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비니-슈투디 계량

수학에서 푸비니-슈투디 계량(Fubini–Study metric)은 에르미트 형식이 부여된 복소 사영 공간 에 주어지는 켈러 계량이다. 의 에르미트 형식은 의 유니터리 부분 군 를 정의한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이러한 군 작용에서 불변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동차이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을 갖춘 대칭 공간이다. 계량의 정규화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리만 기하학에서는 푸비니–슈투디 계량이 단순히 (2n +1)차원 초구의 표준 계량과 관련되도록 정규화 한다. 대수 기하학에서는 정규화를 사용하여 호지 다양체로 만든다.

정의

편집

 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동차좌표  을 부여하고, 벡터

 

로 나타내자. 그렇다면 푸비니-슈투디 계량의 켈러 퍼텐셜은

 

이다. 즉, 그 리만 계량

 

이다.

구의 계량과의 관계

편집

복소수 사영 직선(리만 구)은 위상수학적으로 2차원 이다. 이 경우,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이므로, 이는 반지름이 1/2인 구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가우스 곡률은 4이다.

구성

편집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복소 사영 공간의 몫 공간 구성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의 모든 복소수 직선들로 구성된 공간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것은 곱셈 군  대각 군 작용에 의한 몫과 일치한다:

 

이 몫은  을 기본 공간  에 대한 복소수 선 다발으로 인식한다. (실제로 이것은  에 대한 소위 동어반복 다발이다. ) 따라서  의 점은 ( n +1)-튜플  의 동치류로 식별된다.  들은 점의 동차 좌표라고 한다.

게다가, 이 몫 사상을 두 단계로 실현할 수 있다: 0이 아닌 복소수  를 곱하는 것은 기하학적으로 각도  만큼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후 크기  만큼 늘리는 구성으로 유일하게 생각할 수 있다. 몫 사상  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여기서 단계 (a)는 양의 실수의 곱셈 군의 원소  에 대해  에 의한 몫이다. 단계 (b)는 회전  에 의한 몫이다.

(a)에서 몫의 결과는 방정식  . (b)의 몫은  을 실현하다. 여기서  은 회전 군을 나타낸다. 이 몫은 유명한 호프 올화  에 의해 명시적으로 실현된다. 그 들은  의 대원들 중에 있다.

계량 몫

편집

리만 다양체(또는 일반적으로 거리 공간)의 몫을 취할 때, 몫 공간이 잘 정의된 계량으로 부여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하다. 예를 들어, 군   리만 다양체  에 작용하는 경우 궤도 공간   유도 계량 을 갖기 위해서는  과 임의의 벡터장 쌍  대해  의 의미에서 궤도를 따라 일정해야 한다.

 에 대한 표준 에르미트 계량은 다음과 같이 표준 기저로 제공된다.

 

그것의 실현은  에 대한 표준 유클리드 계량이다. 이 계량은  의 대각 작용에 대해 변하므로 몫의  으로 직접 푸시다운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계량은 회전 군  의 대각 작용에서 불변한다. 따라서 위의 구성에서 (b) 단계는 (a) 단계가 완료되면 가능하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몫  에서 유도된 계량이다. 여기서  는 표준 유클리드 계량을 단위 초구로 제한하여 부여된 소위 "둥근 계량"을 수행한다.

국소적 아핀 좌표에서

편집

동차 좌표  를 갖는  의 점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유일한 좌표  가 있다.

 

특히,  ,  .  은 좌표 조각  에서  에 대한 아핀 좌표계를 형성한다.   대신 Zi로 명백한 방식으로 나누면 임의의 좌표 조각  에서 아핀 좌표계를 설정 할 수 있다. n +1 좌표 조각   을 덮고  의 아핀 좌표   측면에서 계량을 명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좌표 도함수는 틀  을 정의한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에 에르미트 성분이 있는 점에서  의 정칙 접다발

 

여기서서  . 즉, 이 틀에서 푸비니–슈투디 계량의 에르미트 행렬은 다음과 같다.

 

각 행렬 성분은 유니터리 불변이라는 점에 유의하라. 즉,  이 행렬을 바꾸지 않는다.

따라서 선 요소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 마지막 식에서 아인슈타인 표기법이 1에서  까지 범위의 라틴문자 첨자  를 합산하는 데 사용되었다.

계량은 다음 켈러 퍼텐셜에서 파생될 수 있다.[1]

 

~처럼

 

동차 좌표 사용

편집

대수 기하학의 사영 다형체를 설명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차 좌표 표기법  에서도 표현이 가능하다. 형식적으로 관련된 표현을 적절하게 해석하면

 

여기서 합 규칙은 0에서  까지의 그리스 문자 첨자  를 합산하는 데 사용되며 마지막 등식에서는 텐서의 skew 부분에 대한 표준 표기법이 사용된다.

 

이제  에 대한 이 표현은 분명히 동어반복 다발  의 전체 공간에 대한 텐서를 정의한다.  의 팽팽한 다발의 정칙 단면 σ를 따라 당겨서  의 텐서로 적절하게 이해해야 한다. 그런 다음 당김 값이 단면 선택과 독립적인지 확인해야 하다. 이것은 직접 계산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계량의 켈러 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돌보 연산자이다. 이것의 당김은 정칙 단면의 선택과 분명히 독립적이다.   켈러 퍼텐셜(켈러 스칼라라고도 함)이다.

브라켓 좌표 표기

편집

양자 역학에서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부레스 계량이라고도 한다.[2] 그러나 부레스 계량은 일반적으로 혼합 상태 표기법으로 정의되는 반면 아래 설명은 순수 상태 항으로 작성된다. 계량의 실수 부분은 피셔 정보 계량의 4배이다.[2]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양자 역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라켓 표기법을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 표기법을 위에 주어진 동차 좌표와 명시적으로 동일시하려면,

 

로 두면 된다. 여기서  힐베르트 공간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 벡터들의 집합이다.  들은 복소수이고  사영 공간  의 한 점에 대한 동차 좌표 표준 표기법이다. 그럼 두 점  ,  을 주면 공간에서 그들 사이의 거리(측지선의 길이)는

 

또는 동등하게 사영 다형체 표기법에서,

 

여기서,   켤레 복소수이다. 분모에 있는   가 단위 길이로 정규화되지 않았다.( 도 마찬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위에서 정규화가 명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 주어진 힐베르트 공간에서 거리는 두 벡터 사이의 각도로 다소 자명하게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때때로 양자 각도라고 한다. 각도는 0에서   사이의 실수 값이다.

이 계량의 무한소 형태는  을, 또는 동등하게,  를 수행하여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양자 역학의 맥락에서  블로흐 구면이라고 하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양자 역학의 기하학에 대한 자연스러운 계량이다. 양자 얽힘베리 페이즈 효과를 포함한 양자 역학의 특이한 동작의 대부분은 푸비니-슈투디 계량의 특성에 기인할 수 있다.

n = 1인 경우

편집

 일 때, 입체 사영으로 주어지는 미분 동형 사상  이 있다. 이것은 "특별한" 호프 올화  로 이어진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이  의 좌표로 작성될 때 실 접다발에 대한 제한은  의 반지름 1/2(및 가우스 곡률 4)의 일반 "둥근 계량" 표현을 생성한다.

즉, 만약  리만 구  의 표준 아핀 좌표 차트이고   의 극좌표이면

 

가 성립한다. 여기서  는 단위 구면의 둥근 계량이다. 이때,  는 입체 사영  ,  에서 오는  에 대한 "수학자의 구면 좌표계"이다.

이에 대한 켈러 형식

 

이다. 비어바인으로  ,  를 선택하면, 켈러 형식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된다.

 

호지 별 연산자를 켈러 형식에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이는  조화형식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n = 2인 경우

편집

복소 사영 평면  에 대한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중력 순간자의 중력 아날로그로 제안되었다.[3][1] 적절한 4차원 실수 좌표가 설정되면 계량, 접속 형식 및 곡률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실수 데카르트 좌표를  로 쓴 경우 4차원 구(사원수 사영 직선)에서 극좌표 제 1형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는 리 군  의 표준 왼쪽 불변 제 1형식 좌표계이다. 즉,  의 순환에 대해  이 성립한다.

해당 국소적 아핀 좌표는 다음과 같다.  ,  . 그러면,

 

일반적인 약자로  ,  .

이전에 주어진 표현식으로 시작하는 선 요소는 다음과 같이 지정된다.

 

비어바인들은 마지막 표현에서 즉시 읽을 수 있다.

 

즉, 비어바인 좌표계에서 로마자 첨자를 사용하면 계량 텐서는 유클리드이다.

 

비어바인이 주어지면 스핀 접속을 계산할 수 있다. 레비치비타 스핀 접속은 비틀림이 없고 공변적으로 상수인 유일한 접속이다. 즉, 비틀림 없는 조건

 

을 만족하는 제 1형식  이다. 그리고 공변적으로 일정하며, 이는 스핀 접속의 경우 비어바인 첨자에서 비대칭임을 의미한다.

 

위의 내용은 쉽게 해결된다:

 

곡률 제 2형식

 

과 같이 정의되고 상수이다.

 

비어바인 첨자의 리치 텐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곡률 2형은 4개 성분 텐서로 확장되었다.

 

결과적으로 리치 텐서는 상수이다.

 

따라서 아인슈타인 방정식

 

우주상수  로 풀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푸비니–슈투디 계량에 대한 바일 텐서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일 때, 제 2형식

 

들은 자기 쌍대적이다:

 

곡률 성질들

편집

 인 특별한 경우에,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2차원 구의 둥근 계량(주어진 반지름 R이 단면 곡률 을 가짐)과의 동등성에 따라 일정한 단면 곡률 4를 가진다. 그러나 n > 1인 경우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일정한 곡률을 갖지 않는다. 그 단면 곡률은 대신 방정식[4]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는 2차원 평면  의 직교 정규 기저이고,   의 복소 구조이고,  는 푸비니–슈투디 계량이다.

이 공식의 결과는 단면 곡률이 모든 2차원 평면  에 대해  을 충족한다는 것이다. 최대 단면 곡률(4)은 J (σ) ⊂ σ인 정칙 2차원 평면에서 달성되는 반면 최소 단면 곡률(1)은 J (σ)가 σ에 직교하는 2차원 평면에서 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종종 4와 같은 "일정한 정칙 단면 곡률"을 갖는다고 한다.

이것은  을 (엄격하지 않은) 쿼터 핀치 다양체로 만듭니다. 어떤 유명한 정리는 엄격하게 1/4 핀치로 단일 연결 n -다양체가 구에 대해 동형이어야 함을 보여준다.

푸비니–슈투디 계량은 자신의 리치 텐서에 비례한다는 점에서 아인슈타인 계량이기도 하다. 모든 i, j 에 대해

 

인 상수  가 존재한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푸비니–슈투디 계량이 리치 흐름 에서 스칼라 곱를 제외하고 바뀌지 않은 상태로 유지됨을 의미한다. 이 사실은 또한 진공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에 대한 자명하지 않은 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 상대성 이론 을 필수 불가결하게 만든다.

 에 대한 우주 상수  의 경우 공간의 차원으로 표시된다.

 

곱 계량

편집

푸비니–슈투디 계량에는 분리 가능성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이 적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계량은 사영 공간의 자연적 곱인 세그레 매장에서 분리할 수 있다. 만약  가 분리 가능한 상태이어서  과 같이 쓸 수 있다면, 계량은 부분 공간에 대한 계량의 합이다.

 

여기서   는 부분 공간 AB의 계량이다.

접속 및 곡률

편집

계량이 켈러 퍼텐셜에서 유도될 수 있다는 사실은 크리스토펠 기호와 곡률 텐서가 많은 대칭성을 포함하고 특히 간단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하다.[5] 국소적 아핀 좌표에서 크리스토펠 기호는 다음과 같다.

 

리만 텐서는 특히 간단하다.

 

리치 텐서

 

역사

편집

1904년에 귀도 푸비니가,[6] 1905년에 크리스티안 후고 에두아르트 슈투디(독일어: Christian Hugo Eduard Study)가[7] 독자적으로 발견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guchi, Tohru; Gilkey, Peter B.; Hanson, Andrew J. (1980). “Gravitation, gauge theories and differential geometry”. 《Physics Reports》 (Elsevier BV) 66 (6): 213–393. Bibcode:1980PhR....66..213E. doi:10.1016/0370-1573(80)90130-1. ISSN 0370-1573. 
  2. Paolo Facchi, Ravi Kulkarni, V. I. Man'ko, Giuseppe Marmo, E. C. G. Sudarshan, Franco Ventriglia "Classical and Quantum Fisher Information in the Geometrical Formulation of Quantum Mechanics" (2010), Physics Letters A 374 pp. 4801. doi 10.1016/j.physleta.2010.10.005
  3. Eguchi, Tohru; Freund, Peter G. O. (1976년 11월 8일). “Quantum Gravity and World Topology”. 《Physical Review Lette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37 (19): 1251–1254. Bibcode:1976PhRvL..37.1251E. doi:10.1103/physrevlett.37.1251. ISSN 0031-9007. 
  4. Sakai, T. Riemannian Geometry, Translations of Mathematical Monographs No. 149 (1995), American Mathematics Society.
  5. Andrew J. Hanson, Ji-PingSha, "Visualizing the K3 Surfac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06)
  6. Fubini, Guido (1904). “Sulle metriche definite da una forma Hermitiana. Nota”. 《Atti dell'Istitituto Veneto di Scienze》 (이탈리아어) 63: 501–513. JFM 35.0142.02. 
  7. Study, Eduard (1905년 9월). “Kürzeste Wege im komplexen Gebiet”. 《Mathematische Annalen》 (독일어) 60 (3). doi:10.1007/BF01457616. JFM 36.06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