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사 가군
환론에서 단사 가군(單射加群, 영어: injective module)은 이를 포함하는 모든 가군을 직합으로 쪼갤 수 있는 가군이다. 가군의 범주에서의 단사 대상이다.
정의
편집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가군을 단사 왼쪽 가군이라고 한다.
- 임의의 짧은 완전열 은 분할 완전열이다. 즉, 임의의 위의 왼쪽 가군 에 대하여 이라면, 인 부분 가군 이 존재한다.
- 는 범주 의 단사 대상이다. 즉, 함자 은 완전 함자이다.
- 임의의 가군 준동형 및 단사 가군 준동형 에 대하여, 인 가군 준동형 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유일할 필요가 없다. 즉, 보편 성질이 아니다.)
- (베어 조건 영어: Baer’s criterion) 임의의 왼쪽 아이디얼 및 가군 준동형 에 대하여, 인 가군 준동형 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가군에 대하여 단사 오른쪽 가군을 정의할 수 있다.
성질
편집임의의 왼쪽 가군들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동치이다.
- 직접곱 이 단사 왼쪽 가군이다.
- 모든 에 대하여 가 단사 왼쪽 가군이다.
유한 개의 가군의 직합은 직접곱과 같으므로, 위 성질이 성립한다.
배스-파프 정리 영어: Bass–Papp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환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1]:80–81, Theorem 3.46
분류
편집단사 가군은 데데킨트 정역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뇌터 가환환 위에서 분류될 수 있다.
데데킨트 정역
편집데데킨트 정역 위의 모든 단사 가군은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들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분해는 동형 아래 유일하다. (분해 불가능 가군은 자명하지 않은 가군들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가군이다.)
데데킨트 정역 에 대하여, 위의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들의 동형류의 집합은 위의 소 아이디얼들의 집합 와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소 아이디얼 에 대응하는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은 다음과 같다.
- 만약 일 경우:
- 만약 일 경우: 분수체
여기서 는 에서의 국소화이다. 예를 들어, 분수체 는 의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이며, 영 아이디얼 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데데킨트 정역인 정수환 위의 단사 가군 (=나눗셈군) 가운데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인 것은 다음이 전부이다.
모든 나눗셈군은 위 아벨 군들의 직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뇌터 가환환
편집뇌터 가환환 위의 모든 단사 가군은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들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분해는 동형 아래 유일하다.
뇌터 가환환 에 대하여, 위의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들의 동형류의 집합은 위의 소 아이디얼들의 집합 와 일대일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소 아이디얼 에 대응하는 분해 불가능 단사 가군은 의 단사 폐포(영어: injective hull,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단사 가군)이다. 의 단사 폐포는 표준적으로 -가군을 이루며, 의 -가군으로서의 단사 폐포는 의 -가군으로서의 단사 폐포와 일치한다.
예
편집자명 가군은 단사 가군이다. 체 위의 벡터 공간은 단사 가군이다.
임의의 정역 위에서,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단사 가군은 분수체 이다. 특히, 체가 아닌 정역은 스스로 위의 단사 가군이 아니다.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서의 환
편집몫환 은 스스로의 가군으로서 단사 가군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데데킨트 정역 의 아이디얼 에 대하여 ( ), 는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서 단사 가군이다.
모든 프로베니우스 대수는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서 단사 가군이다.
역사
편집라인홀트 베어(독일어: Reinhold Baer, 1902~1979)가 1940년에 단사 가군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또 베어 조건을 증명하였다.[2] 이후 단사 가군의 개념은 단사 대상으로 일반화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No. 189 (영어). Springer.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 ↑ Baer, Reinhold (1940). “Abelian groups that are direct summands of every containing abelian group”.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6 (10): 800–807. doi:10.1090/S0002-9904-1940-07306-9. MR 0002886. Zbl 0024.14902.
-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Springer. doi:10.1007/978-1-4612-0525-8. ISBN 978-0-387-98428-5. MR 1653294.
외부 링크
편집- “Injective modul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Injective modul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Injective module”. 《nLab》 (영어).
- “Baer's criterion”. 《nLab》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