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 포락 대수의 개념은 두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가환환
K
{\displaystyle K}
에 대한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텐서 대수
T
(
g
)
=
⨁
n
=
0
∞
g
⊗
K
n
=
K
⊕
g
⊕
g
⊗
K
g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 ({\mathfrak {g}})=\bigoplus _{n=0}^{\infty }{\mathfrak {g}}^{\otimes _{K}n}=K\oplus {\mathfrak {g}}\oplus {\mathfrak {g}}\otimes _{K}{\mathfrak {g}}\oplus \dotsb }
에 다음과 같은 원소들로 생성되는 양쪽 아이디얼
I
{\displaystyle {\mathfrak {I}}}
를 생각하자.
a
⊗
b
−
b
⊗
a
−
[
a
,
b
]
∀
a
,
b
∈
g
⊂
T
(
g
)
{\displaystyle a\otimes b-b\otimes a-[a,b]\qquad \forall a,b\in {\mathfrak {g}}\subset T({\mathfrak {g}})}
이 양쪽 아이디얼 에 대한 몫대수
U
(
g
)
=
T
(
g
)
I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frac {\operatorname {T} ({\mathfrak {g}})}{\mathfrak {I}}}}
를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보편 포락 대수
U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
라고 한다. 이는
K
{\displaystyle K}
-결합 대수 를 이룬다.
g
⊂
T
(
g
)
{\displaystyle {\mathfrak {g}}\subset \operatorname {T} ({\mathfrak {g}})}
이므로, 자연스러운
K
{\displaystyle K}
-선형 변환
g
→
U
(
g
)
{\displaystyle {\mathfrak {g}}\to U({\mathfrak {g}})}
이 존재한다.
보편 포락 대수
U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
는 텐서 대수
T
(
g
)
{\displaystyle T({\mathfrak {g}})}
로부터 자연스럽게 호프 대수 의 구조를 물려받는다. 즉, 모든
a
,
b
∈
g
{\displaystyle a,b\in {\mathfrak {g}}}
에 대하여, 호프 대수의 연산은 다음과 같다.
곱셈:
a
b
{\displaystyle ab}
단위원:
1
{\displaystyle 1}
쌍대곱:
Δ
(
a
)
=
a
⊗
1
+
1
⊗
a
{\displaystyle \Delta (a)=a\otimes 1+1\otimes a}
쌍대단위원:
ϵ
(
a
)
=
0
{\displaystyle \epsilon (a)=0}
앤티포드:
S
(
a
)
=
−
a
{\displaystyle S(a)=-a}
가환환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을 때,
K
{\displaystyle K}
-리 대수 의 범주
LieAlg
K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Alg} _{K}}
와
K
{\displaystyle K}
-결합 대수 의 범주
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Assoc} _{K}}
를 생각하자. 이 두 범주는 둘 다 대수 구조 다양체 의 범주이다. 따라서, 망각 함자
Forget
:
Assoc
K
→
LieAlg
K
{\displaystyle \operatorname {Forget} \colon \operatorname {Assoc} _{K}\to \operatorname {LieAlg} _{K}}
(
A
,
⋅
)
↦
(
A
,
[
−
,
−
]
:
(
a
,
b
)
↦
a
⋅
b
−
b
⋅
a
)
{\displaystyle (A,\cdot )\mapsto (A,[-,-]\colon (a,b)\mapsto a\cdot b-b\cdot a)}
는 왼쪽 수반 함자
U
⊣
Forget
{\displaystyle \operatorname {U} \dashv \operatorname {Forget} }
U
:
LieAlg
K
→
Asso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U} \colon \operatorname {LieAlg} _{K}\to \operatorname {Assoc} _{K}}
를 갖는다. 리 대수의, 이 함자에 대한 상 을 그 보편 포락 대수 라고 한다.
보편 포락 대수는 쌍대 가환 호프 대수 이므로, 그 쌍대 공간 은 가환환 을 이룬다. 이는 직접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라고 하자. 그렇다면, 보편 포락 대수를 정의하는
K
{\displaystyle K}
-벡터 공간의 짧은 완전열
0
I
→
T
(
g
)
→
U
(
g
)
→
0
{\displaystyle 0{\mathfrak {I}}\to \operatorname {T} ({\mathfrak {g}})\to \operatorname {U} ({\mathfrak {g}})\to 0}
은 다음과 같이 쌍대화된다. (이 경우 ‘쌍대 공간’은 등급별 쌍대 공간들로 구성된 등급 벡터 공간 이다.)
0
U
(
g
)
∗
→
T
(
g
)
∗
→
I
∗
→
0
{\displaystyle 0\operatorname {U} ({\mathfrak {g}})^{*}\to \operatorname {T} ({\mathfrak {g}})^{*}\to {\mathfrak {I}}^{*}\to 0}
여기서
T
(
g
)
∗
=
T
(
g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 ({\mathfrak {g}})^{*}=\operatorname {T} ({\mathfrak {g}}^{*})}
이며, 보편 포락 대수의 쌍대는 이러한 텐서 대수 의 부분 대수이다. 구체적으로, 보편 포락 대수의 쌍대의 원소
p
=
∑
i
=
0
p
i
∈
U
(
g
)
∗
{\displaystyle p=\sum _{i=0}p_{i}\in \operatorname {U} ({\mathfrak {g}})^{*}}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각 자연수
i
∈
N
{\displaystyle i\in \mathbb {N} }
에 대하여, 선형 변환
p
i
:
g
⊗
i
→
K
{\displaystyle p_{i}\colon {\mathfrak {g}}^{\otimes i}\to K}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sup
{
i
∈
N
:
p
i
≠
0
}
<
∞
{\displaystyle \sup\{i\in \mathbb {N} \colon p_{i}\neq 0\}<\infty }
p
2
+
m
+
n
(
x
1
,
…
,
x
m
,
y
,
z
,
w
1
,
…
,
w
n
)
−
p
2
+
m
+
n
(
x
1
,
…
,
x
m
,
z
,
y
,
w
1
,
…
,
w
n
)
=
p
1
+
m
+
n
(
x
1
,
…
,
x
m
,
[
y
,
z
]
,
w
1
,
…
,
w
n
)
∀
m
,
n
∈
N
,
x
1
,
…
,
x
m
,
y
,
z
,
w
1
,
…
,
w
n
∈
g
{\displaystyle p_{2+m+n}(x_{1},\dotsc ,x_{m},y,z,w_{1},\dotsc ,w_{n})-p_{2+m+n}(x_{1},\dotsc ,x_{m},z,y,w_{1},\dotsc ,w_{n})=p_{1+m+n}(x_{1},\dotsc ,x_{m},[y,z],w_{1},\dotsc ,w_{n})\qquad \forall m,n\in \mathbb {N} ,\;x_{1},\dotsc ,x_{m},y,z,w_{1},\dotsc ,w_{n}\in {\mathfrak {g}}}
예를 들어
p
2
(
x
,
y
)
−
p
2
(
y
,
x
)
=
p
1
(
[
x
,
y
]
)
{\displaystyle p_{2}(x,y)-p_{2}(y,x)=p_{1}([x,y])}
p
3
(
x
,
y
,
z
)
−
p
3
(
x
,
z
,
y
)
=
p
2
(
x
,
[
y
,
z
]
)
{\displaystyle p_{3}(x,y,z)-p_{3}(x,z,y)=p_{2}(x,[y,z])}
p
3
(
x
,
y
,
z
)
−
p
3
(
y
,
x
,
z
)
=
p
2
(
[
x
,
y
]
,
z
)
{\displaystyle p_{3}(x,y,z)-p_{3}(y,x,z)=p_{2}([x,y],z)}
이다. (
p
0
∈
K
{\displaystyle p_{0}\in K}
는 항등식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 위의 가환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p
q
)
0
(
)
=
p
0
(
)
q
0
(
)
{\displaystyle (pq)_{0}()=p_{0}()q_{0}()}
(
p
q
)
1
(
x
)
=
p
0
(
)
q
1
(
x
)
+
p
1
(
x
)
q
0
(
)
{\displaystyle (pq)_{1}(x)=p_{0}()q_{1}(x)+p_{1}(x)q_{0}()}
(
p
q
)
2
(
x
,
y
)
=
p
0
(
)
q
2
(
x
,
y
)
+
p
1
(
x
)
q
2
(
y
)
+
p
1
(
y
)
q
1
(
x
)
+
p
2
(
x
,
y
)
q
0
(
)
{\displaystyle (pq)_{2}(x,y)=p_{0}()q_{2}(x,y)+p_{1}(x)q_{2}(y)+p_{1}(y)q_{1}(x)+p_{2}(x,y)q_{0}()}
(
p
q
)
3
(
x
,
y
,
z
)
=
p
0
(
)
q
3
(
x
,
y
,
z
)
+
p
1
(
x
)
q
2
(
y
,
z
)
+
p
1
(
y
)
q
2
(
x
,
z
)
+
p
1
(
z
)
q
2
(
x
,
y
)
+
p
2
(
x
,
y
)
q
1
(
z
)
+
p
2
(
x
,
z
)
q
2
(
y
)
+
p
2
(
y
,
z
)
q
2
(
x
)
+
p
3
(
x
,
y
,
z
)
q
0
(
)
{\displaystyle (pq)_{3}(x,y,z)=p_{0}()q_{3}(x,y,z)+p_{1}(x)q_{2}(y,z)+p_{1}(y)q_{2}(x,z)+p_{1}(z)q_{2}(x,y)+p_{2}(x,y)q_{1}(z)+p_{2}(x,z)q_{2}(y)+p_{2}(y,z)q_{2}(x)+p_{3}(x,y,z)q_{0}()}
⋮
{\displaystyle \vdots }
일반적으로
(
p
q
)
i
{\displaystyle (pq)_{i}}
의 표현은
2
i
{\displaystyle 2^{i}}
개의 항을 갖는다. 그 항등원은
e
0
(
)
=
1
{\displaystyle e_{0}()=1}
e
i
=
0
∀
i
>
0
{\displaystyle e_{i}=0\qquad \forall i>0}
이다.
임의의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아벨 리 대수 의 보편 포락 대수는 가환환 이다.
임의의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의 보편 포락 대수는 영역 이며, 만약 추가로 비아벨 리 대수라면
U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
는 비가환환 이다 (즉, 정역 이 아니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두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
h
{\displaystyle {\mathfrak {h}}}
의 직합
g
⊕
h
{\displaystyle {\mathfrak {g}}\oplus {\mathfrak {h}}}
의 보편 포락 대수는 각 성분의 보편 포락 대수들의 (결합 대수 로서의) 텐서곱이다.[ 1] :63, Corollary 1.2.4
U
(
g
⊕
h
)
=
U
(
g
)
⊗
K
U
(
h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oplus {\mathfrak {h}})=\operatorname {U} ({\mathfrak {g}})\otimes _{K}\operatorname {U} ({\mathfrak {h}})}
푸앵카레-버코프-비트 정리 (-定理, 영어 : Poincaré–Birkhoff–Witt theorem )에 따라, 리 대수에서 그 보편 포락 대수로 가는 선형 변환 은 단사 함수 이다.
ι
g
:
g
↪
U
(
g
)
{\displaystyle \iota _{\mathfrak {g}}\colon {\mathfrak {g}}\hookrightarrow U({\mathfrak {g}})}
또한,
U
(
g
)
{\displaystyle U({\mathfrak {g}})}
는 항상
g
{\displaystyle {\mathfrak {g}}}
로부터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가환환
K
{\displaystyle K}
위의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주어졌다고 하고,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K
{\displaystyle K}
-자유 가군 이라고 하자.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하멜) 기저
B
⊆
g
{\displaystyle B\subseteq {\mathfrak {g}}}
를 고르자. 또한,
B
{\displaystyle B}
위에 임의의 전순서 를 부여하자.
그렇다면,
U
(
g
)
{\displaystyle U({\mathfrak {g}})}
역시
K
{\displaystyle K}
-자유 가군 이며, 집합
{
ι
g
(
b
1
)
ι
g
(
b
2
)
⋯
ι
g
(
b
n
)
:
n
∈
N
,
b
1
,
b
2
,
…
,
b
n
∈
B
}
{\displaystyle \left\{\iota _{\mathfrak {g}}(b_{1})\iota _{\mathfrak {g}}(b_{2})\dotsm \iota _{\mathfrak {g}}(b_{n})\colon n\in \mathbb {N} ,\;b_{1},b_{2},\dotsc ,b_{n}\in B\right\}}
은
U
(
g
)
{\displaystyle U({\mathfrak {g}})}
의 (하멜) 기저 를 이룬다. 여기서
N
=
{
0
,
1
,
2
,
…
}
{\displaystyle \mathbb {N} =\{0,1,2,\dotsc \}}
은 자연수의 집합이며, 특히
n
=
0
{\displaystyle n=0}
일 경우 0개 항의 곱은 1이다.
복소수체 위의 가약 리 대수 (영어 : reductive Lie algebra )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보편 포락 대수
U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
의 중심
Z
(
U
(
g
)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U} ({\mathfrak {g}}))}
을 생각하자. 이 경우, 바일 군
Weyl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eyl} ({\mathfrak {g}})}
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카르탕 부분 대수
h
{\displaystyle {\mathfrak {h}}}
를 고른다면,
Weyl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Weyl} ({\mathfrak {g}})}
는
h
{\displaystyle {\mathfrak {h}}}
위에 자연스럽게 작용 하며, 나아가
h
{\displaystyle {\mathfrak {h}}}
위의 다항식환 (대칭 대수)
Sym
h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mathfrak {h}}}
위에도 자연스럽게 작용한다.
하리시찬드라 동형 정리 (हरीश चन्द्र同型定理, 영어 : Harish-Chandra isomorphism theorem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결합 대수 동형 이 존재한다.
Z
(
U
g
)
)
=
(
Sym
h
)
Weyl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Z} (\operatorname {U} {\mathfrak {g}}))=(\operatorname {Sym} {\mathfrak {h}})^{\operatorname {Weyl} ({\mathfrak {g}})}}
여기서
(
Sym
h
)
Weyl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mathfrak {h}})^{\operatorname {Weyl} ({\mathfrak {g}})}}
는 바일 군 의 작용에 불변인 원소들로 구성된 불변 부분 대수를 뜻한다.
n
{\displaystyle n}
차원 복소수 단순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킬링 형식
B
∈
Sym
2
g
∗
{\displaystyle B\in \operatorname {Sym} ^{2}{\mathfrak {g}}^{*}}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임의의
B
{\displaystyle B}
-정규 직교 기저
g
=
Span
{
X
1
,
…
,
X
n
}
{\displaystyle {\mathfrak {g}}=\operatorname {Span} \{X^{1},\dots ,X^{n}\}}
B
(
X
i
,
X
j
)
=
δ
i
j
{\displaystyle B(X^{i},X^{j})=\delta ^{ij}}
가 주어졌을 때,
g
{\displaystyle {\mathfrak {g}}}
의 카시미르 불변량 (Casimir不變量, 영어 : Casimir invariant )은 다음과 같은 보편 포락 대수
U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mathfrak {g}})}
의 원소이다.
C
=
∑
i
=
1
n
B
(
X
i
,
X
j
)
∈
U
(
g
)
{\displaystyle C=\sum _{i=1}^{n}B(X^{i},X^{j})\in U({\mathfrak {g}})}
보다 일반적으로,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차원 리 대수
g
{\displaystyle {\mathfrak {g}}}
위의 대칭 쌍선형 형식
B
∈
Sym
2
g
∗
{\displaystyle B\in \operatorname {Sym} ^{2}{\mathfrak {g}}^{*}}
가 딸림표현 아래 불변이라고 하자. 즉, 다음 항등식이 성립한다고 하자.
B
(
[
X
,
Y
]
,
Z
)
+
B
(
Y
,
[
X
,
Z
]
)
=
0
∀
X
,
Y
,
Z
∈
g
{\displaystyle B([X,Y],Z)+B(Y,[X,Z])=0\qquad \forall X,Y,Z\in {\mathfrak {g}}}
그렇다면, 마찬가지로 카시미르 불변량
C
(
B
)
∈
U
(
g
)
{\displaystyle C(B)\in U({\mathfrak {g}})}
를 정의할 수 있다.
카시미르 불변량은 항상 보편 포락 대수의 중심 에 속한다.
K
=
R
{\displaystyle K=\mathbb {R} }
일 경우, 단일 연결 리 군
G
{\displaystyle G}
의 리 대수
Li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G)}
위의 불변 대칭 쌍선형 형식
B
{\displaystyle B}
는
G
{\displaystyle G}
위의 리만 계량 을 정의하며, 이에 대한 카시미르 불변량은
G
{\displaystyle G}
위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Δ
B
{\displaystyle \Delta _{B}}
와 같다.
1880년대에 알프레도 카펠리(이탈리아어 : Alfredo Capelli )가 리 대수
g
l
(
n
;
K
)
{\displaystyle {\mathfrak {gl}}(n;K)}
에 대한 푸앵카레-버코프-비트 정리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았다. 1900년에 앙리 푸앵카레 가 푸앵카레-버코프-비트 정리를 임의의 리 대수 에 대하여 증명하였다.[ 2] 그러나 푸앵카레의 논문 역시 한동안 잘 알려지지 못했다.
이후 1937년에 개릿 버코프 [ 3] 와 에른스트 비트 [ 4] 가 독자적으로 푸앵카레-버코프-비트 정리를 재발견하였다. (버코프와 비트 둘 다 카펠리 및 푸앵카레의 업적을 인용하지 않았다.) 이후 이 정리는 “버코프-비트 정리”로 불리다가, 1960년에 니콜라 부르바키 가 이를 “푸앵카레-버코프-비트 정리”(프랑스어 : théorème de Poincaré–Birkhoff–Witt )로 일컫기 시작하였다.[ 5]
하리시찬드라 동형 정리는 하리시찬드라 가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