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에 비퇴화 이차 형식
Q
:
V
→
K
{\displaystyle Q\colon V\to K}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K
{\displaystyle K}
의 표수 가 2가 아니라면, 이는
V
{\displaystyle V}
위의 대칭 비퇴화 쌍선형 형식 과 같다.) 그렇다면, 직교군
O
(
V
,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V,Q)}
는
V
{\displaystyle V}
위의 가역 선형 변환 들 가운데,
Q
{\displaystyle Q}
를 보존하는 것들로 구성된 군 이다.
O
(
V
,
Q
)
=
{
M
∈
GL
(
V
)
:
Q
(
u
)
=
Q
(
M
u
)
∀
u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V,Q)=\{M\in \operatorname {GL} (V)\colon Q(u)=Q(Mu)\forall u\in V\}}
이는 대수적 조건이므로, 직교군은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한 대수군 이다. 또한, 만약
K
{\displaystyle K}
가 실수체나 복소수체라면, 직교군은 리 군 을 이룬다.
만약
V
{\displaystyle V}
가
n
{\displaystyle n}
차원 벡터 공간이며,
Q
{\displaystyle Q}
가 자명한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이라면, 이를
O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n;K)}
로 쓴다.
실베스터 관성 법칙 에 의하여, 실수체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위의 비퇴화 이차 형식 은 계량 부호수
(
p
,
q
)
{\displaystyle (p,q)}
에 의하여 분류된다. 이 경우 직교군은
O
(
p
,
q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p,q;\mathbb {R} )}
와 같이 쓴다.
직교군에서 2차 순환군 으로 가는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D
:
O
(
n
;
K
)
→
Z
/
2
{\displaystyle D\colon \operatorname {O} (n;K)\to \mathbb {Z} /2}
D
:
M
↦
rank
(
1
−
M
)
(
mod
2
)
{\displaystyle D\colon M\mapsto \operatorname {rank} (1-M){\pmod {2}}}
.
이 준동형을 딕슨 불변량 (Dickson不變量, 영어 : Dickson invariant )이라고 한다. 만약 체의 표수 가 2가 아니라면 이는 행렬식
det
:
O
(
n
;
K
)
→
{
±
1
}
{\displaystyle \det \colon \operatorname {O} (n;K)\to \{\pm 1\}}
과 같다. (표수가 2인 체의 경우, 모든 직교행렬의 행렬식은 1이다.)
특수직교군 (特殊直交群, 영어 : special orthogonal group )
SO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K)}
는 딕슨 불변량의 핵 이다.
SO
(
n
;
K
)
=
ker
D
=
O
(
n
;
K
)
/
(
Z
/
2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K)=\ker D=\operatorname {O} (n;K)/(\mathbb {Z} /2\mathbb {Z} )}
.
즉, 딕슨 불변량이 0인 직교 행렬 의 리 군 이다. 만약 체의 표수 가 2가 아니라면, 이는 행렬식이 1인 직교행렬의 리 군 이 된다. 따라서 특수직교군과 직교군은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 을 만족한다.
1
→
Z
/
2
Z
→
O
(
n
;
K
)
→
SO
(
n
;
K
)
→
1
{\displaystyle 1\to \mathbb {Z} /2\mathbb {Z} \to \operatorname {O} (n;K)\to \operatorname {SO} (n;K)\to 1}
.
특수직교군
SO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R} )}
에 대하여, 그렇다면 다음 짧은 완전열 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결 리 군
Spin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n)}
이 존재한다.
1
→
Z
/
2
Z
→
Spin
(
n
)
→
SO
(
n
;
R
)
→
1
{\displaystyle 1\to \mathbb {Z} /2\mathbb {Z} \to \operatorname {Spin} (n)\to \operatorname {SO} (n;\mathbb {R} )\to 1}
.
이 리 군 을 스핀 군 (영어 : spin group )이라고 한다.
n
>
2
{\displaystyle n>2}
일 경우, 스핀 군은 특수직교군의 범피복 공간 이다. (
n
=
2
{\displaystyle n=2}
일 경우는 물론
SO
(
2
)
=
U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operatorname {U} (1)}
이고, 그 범피복 공간은
R
{\displaystyle \mathbb {R} }
이다.)
마찬가지로, 직교군의 두 겹 피복군인 핀 군 (영어 : pin group )을 정의할 수 있다. 스핀 군과 핀 군은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을 만족시키며, 이 가환 그림에서 모든 행과 열은 짧은 완전열 을 이룬다.
1
1
↓
↓
Z
/
2
=
Z
/
2
↓
↓
1
→
Spin
(
n
)
→
Pin
(
n
)
→
Z
/
2
→
1
↓
↓
‖
1
→
SO
(
n
)
→
O
(
n
)
→
Z
/
2
→
1
↓
↓
1
1
{\displaystyle {\begin{matrix}&&1&&1\\&&\downarrow &&\downarrow \\&&\mathbb {Z} /2&=&\mathbb {Z} /2\\&&\downarrow &&\downarrow \\1&\to &\operatorname {Spin} (n)&\to &\operatorname {Pin} (n)&\to &\mathbb {Z} /2&\to &1\\&&\downarrow &&\downarrow &&\|\\1&\to &\operatorname {SO} (n)&\to &\operatorname {O} (n)&\to &\mathbb {Z} /2&\to &1\\&&\downarrow &&\downarrow \\&&1&&1\end{matrix}}}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직교군은 리 군 을 이루며, 이에 대응하는 리 대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s
o
(
n
;
K
)
{\displaystyle {\mathfrak {so}}(n;K)}
또는
o
(
n
;
K
)
{\displaystyle {\mathfrak {o}}(n;K)}
와 같이 쓴다 (
K
=
R
,
C
{\displaystyle K=\mathbb {R} ,\mathbb {C} }
).
s
o
(
n
;
R
)
{\displaystyle {\mathfrak {so}}(n;\mathbb {R} )}
는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실수 반대칭 행렬 들로 구성된 리 대수이며,
s
o
(
n
;
C
)
{\displaystyle {\mathfrak {so}}(n;\mathbb {C} )}
는 정사각 복소수 반대칭 행렬 들로 구성된 리 대수이다.
s
o
(
n
;
K
)
=
{
M
∈
Mat
(
n
;
K
)
:
M
⊤
=
−
M
}
{\displaystyle {\mathfrak {so}}(n;K)=\{M\in \operatorname {Mat} (n;K)\colon M^{\top }=-M\}}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이차 형식
Q
{\displaystyle Q}
의 직교군
O
(
V
,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V,Q)}
에 대하여, 스피너 노름 (영어 : spinor norm )은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 이다.
N
:
O
(
V
,
Q
)
→
K
×
/
(
K
×
)
2
{\displaystyle N\colon \operatorname {O} (V,Q)\to K^{\times }/(K^{\times })^{2}}
N
(
R
v
)
=
1
(
Q
(
v
)
≠
0
)
{\displaystyle N(R_{v})=1\qquad (Q(v)\neq 0)}
여기서
R
v
{\displaystyle R_{v}}
는
v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한 반사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
v
:
u
↦
u
−
v
Q
(
u
+
v
)
−
Q
(
u
)
−
Q
(
v
)
Q
(
v
)
{\displaystyle R_{v}\colon u\mapsto u-v{\frac {Q(u+v)-Q(u)-Q(v)}{Q(v)}}}
직교군의 모든 원소는 이와 같은 반사의 합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s
o
(
2
n
;
C
)
{\displaystyle {\mathfrak {so}}(2n;\mathbb {C} )}
은 다음과 같은 특수한 실수 형태를 갖는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우선, 체
K
{\displaystyle K}
위의
2
n
{\displaystyle 2n}
차원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에 심플렉틱 구조
Ω
:
V
⊗
K
V
→
V
{\displaystyle \Omega \colon V\otimes _{K}V\to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적절한 기저에서 이는
Ω
=
(
0
n
×
n
1
n
×
n
−
1
n
×
n
0
n
×
n
)
{\displaystyle \Omega ={\begin{pmatrix}0_{n\times n}&1_{n\times n}\\-1_{n\times n}&0_{n\times n}\end{pmatrix}}}
의 꼴이다. 그렇다면,
GL
(
V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V;K)}
위에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할 수 있다.
O
∗
(
V
,
Ω
)
=
{
M
∈
GL
(
V
;
K
)
:
Ω
(
M
⊤
u
,
v
)
=
Ω
(
u
,
M
v
)
∀
u
,
v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V,\Omega )=\left\{M\in \operatorname {GL} (V;K)\colon \Omega (M^{\top }u,v)=\Omega (u,Mv)\qquad \forall u,v\in V\right\}}
즉,
Ω
{\displaystyle \Omega }
를
2
n
×
2
n
{\displaystyle 2n\times 2n}
행렬로 간주하였을 때, 다음 조건이다.
M
Ω
=
Ω
M
{\displaystyle M\Omega =\Omega M}
마찬가지로,
SO
∗
(
V
,
Ω
)
=
SL
(
V
)
∩
O
∗
(
V
,
Ω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V,\Omega )=\operatorname {SL} (V)\cap \operatorname {O} ^{*}(V,\Omega )}
이다.
그렇다면, 실수 리 대수
s
o
∗
(
2
n
;
R
)
{\displaystyle {\mathfrak {so}}^{*}(2n;\mathbb {R} )}
는
s
o
(
2
n
;
C
)
{\displaystyle {\mathfrak {so}}(2n;\mathbb {C} )}
의 실수 형태이다.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한 직교군의 중심 은 다음과 같다.
Z
(
O
(
n
;
K
)
)
=
{
+
1
n
×
n
,
−
1
n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O} (n;K))=\{+1_{n\times n},-1_{n\times n}\}}
만약
K
{\displaystyle K}
의 표수가 2가 아니라면, 중심의 크기는 2이며, 만약
K
{\displaystyle K}
의 표수가 2라면 중심의 크기는 1이다. 체의 표수가 2가 아닐 때, 만약
n
{\displaystyle n}
이 짝수라면 중심의 두 원소 모두 특수직교군에 속하지만,
n
{\displaystyle n}
이 홀수라면 그렇지 않다.
Z
(
SO
(
n
;
K
)
)
=
{
{
+
1
n
×
n
,
−
1
n
×
n
}
2
∣
n
{
1
n
×
n
}
2
∤
n
(
char
K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SO} (n;K))={\begin{cases}\{+1_{n\times n},-1_{n\times n}\}&2\mid n\\\{1_{n\times n}\}&2\nmid n\end{cases}}\qquad (\operatorname {char} K\neq 2)}
중심에 대하여 몫군 을 취하면, 사영 직교군 (영어 : projective orthogonal group )
PO
(
n
;
K
)
=
O
(
n
;
K
)
/
Z
(
O
(
n
;
K
)
)
{\displaystyle \operatorname {PO} (n;K)=\operatorname {O} (n;K)/\operatorname {Z} (\operatorname {O} (n;K))}
을 얻는다.
마찬가지로, 스핀 군의 중심은 다음과 같다.
Z
(
Spin
(
n
;
C
)
)
=
{
Z
/
2
n
≡
1
,
3
(
mod
4
)
Z
/
4
n
≡
2
(
mod
4
)
(
Z
/
2
)
⊕
2
n
≡
0
(
mod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Spin} (n;\mathbb {C} ))={\begin{cases}\mathbb {Z} /2&n\equiv 1,3{\pmod {4}}\\\mathbb {Z} /4&n\equiv 2{\pmod {4}}\\(\mathbb {Z} /2)^{\oplus 2}&n\equiv 0{\pmod {4}}\end{cases}}}
Z
(
Spin
(
p
,
q
;
R
)
)
=
{
Z
/
2
p
q
≢
0
(
mod
4
)
Z
/
4
p
q
≡
0
(
mod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Spin} (p,q;\mathbb {R} ))={\begin{cases}\mathbb {Z} /2&pq\not \equiv 0{\pmod {4}}\\\mathbb {Z} /4&pq\equiv 0{\pmod {4}}\end{cases}}}
복소수 리 군
SO
(
n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C} )}
는
n
≠
4
{\displaystyle n\neq 4}
일 경우 단순 리 군 이다. 단순 리 군의 분류에서, 이는 만약
n
=
2
k
+
1
{\displaystyle n=2k+1}
이라면
B
k
{\displaystyle B_{k}}
에, 만약
n
=
2
k
{\displaystyle n=2k}
라면
D
k
{\displaystyle D_{k}}
에 해당하며, 그 딘킨 도표 는 다음과 같다.
B
k
:
∙
−
∙
−
⋯
−
∙
⇒
∙
{\displaystyle B_{k}\colon \bullet -\bullet -\cdots -\bullet \Rightarrow \bullet }
D
k
:
∙
−
∙
−
⋯
−
∙
⟨
∙
∙
{\displaystyle D_{k}\colon \bullet -\bullet -\cdots -\bullet \langle {\bullet \atop \bullet }}
SO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R} )}
는
SO
(
n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C} )}
의 콤팩트 실수 형식이다. 분해 실수 형식은 짝수 차수에서는
SO
(
k
,
k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k,k;\mathbb {R} )}
이며, 홀수 차수에서는
SO
(
k
+
1
,
k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k+1,k;\mathbb {R} )}
이다.
SO
(
2
k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k;\mathbb {R} )}
의 극대 원환면 은 다음과 같다.
(
R
1
0
⋱
0
R
k
)
{\displaystyle {\begin{pmatrix}R_{1}&&0\\&\ddots \\0&&R_{k}\end{pmatrix}}}
여기서
R
i
=
(
cos
θ
i
−
sin
θ
i
sin
θ
i
cos
θ
i
)
{\displaystyle R_{i}={\begin{pmatrix}\cos \theta _{i}&-\sin \theta _{i}\\\sin \theta _{i}&\cos \theta _{i}\end{pmatrix}}}
는 2×2 회전 행렬이다.
SO
(
2
k
+
1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k+1;\mathbb {R} )}
의 극대 원환면 은 다음과 같다.
(
R
1
0
⋱
R
k
0
1
)
{\displaystyle {\begin{pmatrix}R_{1}&&&0\\&\ddots \\&&R_{k}\\0&&&1\end{pmatrix}}}
SO
(
2
k
+
1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k+1;\mathbb {R} )}
의 바일 군 은 반직접곱
Weyl
(
SO
(
2
k
+
1
;
R
)
)
≅
{
±
1
}
k
⋊
Sy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O} (2k+1;\mathbb {R} ))\cong \{\pm 1\}^{k}\rtimes \operatorname {Sym} (k)}
이다. 여기서
ϵ
=
(
ϵ
1
,
…
,
ϵ
k
)
∈
{
±
1
}
k
{\displaystyle \epsilon =(\epsilon _{1},\dots ,\epsilon _{k})\in \{\pm 1\}^{k}}
는
ϵ
:
θ
i
↦
ϵ
i
θ
i
{\displaystyle \epsilon \colon \theta _{i}\mapsto \epsilon _{i}\theta _{i}}
와 같이 작용하며, 순열
σ
∈
Sym
(
k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k)}
는
σ
:
θ
i
↦
θ
σ
(
i
)
{\displaystyle \sigma \colon \theta _{i}\mapsto \theta _{\sigma (i)}}
와 같이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바일 군에서
(
ϵ
1
,
…
,
ϵ
k
)
∈
{
±
1
}
k
{\displaystyle (\epsilon _{1},\dots ,\epsilon _{k})\in \{\pm 1\}^{k}}
의 원소는 블록 대각 행렬
diag
(
M
(
ϵ
1
)
,
…
,
M
(
ϵ
k
)
,
∏
i
=
1
k
ϵ
k
)
∈
SO
(
2
k
+
1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ag} \left(M(\epsilon _{1}),\dots ,M(\epsilon _{k}),\prod _{i=1}^{k}\epsilon _{k}\right)\in \operatorname {SO} (2k+1;\mathbb {R} )}
M
(
+
1
)
=
(
1
0
0
1
)
M
(
−
1
)
=
(
0
1
1
0
)
{\displaystyle M(+1)={\begin{pmatrix}1&0\\0&1\end{pmatrix}}\qquad M(-1)={\begin{pmatrix}0&1\\1&0\end{pmatrix}}}
이며,
Sy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k)}
의 원소는 2×2 단위 행렬 블록의
2
k
×
2
k
{\displaystyle 2k\times 2k}
치환행렬 에
(
2
k
+
1
,
2
k
+
1
)
{\displaystyle (2k+1,2k+1)}
번째 성분 +1을 추가한 행렬이다.
SO
(
2
k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k;\mathbb {R} )}
의 바일 군은 반직접곱
Weyl
(
SO
(
2
k
;
R
)
)
≅
{
±
1
}
k
−
1
⋊
Sy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O} (2k;\mathbb {R} ))\cong \{\pm 1\}^{k-1}\rtimes \operatorname {Sym} (k)}
이다. 포함 관계
Weyl
(
SO
(
2
k
;
R
)
)
<
Weyl
(
SO
(
2
k
+
1
;
R
)
)
{\displaystyle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O} (2k;\mathbb {R}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O} (2k+1;\mathbb {R} ))}
아래, 다음과 같은 군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1
→
Weyl
(
SO
(
2
k
;
R
)
)
→
Weyl
(
SO
(
2
k
;
R
)
)
→
ϕ
{
±
1
}
→
1
{\displaystyle 1\to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O} (2k;\mathbb {R} ))\to \operatorname {Weyl} (\operatorname {SO} (2k;\mathbb {R} )){\xrightarrow {\phi }}\{\pm 1\}\to 1}
이며,
ϕ
{\displaystyle \phi }
는 다음과 같다.
ϕ
:
(
ϵ
1
,
…
,
ϵ
k
,
σ
)
↦
∏
i
=
1
k
ϵ
k
∈
{
±
1
}
{\displaystyle \phi \colon (\epsilon _{1},\dots ,\epsilon _{k},\sigma )\mapsto \prod _{i=1}^{k}\epsilon _{k}\in \{\pm 1\}}
실수 직교군
O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n;\mathbb {R} )}
은
n
(
n
−
1
)
/
2
{\displaystyle n(n-1)/2}
차원의 리 군 이며, 콤팩트 공간 이다. 두 개의 연결 성분 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행렬식
det
M
=
±
1
{\displaystyle \det M=\pm 1}
인 실수 직교행렬 들로 구성된다. 그 중 행렬식이 +1인 성분은 연결 공간 인 실수 특수직교군
SO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R} )}
를 이룬다.
복소수 직교군
O
(
n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n;\mathbb {C} )}
은 복소수
n
(
n
−
1
)
/
2
{\displaystyle n(n-1)/2}
차원(실수
n
(
n
−
1
)
{\displaystyle n(n-1)}
차원)의 복소수 리 군 이자 대수군 이다.
n
≥
2
{\displaystyle n\geq 2}
인 경우, 복소수 직교군은 콤팩트 하지 않다. 복소수 직교군은 두 개의 연결 성분 을 가지며, 이는 각각 행렬식이
det
M
=
±
1
{\displaystyle \det M=\pm 1}
인 복소수 직교행렬 들로 구성된다. 그 중 행렬식이 +1인 성분은 복소수 특수직교군
SO
(
n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C} )}
를 이룬다.
실수 또는 복소수 특수직교군의 기본군 은 다음과 같다.
π
1
(
SO
(
n
;
R
)
)
≅
π
1
(
SO
(
n
;
C
)
)
≅
{
1
n
=
1
Z
n
=
2
Z
/
2
n
>
2
{\displaystyle \pi _{1}(\operatorname {SO} (n;\mathbb {R} ))\cong \pi _{1}(\operatorname {SO} (n;\mathbb {C} ))\cong {\begin{cases}1&n=1\\\mathbb {Z} &n=2\\\mathbb {Z} /2&n>2\end{cases}}}
이에 따라, 실수 특수직교군의 범피복 리 군을 취하면
n
=
2
{\displaystyle n=2}
에서는
R
{\displaystyle \mathbb {R} }
를,
n
>
2
{\displaystyle n>2}
에서는 스핀 군
Spin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n)}
을 얻는다.
부정부호 실수 직교군
O
(
p
,
q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p,q;\mathbb {R} )}
(
p
,
q
>
0
{\displaystyle p,q>0}
)는 네 개의 연결 성분을 가지며,
π
0
(
O
(
p
,
q
;
R
)
)
=
(
Z
/
2
)
2
{\displaystyle \pi _{0}(\operatorname {O} (p,q;\mathbb {R} ))=(\mathbb {Z} /2)^{2}}
이다. 여기서 한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는
p
{\displaystyle p}
차원 부분 공간에서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되며, 다른 하나는
q
{\displaystyle q}
차원 부분 공간에서의 방향에 의하여 결정된다.
SO
(
p
,
q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p,q;\mathbb {R} )}
는 두 개의 연결 성분을 가지며, 이 경우
π
0
(
SO
(
p
,
q
;
R
)
)
=
{
(
1
,
1
)
,
(
−
1
,
−
1
)
}
⊂
π
0
(
O
(
p
,
q
;
R
)
)
{\displaystyle \pi _{0}(\operatorname {SO} (p,q;\mathbb {R} ))=\{(1,1),(-1,-1)\}\subset \pi _{0}(\operatorname {O} (p,q;\mathbb {R} ))}
이다.
SO
(
p
,
q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p,q;\mathbb {R} )}
의 연결 부분군을
SO
+
(
p
,
q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p,q;\mathbb {R} )}
라고 한다.
부정부호 실수 직교군의 기본군은 다음과 같다.
π
1
(
SO
+
(
p
,
q
;
R
)
)
=
π
1
(
SO
(
p
;
R
)
)
×
π
1
(
SO
(
q
;
R
)
)
{\displaystyle \pi _{1}(\operatorname {SO} ^{+}(p,q;\mathbb {R} ))=\pi _{1}(\operatorname {SO} (p;\mathbb {R} ))\times \pi _{1}(\operatorname {SO} (q;\mathbb {R} ))}
호프 올뭉치
O
(
n
)
↪
O
(
n
+
1
)
↠
S
n
{\displaystyle \operatorname {O} (n)\hookrightarrow \operatorname {O} (n+1)\twoheadrightarrow \mathbb {S} ^{n}}
로 인하여, 만약
i
<
n
−
1
{\displaystyle i<n-1}
이라면
π
i
(
O
(
n
)
)
≅
π
i
(
O
(
n
+
1
)
)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O} (n))\cong \pi _{i}(\operatorname {O} (n+1))}
이다.[ 1] :112 즉, 직교군의 호모토피 군 들은 안정화되며, 안정 호모토피 군들은 다음과 같다.[ 1] :113
π
i
(
O
(
n
)
)
=
{
0
i
≡
2
,
4
,
5
,
6
(
mod
8
)
Z
/
2
i
≡
0
,
1
(
mod
8
)
Z
i
≡
3
,
7
(
mod
8
)
(
i
<
n
−
1
)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O} (n))={\begin{cases}0&i\equiv 2,4,5,6{\pmod {8}}\\\mathbb {Z} /2&i\equiv 0,1{\pmod {8}}\\\mathbb {Z} &i\equiv 3,7{\pmod {8}}\end{cases}}\qquad (i<n-1)}
이 주기성을 보트 주기성 (영어 : Bott periodicity )이라고 한다. 불안정 호모토피 군은 낮은 차원에서는 직접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굵은 지그재그 아래의 칸들은 안정 호모토피 군, 위의 칸들은 불안정 호모토피 군들이다.
직교군
π0
π1
π2
π3
π4
π5
π6
π7
π8
π9
O(1)
ℤ/2
ℤ
0
0
0
0
0
0
0
0
O(2)
ℤ/2
ℤ
0
0
0
0
0
0
0
0
O(3)
ℤ/2
ℤ/2
0
ℤ
ℤ/2
ℤ/2
ℤ/12
ℤ/2
ℤ/2
ℤ/3
O(4)
ℤ/2
ℤ/2
0
ℤ2
(ℤ/2)2
(ℤ/2)2
(ℤ/12)2
(ℤ/2)2
(ℤ/2)2
(ℤ/3)2
O(5)
ℤ/2
ℤ/2
0
ℤ
ℤ/2
ℤ/2
0
ℤ
0
0
O(6)
ℤ/2
ℤ/2
0
ℤ
0
ℤ
0
ℤ
ℤ/24
ℤ/2
특수직교군 및 스핀 군의 호모토피 군은 다음과 같이 다르다.
π
i
(
SO
(
n
)
)
≅
{
0
i
=
0
π
i
(
O
(
n
)
)
i
>
0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SO} (n))\cong {\begin{cases}0&i=0\\\pi _{i}(\operatorname {O} (n))&i>0\end{cases}}}
π
i
(
Spin
(
n
)
)
≅
{
0
i
=
0
,
1
π
i
(
O
(
n
)
)
i
>
1
(
n
>
2
)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Spin} (n))\cong {\begin{cases}0&i=0,1\\\pi _{i}(\operatorname {O} (n))&i>1\end{cases}}\qquad (n>2)}
π
i
(
Pin
(
n
)
)
≅
{
0
i
=
1
π
i
(
O
(
n
)
)
i
≠
1
(
n
>
2
)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Pin} (n))\cong {\begin{cases}0&i=1\\\pi _{i}(\operatorname {O} (n))&i\neq 1\end{cases}}\qquad (n>2)}
다음과 같은 무한 직교군
O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infty )}
을 범주론적 쌍대극한 으로 정의할 수 있다.
O
(
∞
)
=
lim
→
n
O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infty )=\varinjlim _{n}\operatorname {O} (n)}
무한 유니터리 군의 호모토피 군들은 유한 차원 유니터리 군의 안정 호모토피 군으로 주어진다.
π
i
(
O
(
∞
)
)
=
{
0
i
≡
2
,
4
,
5
,
6
(
mod
8
)
Z
/
2
i
≡
0
,
1
(
mod
8
)
Z
i
≡
3
,
7
(
mod
8
)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O} (\infty ))={\begin{cases}0&i\equiv 2,4,5,6{\pmod {8}}\\\mathbb {Z} /2&i\equiv 0,1{\pmod {8}}\\\mathbb {Z} &i\equiv 3,7{\pmod {8}}\end{cases}}}
이에 따라, 무한 직교군은 스스로의 8차 고리 공간 과 호모토피 동치 이다.[ 1] :112, Theorem 1
O
(
∞
)
≃
Ω
8
O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infty )\simeq \Omega ^{8}\operatorname {O} (\infty )}
무한 차원 분해 가능 실수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의 직교군
O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mathcal {H}})}
는
O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infty )}
와 다르다. 작용소 노름 에 의한 위상을 주었을 때,
O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mathcal {H}})}
는 축약 가능 공간 이며, 따라서 모든 호모토피 군 이 자명하다.[ 2]
π
i
(
O
(
H
)
)
=
0
∀
i
{\displaystyle \pi _{i}(\operatorname {O} ({\mathcal {H}}))=0\quad \forall i}
모든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SO
(
n
;
R
)
⊂
SU
(
n
)
⊂
USp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mathbb {R} )\subset \operatorname {SU} (n)\subset \operatorname {USp} (2n)}
SU
(
n
;
R
)
⊂
SO
(
2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mathbb {R} )\subset \operatorname {SO} (2n)}
SO
(
n
−
1
;
R
)
⊂
SO
(
n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1;\mathbb {R} )\subset \operatorname {SO} (n;\mathbb {R} )}
. 만약
n
{\displaystyle n}
이 짝수인 경우, 이는
SO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
의 딘킨 도표 를
Z
/
2
{\displaystyle \mathbb {Z} /2}
대칭을 따라 접은 것이다. 만약
n
{\displaystyle n}
이 홀수인 경우, 이는
SO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
의 딘킨 도표 에
⊗
{\displaystyle \scriptstyle \otimes }
로 표시한 꼭짓점을 추가하여 아핀 딘킨 도표 로 만든 뒤,
∘
{\displaystyle \circ }
로 표시한 꼭짓점을 제거한 것이다.
2
∣
n
:
∙
−
⋯
−
∙
⏞
n
/
2
−
3
−
∙
⟨
∙
∙
→
∙
−
⋯
−
∙
⏞
n
/
2
−
3
−
∙
⇒
∙
{\displaystyle 2\mid n\colon \qquad \overbrace {\bullet -\cdots -\bullet } ^{n/2-3}-\bullet \langle {\bullet \atop \bullet }\qquad \to \qquad \overbrace {\bullet -\cdots -\bullet } ^{n/2-3}-\bullet \Rightarrow \bullet }
2
∤
n
:
∙
−
∙
−
∙
−
⋯
−
∙
⏞
⌊
n
/
2
⌋
−
3
⇒
∘
→
∙
−
∙
⊗
|
−
∙
−
⋯
−
∙
⏞
⌊
n
/
2
⌋
−
3
⇒
∘
→
∙
−
∙
⊗
|
−
∙
−
⋯
−
∙
⏞
⌊
n
/
2
⌋
−
3
{\displaystyle 2\nmid n\colon \qquad \bullet -\bullet -\overbrace {\bullet -\cdots -\bullet } ^{\lfloor n/2\rfloor -3}\Rightarrow \circ \qquad \to \qquad \bullet -{\overset {\scriptstyle \otimes \atop \displaystyle |}{\bullet }}-\overbrace {\bullet -\cdots -\bullet } ^{\lfloor n/2\rfloor -3}\Rightarrow \circ \qquad \to \qquad \bullet -{\overset {\scriptstyle \otimes \atop \displaystyle |}{\bullet }}-\overbrace {\bullet -\cdots -\bullet } ^{\lfloor n/2\rfloor -3}}
만약
또한, 예외 단순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Spin
(
3
)
⊂
G
2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3)\subset G_{2}}
Spin
(
9
)
⊂
F
4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9)\subset F_{4}}
Spin
(
10
)
⊂
E
6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10)\subset E_{6}}
Spin
(
12
)
⊂
E
7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12)\subset E_{7}}
Spin
(
16
)
⊂
E
8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16)\subset E_{8}}
6차원 이하의 직교군은 다음과 같은 예외적 동형 (영어 : exceptional isomorphism )을 보인다.
1차원
O
(
1
)
≅
Spin
(
1
)
≅
Z
/
2
{\displaystyle \operatorname {O} (1)\cong \operatorname {Spin} (1)\cong \mathbb {Z} /2}
SO
(
1
)
≅
PSO
(
1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1)\cong \operatorname {PSO} (1)\cong 1}
2차원
SO
(
2
;
R
)
≅
Spin
(
2
)
≅
U
(
1
)
≅
S
1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mathbb {R} )\cong \operatorname {Spin} (2)\cong \operatorname {U} (1)\cong \mathbb {S} ^{1}}
SO
+
(
1
,
1
;
R
)
≅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1,1;\mathbb {R} )\cong \mathbb {R} }
3차원
SO
(
3
;
R
)
≅
PSO
(
3
;
R
)
≅
PSU
(
2
)
≅
PUSp
(
2
)
≅
R
P
2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3;\mathbb {R} )\cong \operatorname {PSO} (3;\mathbb {R} )\cong \operatorname {PSU} (2)\cong \operatorname {PUSp} (2)\cong \mathbb {RP} ^{2}}
Spin
(
3
)
≅
SU
(
2
)
≅
USp
(
2
)
≅
S
3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3)\cong \operatorname {SU} (2)\cong \operatorname {USp} (2)\cong \mathbb {S} ^{3}}
SO
(
3
;
C
)
≅
PSL
(
2
;
C
)
≅
PSp
(
2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3;\mathbb {C} )\cong \operatorname {PSL} (2;\mathbb {C} )\cong \operatorname {PSp} (2;\mathbb {C} )}
SO
+
(
2
,
1
;
R
)
≅
PSL
(
2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2,1;\mathbb {R} )\cong \operatorname {PSL} (2;\mathbb {R} )}
Spin
+
(
2
,
1
)
≅
SL
(
2
;
R
)
≅
Sp
(
2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2,1)\cong \operatorname {SL} (2;\mathbb {R} )\cong \operatorname {Sp} (2;\mathbb {R} )}
4차원
SO
(
4
;
R
)
≅
(
SU
(
2
)
×
SU
(
2
)
)
/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4;\mathbb {R} )\cong \left(\operatorname {SU} (2)\times \operatorname {SU} (2)\right)/(\mathbb {Z} /2)}
Spin
(
4
)
≅
SU
(
2
)
×
SU
(
2
)
≅
S
3
×
S
3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4)\cong \operatorname {SU} (2)\times \operatorname {SU} (2)\cong \mathbb {S} ^{3}\times \mathbb {S} ^{3}}
PSO
(
4
;
R
)
≅
PSU
(
2
)
×
PSU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O} (4;\mathbb {R} )\cong \operatorname {PSU} (2)\times \operatorname {PSU} (2)}
PSO
(
4
;
C
)
≅
PSL
(
2
;
C
)
×
PSL
(
2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O} (4;\mathbb {C} )\cong \operatorname {PSL} (2;\mathbb {C} )\times \operatorname {PSL} (2;\mathbb {C} )}
SO
+
(
3
,
1
;
R
)
≅
SO
(
3
;
C
)
≅
PGL
(
2
;
C
)
≅
PSL
(
2
;
C
)
≅
PSp
(
2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3,1;\mathbb {R} )\cong \operatorname {SO} (3;\mathbb {C} )\cong \operatorname {PGL} (2;\mathbb {C} )\cong \operatorname {PSL} (2;\mathbb {C} )\cong \operatorname {PSp} (2;\mathbb {C} )}
5차원
SO
(
5
;
R
)
≅
PSO
(
5
;
R
)
≅
PUSp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5;\mathbb {R} )\cong \operatorname {PSO} (5;\mathbb {R} )\cong \operatorname {PUSp} (4)}
Spin
(
5
)
≅
USp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5)\cong \operatorname {USp} (4)}
SO
+
(
3
,
2
;
R
)
≅
PSp
(
4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3,2;\mathbb {R} )\cong \operatorname {PSp} (4;\mathbb {R} )}
6차원
SO
(
6
)
≅
SU
(
4
)
/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6)\cong \operatorname {SU} (4)/(\mathbb {Z} /2)}
PSO
(
6
)
≅
PSU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O} (6)\cong \operatorname {PSU} (4)}
Spin
(
6
)
≅
SU
(
4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in} (6)\cong \operatorname {SU} (4)}
SO
+
(
5
,
1
;
R
)
≅
PSO
+
(
5
,
1
;
R
)
≅
PSL
(
2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5,1;\mathbb {R} )\cong \operatorname {PSO} ^{+}(5,1;\mathbb {R} )\cong \operatorname {PSL} (2;\mathbb {H} )}
SO
+
(
4
,
2
;
R
)
≅
SU
(
2
,
2
)
/
(
Z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4,2;\mathbb {R} )\cong \operatorname {SU} (2,2)/(\mathbb {Z} /2)}
PSO
+
(
4
,
2
;
R
)
≅
PSU
(
2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PSO} ^{+}(4,2;\mathbb {R} )\cong \operatorname {PSU} (2,2)}
SO
+
(
3
,
3
;
R
)
≅
PSO
+
(
3
,
3
)
≅
PSL
(
4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SO} ^{+}(3,3;\mathbb {R} )\cong \operatorname {PSO} ^{+}(3,3)\cong \operatorname {PSL} (4;\mathbb {R} )}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가 표수가 2가 아닌 유한체 라고 하자. 이 경우, 주어진 차원의 벡터 공간
F
q
n
{\displaystyle \mathbb {F} _{q}^{n}}
위의 비퇴화 이차 형식 은 정확히 두 개의 동형류가 있다..
홀수 차원에서, 제곱수가 아닌
α
∈
F
q
{\displaystyle \alpha \in \mathbb {F} _{q}}
에 대하여 이 두 이차 형식은 서로 비례한다. 즉, 이 두 동형류는
Q
1
{\displaystyle Q_{1}}
과
a
Q
1
{\displaystyle aQ_{1}}
의 꼴이다 (
a
∈
F
q
{\displaystyle a\in \mathbb {F} _{q}}
는 제곱수가 아닌 임의의 원소). 따라서 이 경우 직교군
O
(
2
k
+
1
;
F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2k+1;\mathbb {F} _{q})}
은 유일하다. 반면 짝수 차원에서는 이것이 성립하지 않으며, 플러스형 과 마이너스형 두 종류로 분류된다. 비트 지표가
n
/
2
{\displaystyle n/2}
인 것을 플러스형,
n
/
2
−
1
{\displaystyle n/2-1}
인 것을 마이너스형이라고 한다. 플러스형과 마이너스형에 대응하는 직교군들은 각각
O
±
(
2
k
;
F
q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pm }(2k;\mathbb {F} _{q})}
라고 쓴다.[ 3] :69–75
표수가 2가 아닌 유한체
F
q
{\displaystyle \mathbb {F} _{q}}
(
q
=
p
k
{\displaystyle q=p^{k}}
,
p
{\displaystyle p}
소수 )의 직교군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3] :72, (3.30)–(3.32)
|
O
(
2
n
+
1
;
F
q
)
|
=
2
q
n
∏
i
=
0
n
−
1
(
q
2
n
−
q
2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2n+1;\mathbb {F} _{q})|=2q^{n}\prod _{i=0}^{n-1}(q^{2n}-q^{2i})}
|
O
+
(
2
n
;
F
q
)
|
=
2
(
q
n
−
1
)
∏
i
=
1
n
−
1
(
q
2
n
−
q
2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2n;\mathbb {F} _{q})|=2(q^{n}-1)\prod _{i=1}^{n-1}(q^{2n}-q^{2i})}
|
O
−
(
2
n
;
F
q
)
|
=
2
(
q
n
+
(
−
1
)
n
+
1
)
∏
i
=
1
n
−
1
(
q
2
n
−
q
2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O} ^{-}(2n;\mathbb {F} _{q})|=2(q^{n}+(-1)^{n+1})\prod _{i=1}^{n-1}(q^{2n}-q^{2i})}
표수가 2인 체 위의 직교군은 다음과 같은 특수한 성질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표수 2인 체 위의 이차 형식 의 연관 대칭 쌍선형 형식 은 교대 쌍선형 형식 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심플렉틱 군의 부분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