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포스
범주론, 논리학과 대수기하학에서 토포스(영어: topos, 복수형 영어: topoi 토포이[*])는 어떤 공간 위의 층들의 범주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범주이다. 토포스는 대수기하학에서는 위상 공간의 개념의 일반화로서 등장하며, 반면 논리학에서는 토포스는 집합의 범주의 일반화로서 등장한다. 이러한 다른 토포스에서도 집합의 범주와 유사한 내부 언어(영어: internal language)를 사용할 수 있다.
정의
편집토포스(영어: (elementary) topos)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범주이다.
- 유한 완비 범주이다. 즉, 모든 유한 극한이 존재한다.
- 데카르트 닫힌 범주이다.
- 부분 대상 분류자 를 갖는다.
부분 분류 대상 분류자 대신, 멱대상(영어: power object)의 개념을 도입하여 둘째 및 셋째 조건을 "모든 대상은 멱대상을 갖는다"로 대체할 수 있다.
그로텐디크 토포스
편집그로텐디크 토포스(영어: Grothendieck topos)는 위치 위의 (집합 값을 갖는) 층들의 범주와 동치인 범주이다. 이는 지로 정리(영어: Giraud’s theorem)를 사용하여 공리적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모든 그로텐디크 토포스는 토포스임을 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로 정리에 의하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범주 는 그로텐디크 토포스이다.
- 범주 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임의의 범주에서의 동치 관계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사상 이다.
동치 관계에 대하여, 두 사영 사상에 대한 쌍대동등자 를 정의할 수 있다. 표준적 사상 이 동형 사상이라면, 를 유효 동치 관계라고 한다.
준토포스
편집범주 가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킨다면, 준토포스(準topos, 영어: quasitopos)라고 한다.
- 유한 완비 범주이며 유한 쌍대 완비 범주이다.
- 국소 데카르트 닫힌 범주이다.
- 강한 부분 대상 분류자 가 존재한다.
모든 토포스는 준토포스이다. 준토포스는 토포스의 정의에서 부분 대상 분류자의 존재를 강한 부분 대상 분류자의 존재로 약화시킨 것이다.
위치 위의 층 범주 가 토포스를 이루는 것처럼, 위치 위의 분리 준층 범주 는 준토포스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작은 범주 위에 두 개의 그로텐디크 위상 및 가 주어졌으며, 가 보다 더 엉성할 때 ( ), -층인 -분리 준층들의 범주 는 준토포스를 이룬다. 이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 준토포스를 그로텐디크 준토포스(영어: Grothendieck quasitopos)라고 한다.[1] 그로텐디크 토포스에 대한 지로 정리와 마찬가지로, 그로텐디크 준토포스에 대해서도 지로 정리가 존재한다.
공간으로서의 토포스
편집토포스를 위상 공간의 일반화로 생각하여, 위상 공간 위의 여러 개념들을 토포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기하학적 사상
편집두 토포스 , 사이의 기하학적 사상(영어: geometric morphism)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반 함자쌍
이다.
- 는 모든 유한 극한을 보존한다.
기하학적 사상 에서, 만약 가 추가로 왼쪽 수반 함자
를 갖는다면, 이를 본질적 기하학적 사상(영어: essential geometric morphism)이라고 한다.
만약 와 가 위상 공간 위의 그로텐디크 토포스이며, 연속 함수 가 주어졌다면, 층의 직상 및 역상 은 기하학적 사상을 이룬다.
점
편집집합의 범주 는 한원소 공간 위의 그로텐디크 토포스 이다. 즉, 이는 한원소 토포스로 생각할 수 있다. 토포스와 기하학적 사상의 범주에서, 이는 끝 대상을 이룬다. 그로텐디크 토포스 에서 한원소 토포스 로 가는 유일한 기하학적 사상 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 상수층 함자(영어: constant sheaf functor) 는 (만약 라면) 집합 를 상수층 으로 대응시킨다.
- 대역 단면 함자(영어: global section functor) 는 대상 를 (층으로 생각하였을 때) 대역 단면 집합 으로 대응시킨다. 여기서 는 의 끝 대상(="전체 집합")이다.
토포스 의 점(點, 영어: point)은 집합의 범주에서 로 가는 기하학적 사상 이다.
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은 하나 이상의 점을 갖지만, 점을 갖지 않는 자명하지 않는 토포스가 존재한다.[2]:412, §7.4[3]
국소 연결 토포스
편집국소적으로 작은 토포스 속의 연결 대상(영어: connected object)은 사상 집합 함자
가 모든 유한 쌍대극한을 보존시키는 대상 이다.
그로텐디크 토포스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그로텐디크 토포스를 국소 연결 토포스(영어: locally connected topos)라고 한다.
- 임의의 대상 은 연결 대상들의 집합의 쌍대곱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유일한 기하학적 사상 은 본질적 기하학적 사상이다.
국소 연결 토포스 에서 한원소 토포스 로 가는 (유일한) 본질적 기하학적 사상 에서 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는 국소 연결 공간이다.
- 는 국소 연결 토포스이다.
연결 토포스
편집연결 토포스(영어: connected topos) 는 그 상수층 함자 가 충실충만한 함자인 토포스이다. 국소 연결 토포스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연결 토포스이다.
- 연결 성분 함자 는 끝 대상을 보존한다. 즉, "공간 전체" 는 하나의 연결 성분을 갖는다.
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는 연결 공간이다.
- 는 연결 토포스이다.
기본군
편집그로텐디크 토포스에 대하여, 기본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4]:§4, 123 이는 위상 공간의 기본군의 사유한 완비나, 스킴의 에탈 기본군을 일반화한다.
그로텐디크 토포스 가 주어졌을 때, 그 속에 국소 상수층들의 부분 범주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로텐디크 토포스 의 밑점(영어: base point)은 특정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유한 집합의 범주로 가는 함자 이다. (구체적으로, 이는 "사표현 가능 함자"(영어: pro-representable functor)이어야 한다.)
그로텐디크 토포스 의 밑점 가 대상 으로 표현된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로텐디크 토포스 의, 밑점 에서의 기본군 는 의 자기 동형군 이다. 이는 항상 사유한군이며, 또한 범주의 동치
논리학으로서의 토포스
편집논리적 사상
편집두 토포스 , 사이의 논리적 사상(영어: logical morphism) 는 유한 극한과 멱대상을 보존하는 함자이다.
미첼-베나부 언어
편집임의의 고차 논리 (유형 이론) 명제를 토포스 속에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의 미첼-베나부 언어(영어: Mitchell–Bénabou language)라고 하며,[5]:§VI.5 이 언어 가운데 참인 명제들의 집합을 의 내적 논리(영어: internal logic)이라고 한다. 이 경우, 직관 논리의 모든 공리들이 성립하지만, 고전적 논리는 성립하지 않는다. 또한, 선택 공리(=모든 전사 사상은 분할 전사 사상) 역시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전적 집합론은 집합의 토포스 의 논리학이다. 일반적으로, 그로텐디크 토포스 의 내적 논리에서 정의한 어떤 구조 는 (외적 논리에서) " 값의 층"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속에서 정의한 국소환은 사실 국소환 달린 공간을 정의한다. 만약 가 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룬다면 이렇게 내적 논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의 범주 가 주어졌을 때, 값의 층은 층 조건을 만족시키는 준층 와 같다). 그러나 의 정의가 대수적이지 않을 때, " 값의 층"은 "층 조건을 만족시키는 준층 "과 다르며, 전자가 옳은 정의이다 (즉, 수학적으로 더 유용하다). 예를 들어, 국소환의 경우, 극대 아이디얼이 유일하다는 조건은 존재 기호 또는 전칭 기호를 필요로 하므로, 국소환의 개념은 대수 구조 다양체를 이루지 않는다.
유형 이론
편집토포스 에서, 각 대상 은 형(영어: type)을 정의한다. 명제의 형은 부분 대상 분류자 이다. 토포스 속의 사상 는 형 를 형 로 대응시키는 변환이다. 즉, 형 의 매개변수를 갖는 형 의 대상이다. 특히, 형 의 매개변수 를 갖는 명제 는 사상 에 대응한다. 부분 대상 분류자의 성질에 의하여, 이는 의 부분 대상 에 대응한다.
논리 | 토포스 |
---|---|
형 | 대상 |
형 사이의 변환 | 사상 |
명제의 형 | 부분 대상 분류자 |
(자유 변수가 없는) 명제 | 부분 대상 분류자의 부분 대상 |
형 의 자유 변수 를 갖는 명제 | 사상 = 의 부분 대상 |
형 의 자유 변수 를 갖는 명제 의 형 | 지수 대상 |
명제의 형 (또는 )가 존재한다는 것은, 명제에 대하여 존재 기호 · 전칭 기호를 씌울 수 있음을 뜻한다. 즉, 토포스의 내적 논리는 고차 논리를 이룬다.
명제 논리
편집토포스 에서, 임의의 대상 의 부분 대상 부분 순서 집합 는 헤이팅 대수를 이룬다. (주어진 부분 순서 집합 위의 헤이팅 대수는 만약 존재한다면 유일하다. 부분 대상 분류자 의 존재에 의하여, 부분 대상 는 사상 와 동치이다.)
논리 | 헤이팅 대수 |
---|---|
명제 | 의 원소 |
참 | 의 최대 원소 |
거짓 | 의 최소 원소 |
논리합 | 의 두 원소의 이음 (상한) |
논리곱 | 의 두 원소의 만남 (하한) |
함의 | 헤이팅 대수의 함의 관계 |
부정 | 거짓의 함의 |
1차 논리
편집토포스에서, 임의의 사상 에 대하여, 이로부터 유도되는 증가 함수
를 생각하자. 부분 순서 집합을 작은 범주로 생각한다면, 토포스에서 이는 항상 왼쪽 수반 함자 및 오른쪽 수반 함자를 갖는다.
이 경우, 는 존재 기호, 는 전칭 기호에 해당한다.
논리 | 집합 | 토포스 |
---|---|---|
자유 변수 를 갖는 명제 및 함수 가 주어졌을 때, 자유 변수 를 갖는 명제 | 부분 집합 및 함수 에 대하여, | 부분 대상 에 대하여, |
자유 변수 , 인 명제 에 대하여, | 사영 에 대하여, | |
자유 변수 , 인 명제 에 대하여, | 사영 에 대하여, |
대상 속의 부분 대상
이 주어졌으며, 그 만남
이 주어졌을 때, 헤이팅 대수 에서의 헤이팅 함의 관계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는 부분 대상 에 대응하는 단사 사상이며, 는 의 최대 원소이다.
크립키-주아얄 의미론
편집토포스 위의 미첼-베나부 언어에 대하여, 크립키-주아얄 의미론(영어: Kripke–Joyal semantics)이라는 의미론이 존재한다.[5]:§VI.6 이는 솔 크립키와 앙드레 주아얄이 도입하였다.
성질
편집토포스의 공리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추가 성질들을 유도할 수 있다.
- 유한 완비 범주이다. 즉, 모든 유한 극한이 존재한다. 특히, 유한곱 및 끝 대상 이 존재한다.
- 유한 쌍대 완비 범주이다. 즉, 모든 유한 쌍대 극한(colimit)이 존재한다. 특히, 유한 쌍대곱 및 시작 대상 이 존재한다.
- 서로 비동형인 두 대상이 존재하는 토포스에서는 0과 1이 서로 동형이지 않다 (즉, 영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 부분 대상 분류자 가 존재한다.
- 임의의 두 대상 에 대하여, 지수 대상 (함수들의 집합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대상)이 존재한다. 특히, 멱대상 이 존재하며, 이에 대하여 모든 토포스는 데카르트 닫힌 범주를 이룬다.
그로텐디크 토포스는 토포스이며, 또한 다음과 같은 추가 성질을 가진다.
예
편집토포스의 예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역사
편집토포스의 개념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대수기하학과 층 이론의 관점에서 1960년대에 도입하였다.[6][7] 그로텐디크가 창안한 단어 프랑스어: topos 토포스[*] (복수 프랑스어: topoï 토포이[*])는 고대 그리스어: τόπος 토포스[*](장소, 복수 고대 그리스어: τόποι 토포이[*])에서 유래하였다.
프랜시스 윌리엄 로비어와 마일스 티어니(영어: Myles Tierney)는 수리논리학에 토포스의 개념을 응용하였고, 그로텐디크 토포스의 개념을 (기초적) 토포스로 일반화하였다.[8] 지로 정리는 장 지로(프랑스어: Jean Giraud)가 증명하였다.
각주
편집- ↑ Garner, Richard; Lack, Stephen (2012년 4월 1일). “Grothendieck quasitoposes”. 《Journal of Algebra》 (영어) 355 (1): 111–127. arXiv:1106.5331. Bibcode:2011arXiv1106.5331G. doi:10.1016/j.jalgebra.2011.12.016.
- ↑ Grothendieck, Alexander; Verdier, Jean-Louis. 〈Exposé Ⅳ. Topos〉. 《Théorie des topos et cohomologie étale des schémas. Tome 1: Théorie des topos》 (PDF). Séminaire de géométrie algébrique du Bois Marie (프랑스어) 4. doi:10.1007/BFb0081555. 2015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Barr, Michael (1974년 12월). “Toposes without points”. 《Journal of Pure and Applied Algebra》 (영어) 5 (3): 265–280. doi:10.1016/0022-4049(74)90037-1. ISSN 0022-4049.
- ↑ Grothendieck, Alexander (1971). 〈Exposé V. Le groupe fondamental: généralités〉. 《Revêtements étales et groupe fondamental》. Séminaire de géométrie algébrique du Bois Marie (프랑스어) 1. arXiv:math/0206203. doi:10.1007/BFb0058661.
- ↑ 가 나 Mac Lane, Saunders; Moerdijk, Ieke (1992). 《Sheaves in geometry and logic: a first introduction to topos theory》. Universitext (영어). Springer. doi:10.1007/978-1-4612-0927-0. ISBN 978-0-387-97710-2. ISSN 0172-5939. MR 1300636. Zbl 0822.18001.
- ↑ McLarty, Colin (1990년 9월). “The uses and abuses of the history of topos theory” (PDF). 《The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영어) 41 (3): 351–375. doi:10.1093/bjps/41.3.351. ISSN 0007-0882. JSTOR 687825. Zbl 0709.18002. 2015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Illusie, Luc (2004년 9월). “What is a ... topos?” (PDF). 《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Zbl 1071.18003.
- ↑ Bell, John Lane (2005). 〈The development of categorical logic〉 (PDF). 《Handbook of Philosophical Logic, vol. 12》 (영어). Springer. 279쪽. ISBN 978-1-4020-3091-8.
- Leinster, Tom (2010). “An informal introduction to topos theory” (영어). arXiv:1012.5647. Bibcode:2010arXiv1012.5647L.
- McLarty, Colin (1992). 《Elementary categories, elementary toposes》. Oxford Logic Guides (영어) 21.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51473-2. MR 1182992. Zbl 0762.18001.
- Barr, Michael; Wells, Charles (2005). 《Toposes, triples and theories》. Reprints in Theory and Applications of Categories (영어) 12 2판. MR 2178101. Zbl 1081.18006.
- Johnstone, Peter T. (1977). 《Topos theory》. London Mathematical Society Monographs (영어) 10. Academic Press. MR 0470019. Zbl 0368.18001.
- Johnstone, Peter T. (2002). 《Sketches of an elephant: a topos theory compendium I》. Oxford Logic Guides (영어) 43. Oxford Science Publications. ISBN 0-19-853425-6. MR 1953060. Zbl 1071.18001. 2014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 Johnstone, Peter T. (2002). 《Sketches of an elephant: a topos theory compendium II》. Oxford Logic Guides (영어) 44. Oxford Science Publications. ISBN 0-19-851598-7. MR 2063092. Zbl 1071.18002. 2014년 10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Topo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Topos”.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Baez, John (2006년 4월 12일). “Topos theory in a nutshell” (영어).
- “Sheaf and topos theory”. 《nLab》 (영어).
- “Topos”. 《nLab》 (영어).
- “Grothendieck topos”. 《nLab》 (영어).
- “Giraud's theorem”. 《nLab》 (영어).
- “Category of toposes”. 《nLab》 (영어).
- “Base topos”. 《nLab》 (영어).
- “Indexed topos”. 《nLab》 (영어).
- “Well-pointed topos”. 《nLab》 (영어).
- “Locally connected topos”. 《nLab》 (영어).
- “Connected topos”. 《nLab》 (영어).
- “Geometric morphism”. 《nLab》 (영어).
- “Essential geometric morphism”. 《nLab》 (영어).
- “Etale geometric morphism”. 《nLab》 (영어).
- Trimble, Todd (2000). “Three topos theorems in one”. 《nLab》 (영어).
- “Mitchell-Bénabou language”. 《nLab》 (영어).
- “Quasitopos”. 《nLab》 (영어).
- “Pretopos”. 《nLab》 (영어).
- Street, Ross (1978년 4월). “A survey of topos theory” (PDF)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