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 에서 그라스만 다양체 (Graßmann多樣體, 영어 : Grassmannian )는 어떤 선형 공간 의 주어진 차원의 부분 선형 공간들을 분류하는 모듈라이 공간 이다.
그라스만 다양체 Gr (k , V ) 는 n -차원 선형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모든 k -차원 부분 선형 공간들의 집합이 이루는 다양체다. 예를 들어, Gr (1, V ) 는
V
{\displaystyle V}
의 원점을 지나는 모든 직선들의 집합이다. 즉
V
{\displaystyle V}
로부터 얻은 사영공간 과 같다.
V
{\displaystyle V}
가 실수 또는 복소수 선형 공간인 경우 그라스마니안은 매끄러운 콤팩트 다양체이다.[ 3] 일반적으로는
k
(
n
−
k
)
{\displaystyle k(n-k)}
차원 매끄러운 대수 다형체 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명하지 않은 그라스마니안에 대한 최초의 작업은
Gr
(
2
,
R
4
)
{\displaystyle {\text{Gr}}(2,\mathbb {R} ^{4})}
에 해당하는 사영 3-공간에서 사영 직선 집합을 연구하고 현재 플뤼커 좌표라고 하는 것으로 매개변수화한 율리우스 플뤼커 에 의한 것이다. 헤르만 그라스만 은 나중에 일반적으로 개념을 도입했다.
그라스마니안에 대한 표기법은 저자마다 다르다. 표기법에는
Gr
k
(
V
)
{\displaystyle {\text{Gr}}_{k}(V)}
,
Gr
(
k
,
V
)
{\displaystyle {\text{Gr}}(k,V)}
,
Gr
k
(
n
)
{\displaystyle {\text{Gr}}_{k}(n)}
또는
Gr
(
k
,
n
)
{\displaystyle {\text{Gr}}(k,n)}
포함되어
n
{\displaystyle n}
차원 선형 공간
V
{\displaystyle V}
의
k
{\displaystyle k}
차원 부분 공간의 그라스마니안을 나타낸다.
k
=
1
{\displaystyle k=1}
의 경우 그라스마니안
Gr
(
1
,
n
)
{\displaystyle {\text{Gr}}(1,n)}
는
n
{\displaystyle n}
차원 공간에서 원점을 통과하는 선들의 공간이므로
n
−
1
{\displaystyle n-1}
차원의 사영 공간 과 동일하다.
k
=
2
{\displaystyle k=2}
인 경우 그라스마니안은 원점을 포함하는 모든 2차원 평면의 공간이다. 유클리드 3-공간에서 원점을 포함하는 평면은 해당 평면에 수직 인 원점을 통과하는 유일한 선(및 그 반대)으로 완전히 특성화된다. 따라서 공간
Gr
(
2
,
3
)
{\displaystyle {\text{Gr}}(2,3)}
,
Gr
(
1
,
3
)
{\displaystyle {\text{Gr}}(1,3)}
, 사영 평면 P 2 는 모두 같다.
사영 공간이 아닌 가장 단순한 그라스마니안은
Gr
(
2
,
4
)
{\displaystyle {\text{Gr}}(2,4)}
이다.
V
{\displaystyle V}
를 체 K 위의
n
{\displaystyle n}
차원 선형 공간이라고 하자. 그라스마니안
Gr
(
k
,
V
)
{\displaystyle {\text{Gr}}(k,V)}
는
V
{\displaystyle V}
의 모든
k
{\displaystyle k}
차원 선형 부분 공간들의 집합이다. 그라스마니안은 또한
Gr
(
k
,
n
)
{\displaystyle {\text{Gr}}(k,n)}
또는
Gr
k
(
n
)
{\displaystyle {\text{Gr}}_{k}(n)}
로 표시된다.
그라스마니안
Gr
k
(
V
)
{\displaystyle {\text{Gr}}_{k}(V)}
에 미분 다양체의 구조를 부여하기 위해
V
{\displaystyle V}
에 대한 기저를 선택하자. 이것은 열 벡터
(
e
1
,
…
,
e
n
)
{\displaystyle (e_{1},\dots ,e_{n})}
과 같이 표시되는 표준 기저를 통해
V
=
K
n
{\displaystyle V=K^{n}}
으로 식별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런 다음
Gr
k
(
V
)
{\displaystyle {\text{Gr}}_{k}(V)}
의 원소로 볼 수 있는 임의의
k
{\displaystyle k}
차원 부분 공간
w
⊂
V
{\displaystyle w\subset V}
에 대해
k
{\displaystyle k}
선형 독립 열 벡터들
W
1
,
…
,
W
k
{\displaystyle W_{1},\dots ,W_{k}}
로 구성된 기저를 선택할 수 있다. 원소
w
∈
Gr
k
(
V
)
{\displaystyle w\in {\text{Gr}}_{k}(V)}
의 동차 좌표 는
W
i
{\displaystyle W_{i}}
,
i
=
1
,
…
,
k
{\displaystyle i=1,\dots ,k}
가 열벡터인 최대 랭크를 가진
n
×
k
{\displaystyle n\times k}
행렬
W
{\displaystyle W}
의 성분들로 이뤄져 있다. 기저의 선택은 임의적이므로 두 개의 최대 랭크 행렬
W
{\displaystyle W}
과
W
~
{\displaystyle {\tilde {W}}}
는 성분이 K 의 원소인
k
×
k
{\displaystyle k\times k}
가역 행렬들이 이루는 일반 선형 군의 어떤 원소
g
∈
GL
(
k
,
K
)
{\displaystyle g\in {\text{GL}}(k,K)}
에 대해
W
~
=
W
g
{\displaystyle {\tilde {W}}=Wg}
가 성립하는 경우에, 그리고 그때에만 동일한 원소
w
∈
Gr
k
(
V
)
{\displaystyle w\in {\text{Gr}}_{k}(V)}
를 나타낸다.
이제 좌표 아틀라스를 정의한다. 임의의
n
×
k
{\displaystyle n\times k}
행렬
W
{\displaystyle W}
에 대해 기본 열 연산 을 적용하여 축약된 열 사다리꼴 행렬 을 얻을 수 있다.
W
{\displaystyle W}
의 처음
k
{\displaystyle k}
행이 선형 독립인 경우 결과는 다음 행렬이다.
[
1
1
⋱
1
a
1
,
1
⋯
⋯
a
1
,
k
⋮
⋮
a
n
−
k
,
1
⋯
⋯
a
n
−
k
,
k
]
.
{\displaystyle {\begin{bmatrix}1\\&1\\&&\ddots \\&&&1\\a_{1,1}&\cdots &\cdots &a_{1,k}\\\vdots &&&\vdots \\a_{n-k,1}&\cdots &\cdots &a_{n-k,k}\end{bmatrix}}.}
(
n
−
k
)
×
k
{\displaystyle (n-k)\times k}
행렬
A
=
(
a
i
j
)
{\displaystyle A=(a_{ij})}
은
w
{\displaystyle w}
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첫 번째
k
{\displaystyle k}
행은 독립적일 필요는 없지만 랭크가
k
{\displaystyle k}
인
W
{\displaystyle W}
의 경우,
W
{\displaystyle W}
의
i
1
,
…
,
i
k
{\displaystyle i_{1},\ldots ,i_{k}}
번째 행으로 구성된 부분행렬
W
i
1
,
…
,
i
k
{\displaystyle W_{i_{1},\dots ,i_{k}}}
은 비특이인 정렬된 정수 집합
1
≤
i
1
<
⋯
<
i
k
≤
n
{\displaystyle 1\leq i_{1}<\cdots <i_{k}\leq n}
이 존재한다. 열 연산을 적용하여 이 부분행렬을 항등원으로 축약 할 수 있으며 나머지 성분은 유일하게
w
{\displaystyle w}
에 해당한다. 따라서 다음 문단과 같은 정의가 있다:
순서가 지정된 각 정수 집합
1
≤
i
1
<
⋯
<
i
k
≤
n
{\displaystyle 1\leq i_{1}<\cdots <i_{k}\leq n}
, 에 대해,
U
i
1
,
…
,
i
k
{\displaystyle U_{i_{1},\dots ,i_{k}}}
를
k
×
k
{\displaystyle k\times k}
부분 행렬
W
i
1
,
…
,
i
k
{\displaystyle W_{i_{1},\dots ,i_{k}}}
이 특이행렬이 아닌
n
×
k
{\displaystyle n\times k}
행렬
W
{\displaystyle W}
들의 집합이라 하자. 여기서
W
i
1
,
…
,
i
k
{\displaystyle W_{i_{1},\dots ,i_{k}}}
의 j 번째 행은
W
{\displaystyle W}
의 i j 번째 행이다.
U
i
1
,
…
,
i
k
{\displaystyle U_{i_{1},\dots ,i_{k}}}
위의 좌표 함수는
W
{\displaystyle W}
를 행이 행렬
W
W
i
1
,
…
,
i
k
−
1
{\displaystyle WW_{i_{1},\dots ,i_{k}}^{-1}}
의 행인
(
n
−
k
)
×
k
{\displaystyle (n-k)\times k}
직사각형 행렬로 보내는 사상
A
i
1
,
…
,
i
k
{\displaystyle A^{i_{1},\dots ,i_{k}}}
으로 정의된다. 보완
(
i
1
,
…
,
i
k
)
{\displaystyle (i_{1},\dots ,i_{k})}
. 원소
w
∈
Gr
k
(
V
)
{\displaystyle w\in {\text{Gr}}_{k}(V)}
나타내는 동차 좌표 행렬
W
{\displaystyle W}
의 선택은 좌표 행렬의 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A
i
1
,
…
,
i
k
{\displaystyle A^{i_{1},\dots ,i_{k}}}
좌표 이웃에서
w
{\displaystyle w}
나타내는
U
i
1
,
…
,
i
k
{\displaystyle U_{i_{1},\dots ,i_{k}}}
. 또한, 좌표 행렬
A
i
1
,
…
,
i
k
{\displaystyle A^{i_{1},\dots ,i_{k}}}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으며 다음에서 미분 동형 사상을 정의한다.
U
i
1
,
…
,
i
k
{\displaystyle U_{i_{1},\dots ,i_{k}}}
K 값
(
n
−
k
)
×
k
{\displaystyle (n-k)\times k}
행렬의 공간에.
두 좌표 이웃들의 교집합
U
i
1
,
…
,
i
k
∩
U
j
1
,
…
,
j
k
{\displaystyle U_{i_{1},\dots ,i_{k}}\cap U_{j_{1},\dots ,j_{k}}}
에서 좌표 행렬 값은 추이 관계
A
i
1
,
…
,
i
k
W
i
1
,
…
,
i
k
=
A
j
1
,
…
,
j
k
W
j
1
,
…
,
j
k
{\displaystyle A^{i_{1},\dots ,i_{k}}W_{i_{1},\dots ,i_{k}}=A^{j_{1},\dots ,j_{k}}W_{j_{1},\dots ,j_{k}}}
에 의해 관련된다. 여기서
W
i
1
,
…
,
i
k
{\displaystyle W_{i_{1},\dots ,i_{k}}}
,
W
j
1
,
…
,
j
k
{\displaystyle W_{j_{1},\dots ,j_{k}}}
는 둘 다 가역이다. 따라서 추이 함수는 다항식의 몫이라도 미분 가능하다. 따라서
(
U
i
1
,
…
,
i
k
,
A
i
1
,
…
,
i
k
)
{\displaystyle (U_{i_{1},\dots ,i_{k}},A^{i_{1},\dots ,i_{k}})}
는
Gr
k
(
V
)
{\displaystyle {\text{Gr}}_{k}(V)}
의 아틀라스를 미분 가능 또는 심지어 대수적 다형체로 제공한다.
실수 다양체로서 실수 또는 복소수 그라스마니안을 정의하는 다른 방법은 전체 랭크의 명시적 방정식으로 정의되는 명시적 직교 사영 집합로 간주하는 것이다( Milnor & Stasheff (1974) harv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MilnorStasheff1974 (help ) 문제 5-C). 이를 위해
V
{\displaystyle V}
의 스칼라 체가 실수인지 복소수인지에 따라 양의 정부호 실수 또는 에르미트 내적
⟨
⋅
,
⋅
⟩
{\displaystyle \langle \cdot ,\cdot \rangle }
을 선택한다.
k
{\displaystyle k}
차원 부분공간
U
{\displaystyle U}
는 이제 랭크
k
{\displaystyle k}
인 유일한 직교 사영
P
U
{\displaystyle P_{U}}
을 결정한다. 반대로 모든 랭크
k
{\displaystyle k}
사영
P
{\displaystyle P}
는 해당 상
U
P
=
I
m
(
P
)
{\displaystyle U_{P}=\mathrm {Im} (P)}
로 부분 공간을 정의한다. 사영의 경우 랭크는 대각합와 같으므로 그라스마니안을 명시적인 사영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G
r
(
k
,
V
)
=
{
P
∈
E
n
d
(
V
)
∣
P
=
P
2
=
P
∗
,
t
r
(
P
)
=
k
}
{\displaystyle \mathrm {Gr} (k,V)=\left\{P\in \mathrm {End} (V)\mid P=P^{2}=P^{*},\,\mathrm {tr} (P)=k\right\}}
특히
V
=
R
n
{\displaystyle V=\mathbb {R} ^{n}}
또는
V
=
C
n
{\displaystyle V=\mathbb {C} ^{n}}
로 놓으면 이것은 각각의 행렬 공간
R
n
×
n
{\displaystyle \mathbb {R} ^{n\times n}}
,
C
n
×
n
{\displaystyle \mathbb {C} ^{n\times n}}
에 그라스마니안을 매장하기 위한 완전히 명시적인 방정식을 제공한다. 이것은 그라스마니안을 구의 닫힌 부분 집합으로 정의하므로
{
X
∈
E
n
d
(
V
)
∣
t
r
(
X
X
∗
)
=
k
}
{\displaystyle \{X\in \mathrm {End} (V)\mid \mathrm {tr} (XX^{*})=k\}}
이것은 그라스마니안이 콤팩트 하우스도르프임을 확인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이 구성은 또한 그라스마니안을 거리 공간 으로 만든다.
V
{\displaystyle V}
의 부분 공간
W
{\displaystyle W}
에 대해 PW 를
W
{\displaystyle W}
에 대한
V
{\displaystyle V}
의 사영이라고 하자. 그러면,
d
(
W
,
W
′
)
=
‖
P
W
−
P
W
′
‖
.
{\displaystyle d(W,W')=\lVert P_{W}-P_{W'}\rVert .}
여기서
|
⋅
|
{\displaystyle |\cdot |}
는 연산자 노름 을 나타내며
Gr
(
r
,
V
)
{\displaystyle {\text{Gr}}(r,V)}
에 대한 거리이다. 사용된 정확한 내적은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다른 내적은
V
{\displaystyle V}
에 대해 동등한 노름을 제공하고 따라서 동등한 거리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라스마니안에 기하학적 구조를 부여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동차 공간 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먼저 일반 선형 군
G
L
(
V
)
{\displaystyle \mathrm {GL} (V)}
이
r
{\displaystyle r}
차원 부분 공간
V
{\displaystyle V}
에 추이적으로 작용 한다. 따라서 만약
W
⊂
V
{\displaystyle W\subset V}
가
r
{\displaystyle r}
차원 선형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부분공간이고
H
=
s
t
a
b
(
W
)
{\displaystyle H=\mathrm {stab} (W)}
가 이 작용에서 안정자 집합이면,
G
r
(
r
,
V
)
=
G
L
(
V
)
/
H
{\displaystyle \mathrm {Gr} (r,V)=\mathrm {GL} (V)/H}
가 성립한다. 기본 체가
R
{\displaystyle \mathbb {R} }
또는
C
{\displaystyle \mathbb {C} }
이고
G
L
(
V
)
{\displaystyle \mathrm {GL} (V)}
가 리 군 으로 여겨지면 이 구성은 그라스마니안을 매끄러운 다양체로 만든다. 더 일반적으로, 기저 체
k
{\displaystyle k}
위에서, 군
G
L
(
V
)
{\displaystyle \mathrm {GL} (V)}
는 대수적 군이며, 이 구성은 그라스마니안이 비특이 대수적 다형체 임을 보여준다. 플뤼커 매장의 존재로 인해 그라스마니안이 대수적 다형체로서 완비이다. 특히,
H
{\displaystyle H}
는
G
L
(
V
)
{\displaystyle \mathrm {GL} (V)}
의 포물선 부분군 이다.
R
{\displaystyle \mathbb {R} }
또는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에 이 구성을 만들기 위해 다른 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일을 끝내려면
R
{\displaystyle \mathbb {R} }
-선형공간
V
{\displaystyle V}
에 내적
q
{\displaystyle q}
를 고정한다. 직교 군
O
(
V
,
q
)
{\displaystyle O(V,q)}
는
k
{\displaystyle k}
차원 부분 공간 집합
Gr
(
k
,
V
)
{\displaystyle {\text{Gr}}(k,V)}
에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k
{\displaystyle k}
-공간
W
{\displaystyle W}
의 안정자는
O
(
W
,
q
|
W
)
×
O
(
W
⊥
,
q
|
W
⊥
)
{\displaystyle O(W,q|_{W})\times O(W^{\perp },q|_{W^{\perp }})}
이다. 이것은 동차 공간
G
r
(
r
,
V
)
=
O
(
V
,
q
)
/
(
O
(
W
,
q
|
W
)
×
O
(
W
⊥
q
|
W
⊥
)
)
{\displaystyle \mathrm {Gr} (r,V)=O(V,q)/\left(O(W,q|_{W})\times O(W^{\perp }q|_{W^{\perp }})\right)}
.
으로서의 설명을 제공한다. 만약
V
=
R
n
{\displaystyle V=\mathbb {R} ^{n}}
,
W
=
R
r
↪
R
n
{\displaystyle W=\mathbb {R} ^{r}\hookrightarrow \mathbb {R} ^{n}}
로 둔다면 동형 사상
G
r
(
r
,
n
)
=
O
(
n
)
/
(
O
(
r
)
×
O
(
n
−
r
)
)
{\displaystyle \mathrm {Gr} (r,n)=O(n)/\left(O(r)\times O(n-r)\right)}
을 얻는다. C 위에서도 마찬가지로 에르미트 내적
h
{\displaystyle h}
을 선택한다. 그리고 유니터리 군
U
(
V
,
h
)
{\displaystyle U(V,h)}
가 추이적으로 작용하고 비슷하게
G
r
(
r
,
V
)
=
U
(
V
,
h
)
/
(
U
(
W
,
h
|
W
)
×
U
(
W
⊥
|
W
⊥
)
)
{\displaystyle \mathrm {Gr} (r,V)=U(V,h)/\left(U(W,h|_{W})\times U(W^{\perp }|_{W^{\perp }})\right)}
를 찾는다. 또는
V
=
C
n
{\displaystyle V=\mathbb {C} ^{n}}
,
W
=
C
r
↪
C
n
{\displaystyle W=\mathbb {C} ^{r}\hookrightarrow \mathbb {C} ^{n}}
에 대해
G
r
(
r
,
n
)
=
U
(
n
)
/
(
U
(
r
)
×
U
(
n
−
r
)
)
{\displaystyle \mathrm {Gr} (r,n)=U(n)/\left(U(r)\times U(n-r)\right)}
특히, 이는 그라스마니안이 콤팩트이고 (실수 또는 복소수) 그라스마니안의 (실수 또는 복소수) 차원이
r
(
n
−
r
)
{\displaystyle r(n-r)}
임을 다시 보여준다.
Gr
(
r
,
R
n
)
{\displaystyle {\text{Gr}}(r,\mathbb {R} ^{n})}
를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r
{\displaystyle r}
차원 부분 공간의 그라스마니안이라 하자.
M
(
n
,
R
)
{\displaystyle {\text{M}}(n,\mathbb {R} )}
을 실수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의 공간이라 하자. 다음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X
∈
A
(
r
,
n
)
{\displaystyle X\in A(r,n)}
로 정의되는 행렬들의 집합
A
(
r
,
n
)
⊂
M
(
n
,
R
)
{\displaystyle A(r,n)\subset {\text{M}}(n,\mathbb {R} )}
을 고려하자.
X
{\displaystyle X}
는 사영 연산자이다:
X
{\displaystyle X}
는 대칭이다:.
X
{\displaystyle X}
의 대각합은
r
{\displaystyle r}
이다.
X
∈
A
(
r
,
n
)
{\displaystyle X\in A(r,n)}
를
X
{\displaystyle X}
의 열공간으로 보내는 일대일 대응으로,
A
(
r
,
n
)
{\displaystyle A(r,n)}
과
Gr
(
r
,
R
n
)
{\displaystyle {\text{Gr}}(r,\mathbb {R} ^{n})}
은 위상 동형이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스킴
S
{\displaystyle S}
S
{\displaystyle S}
위의 준연접층
E
{\displaystyle {\mathcal {E}}}
자연수
r
∈
N
{\displaystyle r\in \mathbb {N} }
그렇다면 임의의
S
{\displaystyle S}
위의 스킴
T
/
S
{\displaystyle T/S}
에 대하여,
O
S
{\displaystyle {\mathcal {O}}_{S}}
-가군층
E
T
=
E
⊗
O
S
O
T
{\displaystyle {\mathcal {E}}_{T}={\mathcal {E}}\otimes _{{\mathcal {O}}_{S}}{\mathcal {O}}_{T}}
을 정의할 수 있다. 그 몫가군층들 가운데, 계수
r
{\displaystyle r}
인 국소 자유 가군층 인 것들의 집합 을
Gr
(
r
,
E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r,{\mathcal {E}}_{T})}
라고 하자. 이는 함자
Gr
(
r
,
E
−
)
:
(
Sch
/
S
)
op
→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r,{\mathcal {E}}_{-})\colon (\operatorname {Sch} /S)^{\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를 정의한다. 이 함자는 표현 가능 함자 이며, 그 표현은 분리
S
{\displaystyle S}
-스킴
Gr
S
(
r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S}(r,{\mathcal {E}})}
으로 잡을 수 있다. 이를 그라스만 스킴 이라고 한다.
표현 가능 함자의 정의에 따라서 표준적인 스킴 동형
Gr
(
r
,
E
)
×
S
T
≃
Gr
(
r
,
E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r,{\mathcal {E}})\times _{S}T\simeq \operatorname {Gr} (r,{\mathcal {E}}_{T})}
이 존재한다.
E
=
O
S
⊕
n
{\displaystyle {\mathcal {E}}={\mathcal {O}}_{S}^{\oplus n}}
이며
r
=
1
{\displaystyle r=1}
인 경우, 그라스만 스킴
Gr
S
(
1
,
O
S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S}(1,{\mathcal {O}}_{S}^{\oplus n})}
은 사영 공간
P
S
n
{\displaystyle \mathbb {P} _{S}^{n}}
과 같다.
고전적인 경우는 어떤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하여
S
=
Spec
K
{\displaystyle S=\operatorname {Spec} K}
이며
E
{\displaystyle {\mathcal {E}}}
가
K
{\displaystyle K}
위의 선형 공간
V
{\displaystyle V}
에 의하여 주어질 때이다. 즉,
Γ
(
Spec
K
;
E
)
=
V
{\displaystyle \Gamma (\operatorname {Spec} K;{\mathcal {E}})=V}
인 경우이다. 이 경우, 그라스만 스킴
Gr
K
(
r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K}(r,V)}
의
K
{\displaystyle K}
-점들은
V
{\displaystyle V}
속의
r
{\displaystyle r}
차원 부분 선형 공간들과 일대일 대응 한다. 특히,
V
{\displaystyle V}
가 유한 차원 실수 선형 공간일 경우, 그라스만 스킴은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의 구조를 가진다.
V
{\displaystyle V}
가 유한 차원 복소수 선형 공간일 경우, 그라스만 스킴은 콤팩트 복소다양체 의 구조를 가진다.
K
{\displaystyle K}
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 이며,
V
{\displaystyle V}
가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K}
-선형 공간일 경우, 그라스만 스킴은
K
{\displaystyle K}
위의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 의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사영 공간으로의 매장은 플뤼커 매장으로 주어진다.
그라스만 스킴은 함자를 나타내므로 보편 대상
G
{\displaystyle {\mathcal {G}}}
과 함께 제공된다.
G
{\displaystyle {\mathcal {G}}}
는
G
r
(
r
,
E
G
r
(
r
,
E
)
)
{\displaystyle \mathbf {Gr} \left(r,{\mathcal {E}}_{\mathbf {Gr} (r,{\mathcal {E}})}\right)}
의 대상이다. 따라서
E
G
r
(
r
,
E
)
{\displaystyle {\mathcal {E}}_{\mathbf {Gr} (r,{\mathcal {E}})}}
의 몫 가군
G
{\displaystyle {\mathcal {G}}}
는
G
r
(
r
,
E
)
{\displaystyle \mathbf {Gr} (r,{\mathcal {E}})}
위의 랭크
r
{\displaystyle r}
국소 자유 가군이다. 몫 준동형 사상은 사영 다발
P
(
G
)
{\displaystyle \mathbf {P} ({\mathcal {G}})}
에서 닫힌 매몰을 유도한다:
P
(
G
)
→
P
(
E
G
r
(
r
,
E
)
)
=
P
(
E
)
×
S
G
r
(
r
,
E
)
.
{\displaystyle \mathbf {P} ({\mathcal {G}})\to \mathbf {P} \left({\mathcal {E}}_{\mathbf {Gr} (r,{\mathcal {E}})}\right)=\mathbf {P} ({\mathcal {E}})\times _{S}\mathbf {Gr} (r,{\mathcal {E}}).}
S
{\displaystyle S}
-스킴의 모든 사상:
T
→
G
r
(
r
,
E
)
{\displaystyle T\to \mathbf {Gr} (r,{\mathcal {E}})}
에 대해, 이 닫힌 몰입은 닫힌 몰입을 유도한다.
P
(
G
T
)
→
P
(
E
)
×
S
T
{\displaystyle \mathbf {P} ({\mathcal {G}}_{T})\to \mathbf {P} ({\mathcal {E}})\times _{S}T}
반대로, 그러한 닫힌 몰입은
E
T
{\displaystyle {\mathcal {E}}_{T}}
에서 랭크
r
{\displaystyle r}
의 국소적 자유 가군으로 가는
O
T
{\displaystyle O_{T}}
-가군의 전사 동형에서 비롯된다.[ 4] 따라서,
G
r
(
r
,
E
)
(
T
)
{\displaystyle \mathbf {Gr} (r,{\mathcal {E}})(T)}
의 원소들은
P
(
E
)
×
S
T
{\displaystyle \mathbf {P} ({\mathcal {E}})\times _{S}T}
에서 정확히 랭크
r
{\displaystyle r}
의 사영 부분 다발이다. 이 식별에서
T
=
S
{\displaystyle T=S}
는 체
k
{\displaystyle k}
의 스펙트럼이고
E
{\displaystyle {\mathcal {E}}}
는 선형 공간
V
{\displaystyle V}
에 의해 주어지며, 유리점의 집합
G
r
(
r
,
E
)
(
k
)
{\displaystyle \mathbf {Gr} (r,{\mathcal {E}})(k)}
는
P
(
V
)
{\displaystyle \mathbf {P} (V)}
의
r
−
1
{\displaystyle r-1}
차원
r
−
1
{\displaystyle r-1}
사영 선형 부분공간에 해당하고
P
(
V
)
×
k
G
r
(
r
,
E
)
{\displaystyle \mathbf {P} (V)\times _{k}\mathbf {Gr} (r,{\mathcal {E}})}
안의
P
(
G
)
(
k
)
{\displaystyle \mathbf {P} ({\mathcal {G}})(k)}
의 상은 집합
{
(
x
,
v
)
∈
P
(
V
)
(
k
)
×
G
r
(
r
,
E
)
(
k
)
∣
x
∈
v
}
{\displaystyle \left\{(x,v)\in \mathbf {P} (V)(k)\times \mathbf {Gr} (r,{\mathcal {E}})(k)\mid x\in v\right\}}
이다.
임의의 스킴
S
{\displaystyle S}
위의 준연접층
E
{\displaystyle {\mathcal {E}}}
및 자연수
r
∈
N
{\displaystyle r\in \mathbb {N} }
에 대하여, 그라스만 스킴
Gr
S
(
r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S}(r,{\mathcal {E}})}
의 구조 사상
Gr
S
(
r
,
E
)
→
S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S}(r,{\mathcal {E}})\to S}
는 분리 사상 이다. 만약
E
{\displaystyle {\mathcal {E}}}
가 추가로 유한 생성 가군층 이라면, 이는 사영 사상 이다.
임의의 스킴 사상
f
:
S
→
S
′
{\displaystyle f\colon S\to S'}
에 대하여, 스킴의 표준적 동형 사상
Gr
S
(
r
,
E
)
×
S
S
′
≅
Gr
S
′
(
r
,
f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S}(r,{\mathcal {E}})\times _{S}S'\cong \operatorname {Gr} _{S'}(r,f_{*}{\mathcal {E}})}
이 존재한다. 특히, 임의의 점
s
∈
S
{\displaystyle s\in S}
에 대하여, 표준적 스킴 사상
Spec
κ
(
s
)
→
S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appa (s)\to S}
를 통하여 동형 사상
Gr
S
(
r
,
E
)
×
S
κ
(
s
)
≅
Gr
κ
(
s
)
(
r
,
E
⊗
O
S
κ
(
s
)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S}(r,{\mathcal {E}})\times _{S}\kappa (s)\cong \operatorname {Gr} _{\kappa (s)}(r,{\mathcal {E}}\otimes _{{\mathcal {O}}_{S}}\kappa (s))}
이 존재한다. 여기서
κ
(
s
)
{\displaystyle \kappa (s)}
는
s
{\displaystyle s}
에서
S
{\displaystyle S}
의 국소 가환환
O
S
,
s
{\displaystyle {\mathcal {O}}_{S,s}}
의 (스스로의 유일한 극대 아이디얼 에 대한) 잉여류체 이다. 이 동형에서 우변은 (무한 차원일 수 있는)
κ
(
s
)
{\displaystyle \kappa (s)}
-선형 공간 의 그라스만 다양체이므로, 일반적 그라스만 스킴은 고전적 그라스만 다양체들의 족(族)으로 여길 수 있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체
K
{\displaystyle K}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K}
-선형 공간
V
{\displaystyle V}
자연수
r
∈
N
{\displaystyle r\in \mathbb {N} }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동형 사상이 존재한다.
Gr
K
(
r
,
V
)
≅
Gr
K
(
dim
K
V
−
r
,
V
∨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K}(r,V)\cong \operatorname {Gr} _{K}(\dim _{K}V-r,V^{\vee })}
W
↦
ker
W
=
{
α
∈
V
∨
:
⟨
α
,
W
⟩
=
0
}
{\displaystyle W\mapsto \ker W=\{\alpha \in V^{\vee }\colon \langle \alpha ,W\rangle =0\}}
여기서
V
∨
{\displaystyle V^{\vee }}
는 쌍대 공간 이다.
체
K
{\displaystyle K}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스펙트럼
Spec
K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K}
은 한원소 공간 이며, 그 위의 가군층 은
K
{\displaystyle K}
위의 선형 공간 이다. 또한, 모든 가군층이 준연접층 이 된다. (그 가운데 연접층 인 것은 유한 차원 선형 공간 이다.)
따라서,
K
{\displaystyle K}
위의 (유한 또는 무한 차원) 선형 공간
E
{\displaystyle E}
및 자연수
r
∈
N
{\displaystyle r\in \mathbb {N} }
가 주어졌을 때, 그라스만 다양체
Gr
(
r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r,E)}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V
{\displaystyle V}
위의 외대수
⋀
r
V
{\displaystyle \bigwedge ^{r}V}
위의 사영 공간
P
(
⋀
r
V
)
{\displaystyle \mathbb {P} \left(\bigwedge ^{r}V\right)}
의 닫힌 부분 스킴 이며, 이를 정의하는 매장을 플뤼커 매장 (영어 : Plücker embedding )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다.
ι
:
Gr
(
r
,
V
)
→
P
(
⋀
r
V
)
{\displaystyle \iota \colon \operatorname {Gr} (r,V)\to \mathbb {P} \left(\bigwedge ^{r}V\right)}
ι
:
Span
{
v
1
,
…
,
v
r
}
↦
v
1
∧
⋯
∧
v
r
{\displaystyle \iota \colon \operatorname {Span} \{v_{1},\ldots ,v_{r}\}\mapsto v_{1}\wedge \cdots \wedge v_{r}}
여기서 우변은
P
(
⋀
r
V
)
{\displaystyle \mathbb {P} (\bigwedge ^{r}V)}
의 동차 좌표 이다.
플뤼커 매장은 다음과 같은 플뤼커 방정식 을 만족시킨다.
V
{\displaystyle V}
의 임의의 두
r
{\displaystyle r}
차원 부분 선형 공간
W
=
Span
{
w
1
,
…
,
w
r
}
{\displaystyle W=\operatorname {Span} \{w_{1},\dots ,w_{r}\}}
Z
=
Span
{
z
1
,
…
,
z
r
}
{\displaystyle Z=\operatorname {Span} \{z_{1},\dots ,z_{r}\}}
및 임의의 음이 아닌 정수
0
≤
k
≤
r
{\displaystyle 0\leq k\leq r}
에 대하여,
ι
(
W
)
⋅
ι
(
Z
)
=
∑
i
1
<
⋯
<
i
k
(
v
1
∧
⋯
∧
v
i
1
−
1
∧
w
1
∧
v
i
1
+
1
∧
⋯
∧
v
i
k
−
1
∧
w
k
∧
v
i
k
+
1
∧
⋯
∧
v
r
)
⋅
(
v
i
1
∧
⋯
∧
v
i
k
∧
w
k
+
1
∧
⋯
∧
w
r
)
{\displaystyle \iota (W)\cdot \iota (Z)=\sum _{i_{1}<\cdots <i_{k}}(v_{1}\wedge \cdots \wedge v_{i_{1}-1}\wedge w_{1}\wedge v_{i_{1}+1}\wedge \cdots \wedge v_{i_{k}-1}\wedge w_{k}\wedge v_{i_{k}+1}\wedge \cdots \wedge v_{r})\cdot (v_{i_{1}}\wedge \cdots \wedge v_{i_{k}}\wedge w_{k+1}\wedge \cdots \wedge w_{r})}
이는 2차 동차 다항식 이다. 표수가 0인 경우, 그라스만 다양체는 플뤼커 방정식만으로 완전히 정의된다.
임의의 스킴
S
{\displaystyle S}
위의 준연접층
E
{\displaystyle {\mathcal {E}}}
및 자연수
r
∈
N
{\displaystyle r\in \mathbb {N} }
및 스킴 사상
f
:
T
→
S
{\displaystyle f\colon T\to S}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T
{\displaystyle T}
위의 가군층
f
∗
E
{\displaystyle f^{*}{\mathcal {E}}}
의 몫
f
∗
E
↠
F
→
0
{\displaystyle f^{*}{\mathcal {E}}\twoheadrightarrow {\mathcal {F}}\to 0}
에서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r
{\displaystyle r}
계수 국소 자유 가군층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연접층의 함자성에 의하여, 외대수 연접층의 사상
f
∗
⋀
n
E
↠
⋀
n
F
→
0
{\displaystyle f^{*}\bigwedge ^{n}{\mathcal {E}}\twoheadrightarrow \bigwedge ^{n}{\mathcal {F}}\to 0}
이 존재한다.
그라스만 스킴의 정의에 따라,
F
{\displaystyle {\mathcal {F}}}
는 집합
hom
Sch
/
S
(
T
,
Gr
(
r
,
E
)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Sch} /S}(T,\operatorname {Gr} (r,{\mathcal {E}}))}
의 원소에 대응한다. 또한,
⋀
n
F
{\displaystyle \textstyle \bigwedge ^{n}{\mathcal {F}}}
는 계수 1의 국소 자유 가군층 이므로, 어떤 스킴 사상
T
/
S
→
Gr
(
1
,
⋀
r
E
)
/
S
=
P
(
⋀
r
E
)
/
S
{\displaystyle T/S\to \operatorname {Gr} (1,\bigwedge ^{r}{\mathcal {E}})/S=\mathbb {P} (\textstyle \bigwedge ^{r}{\mathcal {E}})/S}
에 대응한다.
즉, 위 구성은 함수
hom
Sch
/
S
(
T
,
Gr
(
r
,
E
)
)
→
hom
Sch
/
S
(
T
,
P
(
⋀
r
(
E
)
)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Sch} /S}\left(T,\operatorname {Gr} (r,{\mathcal {E}})\right)\to \hom _{\operatorname {Sch} /S}\left(T,\mathbb {P} \left(\bigwedge ^{r}({\mathcal {E}})\right)\right)}
를 정의한다. 이는 자연 변환
hom
Sch
/
S
(
−
,
Gr
(
r
,
E
)
)
⇒
hom
Sch
/
S
(
−
,
P
(
⋀
r
(
E
)
)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Sch} /S}\left(-,\operatorname {Gr} (r,{\mathcal {E}})\right)\Rightarrow \hom _{\operatorname {Sch} /S}\left(-,\mathbb {P} \left(\bigwedge ^{r}({\mathcal {E}})\right)\right)}
을 이루며, 이는 요네다 보조정리 에 따라서 스킴 사상
Gr
(
r
,
E
)
→
P
(
⋀
r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r,{\mathcal {E}})\to \mathbb {P} \left(\bigwedge ^{r}{\mathcal {E}}\right)}
을 정의한다. 이를
Gr
(
r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r,{\mathcal {E}})}
의 플뤼커 사상 이라고 한다.[ 5] :§9.8
만약
S
{\displaystyle S}
가
Spec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mathbb {R} }
또는
Spec
C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mathbb {C} }
이며
E
{\displaystyle {\mathcal {E}}}
가 계수
n
{\displaystyle n}
의 연접층 (유한 차원 선형 공간 )이라면, 그라스만 다양체
Gr
R
(
r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mathbb {R} }(r,n)}
및
Gr
C
(
r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mathbb {C} }(r,n)}
은 (유한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를 이루며, 따라서 그 대수적 위상수학 을 연구할 수 있다.
Gr
C
(
r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mathbb {C} }(r,n)}
의 (정수 계수) 특이 코호몰로지
H
∙
(
Gr
C
(
r
,
n
)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bullet }(\operatorname {Gr} _{\mathbb {C} }(r,n);\mathbb {Z} )}
를 생각하자. 오직 짝수 등급 코호몰로지만이 자명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는 가환환 을 이룬다.
Gr
C
(
r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Gr} _{\mathbb {C} }(r,n)}
위에는
r
{\displaystyle r}
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인 보편 다발
E
{\displaystyle E}
가 존재한다. 그 (총) 천 특성류 를
c
(
E
)
=
∑
i
=
0
∞
c
i
(
E
)
∈
⨁
i
H
i
(
Gr
C
(
r
,
n
)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E)=\sum _{i=0}^{\infty }\operatorname {c} _{i}(E)\in \bigoplus _{i}\operatorname {H} ^{i}(\operatorname {Gr} _{\mathbb {C} }(r,n);\mathbb {Z} )}
라고 하자. 마찬가지로,
C
n
{\displaystyle \mathbb {C} ^{n}}
에 임의의 내적 공간 구조를 부여하면, 각 올의 직교 여공간 으로 구성되는
n
−
r
{\displaystyle n-r}
차원 복소수 벡터 다발
F
{\displaystyle F}
가 존재하며, 그 (총) 천 특성류 를
c
(
F
)
=
∑
i
=
0
∞
c
i
(
F
)
∈
⨁
i
H
i
(
Gr
C
(
r
,
n
)
;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F)=\sum _{i=0}^{\infty }\operatorname {c} _{i}(F)\in \bigoplus _{i}\operatorname {H} ^{i}(\operatorname {Gr} _{\mathbb {C} }(r,n);\mathbb {Z} )}
라고 하자.
정의에 따라,
E
⊕
F
{\displaystyle E\oplus F}
는
n
{\displaystyle n}
차원의 자명한 복소수 벡터 다발 이다. 따라서 그 천 특성류 는 0이며, 천 특성류의 함자성 으로 인하여
c
(
E
)
c
(
F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c} (E)\operatorname {c} (F)=1}
이 된다.
복소수 그라스만 다양체의 코호몰로지 환은
c
1
(
E
)
,
c
2
(
E
)
,
…
,
c
1
(
F
)
,
c
2
(
F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1}(E),\operatorname {c} _{2}(E),\dotsc ,\operatorname {c} _{1}(F),\operatorname {c} _{2}(F),\dotsc }
로부터 생성되며, 그 위의 유일한 관계는
c
(
E
)
c
(
F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c} (E)\operatorname {c} (F)=1}
인 것이다.
그라스마니안들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슈베르트 세포 라는 부분 집합 으로의 분해를 사용하며, 이는 열거 기하학에 처음 적용되었다.
Gr
(
r
,
n
)
{\displaystyle {\text{Gr}}(r,n)}
에 대한 슈베르트 세포는 보조 기 로 정의된다:
V
i
⊂
V
i
+
1
{\displaystyle V_{i}\subset V_{i+1}}
인 부분 공간들
V
1
,
V
2
,
…
{\displaystyle V_{1},V_{2},\dots }
를 고른다. 그런 다음
i
=
1
,
…
r
{\displaystyle i=1,\dots r}
에 대해 최소
i
{\displaystyle i}
차원인
V
i
{\displaystyle V_{i}}
와 교차하는
W
{\displaystyle W}
로 구성된
Gr
(
r
,
n
)
{\displaystyle {\text{Gr}}(r,n)}
의 해당 부분 집합을 고려한다. 슈베르트 세포의 조작은 슈베르트 미적분학이다.
다음은 기법의 예이다.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r
{\displaystyle r}
차원 부분공간의 그라스마니안의 오일러 특성을 결정하는 문제를 고려하자. 1 차원 부분공간
R
⊂
R
n
{\displaystyle \mathbb {R} \subset \mathbb {R} ^{n}}
을 고정하고
R
{\displaystyle \mathbb {R} }
을 포함하는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의
r
{\displaystyle r}
차원 부분공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공간으로
Gr
(
r
,
n
)
{\displaystyle {\text{Gr}}(r,n)}
을 분할하는 것을 고려하자. 전자는
Gr
(
r
−
1
,
n
−
1
)
{\displaystyle {\text{Gr}}(r-1,n-1)}
이고 후자는
Gr
(
r
,
n
−
1
)
{\displaystyle {\text{Gr}}(r,n-1)}
위의
r
{\displaystyle r}
차원 선형 다발이다. 이것은 재귀 공식
χ
r
,
n
=
χ
r
−
1
,
n
−
1
+
(
−
1
)
r
χ
r
,
n
−
1
,
χ
0
,
n
=
χ
n
,
n
=
1.
{\displaystyle \chi _{r,n}=\chi _{r-1,n-1}+(-1)^{r}\chi _{r,n-1},\qquad \chi _{0,n}=\chi _{n,n}=1.}
을 제공한다. 이 점화식을 풀면
n
{\displaystyle n}
이 짝수이고
r
{\displaystyle r}
이 홀수인 경우에만
γ
r
,
n
=
0
{\displaystyle \gamma _{r,n}=0}
이라는 공식을 얻는다. 그렇지 않으면:
χ
r
,
n
=
(
⌊
n
2
⌋
⌊
r
2
⌋
)
.
{\displaystyle \chi _{r,n}={\binom {\left\lfloor {\frac {n}{2}}\right\rfloor }{\left\lfloor {\frac {r}{2}}\right\rfloor }}.}
복소 그라스마니안
Gr
(
r
,
n
)
{\displaystyle {\text{Gr}}(r,n)}
의 모든 점은
n
{\displaystyle n}
공간에서
r
{\displaystyle r}
평면을 정의한다. 그라스마니안 평면 위에 이러한 평면을 올화하면 사영 공간 의 동어반복 다발 을 일반화하는 선형 다발
E
{\displaystyle E}
에 도달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평면의
n
−
r
{\displaystyle n-r}
차원 직교 여공간은 직교 선형 다발
F
{\displaystyle F}
를 산출한다. 그라스마니안들의 적분 코호몰로지 는
E
{\displaystyle E}
의 천 특성류 에 의해 환 으로 생성된다. 특히, 사영 공간의 경우와 같이 모든 적분 코호몰로지가 짝수 차수이다.
이러한 생성자들은 환을 정의하는 일련의 관계를 만족한다.
E
{\displaystyle E}
,
F
{\displaystyle F}
의 천 특성류로 구성된 더 큰 생성자 집합에 대해 정의 관계를 쉽게 표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관계는 다발들
E
{\displaystyle E}
와
F
{\displaystyle F}
의 직합 이 자명한 것이라고만 설명한다. 전체 천 특성류의 함자 를 통해 이 관계를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c
(
E
)
c
(
F
)
=
1.
{\displaystyle c(E)c(F)=1.}
양자 코호몰로지 환은 The Verlinde Algebra And The Cohomology Of The Grassmannian 에서 에드워드 위튼 에 의해 계산되었다. 생성원은 고전 코호몰로지 환의 생성원과 동일하지만 top 관계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c
k
(
E
)
c
n
−
k
(
F
)
=
(
−
1
)
n
−
r
{\displaystyle c_{k}(E)c_{n-k}(F)=(-1)^{n-r}}
2
n
{\displaystyle 2n}
단위로 상태에 해당하는 코호몰로지의 정도를 위반하는
2
n
{\displaystyle 2n}
페르미온 제로 모드 를 갖는 순간자 의 해당 양자장론에서의 존재를 반영한다.
V
{\displaystyle V}
가
n
{\displaystyle n}
차원 유클리드 공간일 때,
Gr
(
r
,
n
)
{\displaystyle {\text{Gr}}(r,n)}
에 대한 균등 측도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θ
n
{\displaystyle \theta _{n}}
을 직교 군
O
(
n
)
{\displaystyle {\text{O}}(n)}
에 대한 단위 하르 측도 라고 하고
Gr
(
r
,
n
)
{\displaystyle {\text{Gr}}(r,n)}
의 원소 W 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집합
A
⊂
Gr
(
r
,
n
)
{\displaystyle A\subset {\text{Gr}}(r,n)}
에 대해 다음을 정의한다.
γ
r
,
n
(
A
)
=
θ
n
{
g
∈
O
(
n
)
:
g
W
∈
A
}
.
{\displaystyle \gamma _{r,n}(A)=\theta _{n}\{g\in \operatorname {O} (n):gW\in A\}.}
이 측도는 군
O
(
n
)
{\displaystyle {\text{O}}(n)}
작용에 대해 불변이다. 즉,
∀
g
∈
O
(
n
)
{\displaystyle \forall g\in {\text{O}}(n)}
,
γ
r
,
n
(
g
A
)
=
γ
r
,
n
(
A
)
{\displaystyle \gamma _{r,n}(gA)=\gamma _{r,n}(A)}
.
θ
n
(
O
(
n
)
)
=
1
{\displaystyle \theta _{n}({\text{O}}(n))=1}
이므로
γ
r
,
n
(
Gr
(
r
,
n
)
)
=
1
{\displaystyle \gamma _{r,n}({\text{Gr}}(r,n))=1}
이다. 더욱이,
γ
r
,
n
{\displaystyle \gamma _{r,n}}
은 거리 공간 위상에 대한 라돈 측도 이며 동일한 반지름(이 거리에 대해)의 모든 공이 동일한 측도라는 점에서 균일하다.
그라스마니안들의 주요 응용은 콤팩트 다양체의 접속이 있는 다발을 위한 "보편" 매장 공간이다.[ 6] [ 7]
Kadomtsev–Petviashvili 방정식의 해는 무한 차원 그라스마니안에서 아벨 군 흐름으로 표현될 수 있다. 타우 함수(적분 가능 계) 측면에서 히로타 쌍선형 형식으로 표현되는 KP 방정식은 플뤼커 관계식과 동일하다.[ 8] [ 9] 양의 그라스마니안은 KP 흐름 매개변수의 실제 값에 대해 특이하지 않은 KP 방정식의 솔리톤 해를 표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10] [ 11]
그라스마니안은 비디오 기반 얼굴 인식 및 모양 인식의 컴퓨터 비전 작업에서 응용을 찾았다.[ 12] 또한 그랜드 투어로 알려진 데이터 시각화 기술에도 사용된다.
그라스마니안은 아원자 입자의 산란 진폭 이 진폭 면체라고 하는 양의 그라스마니안 구조를 통해 계산되도록 한다.[ 13]
↑ Milnor & Stasheff (1974) harvtxt error: 대상 없음: CITEREFMilnorStasheff1974 (help ) , pp. 57–59.
↑ EGA , II.3.6.3.
↑ Grothendieck, Alexandre ; Dieudonné, Jean (1971). 《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I. Le langage des schémas》. Grundlehren der Mathematischen Wissenschaften (프랑스어) 166 2판. Springer-Verlag. ISBN 978-3-540-05113-8 .
↑ Narasimhan, M. S.; Ramanan, S. (1961). “Existence of Universal Connections” .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83 (3): 563-572. doi :10.2307/2372896 . JSTOR 2372896 .
↑ Narasimhan, M. S.; Ramanan, S. (1963). “Existence of Universal Connections II.” .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85 (2): 223-231. doi :10.2307/2373211 . JSTOR 2373211 .
↑ Chakravarty, S.; Kodama, Y. (July 2009). “Soliton Solutions of the KP Equation and Application to Shallow Water Waves”. 《Studies in Applied Mathematics》 (영어) 123 : 83–151. doi :10.1111/j.1467-9590.2009.00448.x .
↑ Sato, Mikio (October 1981). “Soliton Equations as Dynamical Systems on a Infinite Dimensional Grassmann Manifolds (Random Systems and Dynamical Systems)” . 《数理解析研究所講究録》 439 : 30–46.
↑ Kodama, Yuji; Williams, Lauren (December 2014). “KP solitons and total positivity for the Grassmannian”. 《Inventiones Mathematicae》 (영어) 198 (3): 637–699. Bibcode :2014InMat.198..637K . doi :10.1007/s00222-014-0506-3 .
↑ Hartnett, Kevin (2020년 12월 16일). “A Mathematician's Unanticipated Journey Through the Physical World” . 《Quanta Magazine》 (영어). 2020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Pavan Turaga, Ashok Veeraraghavan, Rama Chellappa: Statistical analysis on Stiefel and Grassmann manifolds with applications in computer vision , CVPR 23–28 June 2008,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08, ISBN 978-1-4244-2242-5 , pp. 1–8 (abstract , full text )
↑ Arkani-Hamed, Nima; Trnka, Jaroslav (2013). “The Amplituhedron”.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2014 (10): 30. arXiv :1312.2007 . Bibcode :2014JHEP...10..030A . doi :10.1007/JHEP10(2014)030 .
↑ Morel, Fabien; Voevodsky, Vladimir (1999). “A1 -homotopy theory of schemes” (PDF) .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 》 90 (90): 45–143. doi :10.1007/BF02698831 . ISSN 1618-1913 . MR 1813224 . 2008년 9월 5일에 확인함 . , see section 4.3., pp. 137–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