→
X
{\displaystyle E,F\to X}
사이의 미분 연산자
D
:
Γ
∞
(
E
)
→
Γ
∞
(
F
)
{\displaystyle D\colon \Gamma ^{\infty }(E)\to \Gamma ^{\infty }(F)}
를 생각하자. 임의의 매끄러운 단면
u
∈
Γ
∞
(
E
)
{\displaystyle u\in \Gamma ^{\infty }(E)}
에 대하여, 국소 좌표계에서
D
{\displaystyle D}
가
D
:
u
(
x
)
↦
∑
I
P
I
(
x
)
∂
I
u
{\displaystyle D\colon u(x)\mapsto \sum _{I}P^{I}(x)\partial _{I}u}
의 꼴이라고 하자. 여기서
I
{\displaystyle I}
는 다중지표 이고,
D
I
:
E
→
F
{\displaystyle D^{I}\colon E\to F}
는 다발 사상 이다. 여기서
D
I
{\displaystyle D^{I}}
는 다중지표의 성분들의 순열 에 무관하다.
D
{\displaystyle D}
의 차수
k
=
max
{
|
I
|
:
P
I
≠
0
}
{\displaystyle k=\max\{|I|\colon P^{I}\neq 0\}}
가 유한하다고 하자. 그렇다면 미분 연산자
D
{\displaystyle D}
의 주표상
σ
D
∈
Γ
∞
(
Sym
k
(
T
X
)
⊗
E
∗
⊗
F
)
{\displaystyle \sigma _{D}\in \Gamma ^{\infty }\left(\operatorname {Sym} ^{k}(\mathrm {T} X)\otimes E^{*}\otimes F\right)}
은
(
k
,
0
)
{\displaystyle (k,0)}
차 완전 대칭 텐서장이며, 다음과 같다.
σ
D
=
∑
|
I
|
=
k
P
I
{\displaystyle \sigma _{D}=\sum _{|I|=k}P^{I}}
이것이 텐서장으로서 변환한다는 사실을 보일 수 있다.
실수선 위의 미분 연산자는 이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D
=
∑
n
=
0
∞
f
n
(
x
)
d
n
d
x
n
{\displaystyle D=\sum _{n=0}^{\infty }f_{n}(x){\frac {\mathrm {d} ^{n}}{\mathrm {d} x^{n}}}}
여기서 위 합이 국소적으로 유한하려면 다음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
∀
x
∈
R
∃
ϵ
∈
R
+
∀
y
∈
(
x
−
ϵ
,
x
+
ϵ
)
∃
N
∈
N
∀
n
>
N
:
f
n
(
y
)
=
0
{\displaystyle \forall x\in \mathbb {R} \exists \epsilon \in \mathbb {R} ^{+}\forall y\in (x-\epsilon ,x+\epsilon )\exists N\in \mathbb {N} \forall n>N\colon f_{n}(y)=0}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위의 실수 값 매끄러운 함수 는 자명한 벡터 다발
R
×
R
n
{\displaystyle \mathbb {R} \times \mathbb {R} ^{n}}
의 매끄러운 단면 이며, 벡터장 은 자명한 벡터 다발
R
n
×
R
n
=
T
R
n
{\displaystyle \mathbb {R} ^{n}\times \mathbb {R} ^{n}=\operatorname {T} \mathbb {R} ^{n}}
의 매끄러운 단면 이다. 이 경우, 매끄러운 함수의 기울기
grad
:
C
∞
(
R
n
,
R
)
→
C
∞
(
R
n
,
R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ad} \colon {\mathcal {C}}^{\infty }(\mathbb {R} ^{n},\mathbb {R} )\to {\mathcal {C}}^{\infty }(\mathbb {R} ^{n},\mathbb {R} ^{n})}
와 발산
div
:
C
∞
(
R
n
,
R
n
)
→
C
∞
(
R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v} \colon {\mathcal {C}}^{\infty }(\mathbb {R} ^{n},\mathbb {R} ^{n})\to {\mathcal {C}}^{\infty }(\mathbb {R} ^{n},\mathbb {R} )}
및 회전
curl
:
C
∞
(
R
n
,
R
n
)
→
C
∞
(
R
n
,
R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curl} \colon {\mathcal {C}}^{\infty }(\mathbb {R} ^{n},\mathbb {R} ^{n})\to {\mathcal {C}}^{\infty }(\mathbb {R} ^{n},\mathbb {R} ^{n})}
은 모두 1차 미분 연산자이다.
준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위에는 2차 미분 연산자인 라플라스 연산자
Δ
:
C
∞
(
X
)
→
C
∞
(
X
)
{\displaystyle \Delta \colon C^{\infty }(X)\to C^{\infty }(X)}
가 존재하며, 그 주표상은
σ
Δ
(
ξ
)
=
g
−
1
(
ξ
,
ξ
)
{\displaystyle \sigma _{\Delta }(\xi )=g^{-1}(\xi ,\xi )}
이다. 만약
M
{\displaystyle M}
이 리만 다양체 라면 이는 타원형 미분 연산자이다.
스핀 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1차 미분 연산자인 디랙 연산자
D
=
γ
i
∇
i
:
S
M
→
S
M
{\displaystyle D=\gamma ^{i}\nabla _{i}\colon SM\to SM}
의 주표상은
σ
D
(
ξ
)
=
γ
i
ξ
i
{\displaystyle \sigma _{D}(\xi )=\gamma ^{i}\xi _{i}}
이다. 여기서
S
M
{\displaystyle SM}
은
M
{\displaystyle M}
의 스피너 다발 이고,
γ
i
{\displaystyle \gamma ^{i}}
는 디랙 행렬 이다. 이는 항상 약타원형 미분 연산자이다.
미분 연산자를 (단순히 함수의 도함수를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라) 스스로 존재하는 대상으로 여기는 것은 루이 프랑수아 앙투안 아르보가스트(프랑스어 : Louis François Antoine Arbogast , 1759~1803)의 1800년 저서[ 2] 가 최초라고 여겨진다.[ 3] :169, §2.1
페트레 정리는 야크 페트레(에스토니아어 : Jaak Peetre , 1935~)가 증명하였다.
Hörmander, Lars (1971). 〈Linear differential operators〉 (PDF) . 《Actes du Congrès international des mathématiciens 1970 publiés sous la direction du Comité d’Organisation du Congrès. Tome 1. Documents — Médailles Fields. Conférences générales (G). Logique (A) — algèbre (B)》 (영어). 파리 : Gauthier-Villars. 121–133쪽. 2015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5일에 확인함 .
Hörmander, L. (1983). 《The analysis of linear partial differential operators I》. Grundl. Math. Wissenschaft. 256 . Springer. ISBN 3-540-12104-8 . MR 0717035 .
Wells, R.O. (1973). 《Differential analysis on complex manifolds》. Springer-Verlag. ISBN 0-387-9041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