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 과 복소기하학 에서 연접 가군층 (連接加群層, 영어 : coherent sheaf of modules , 프랑스어 : faisceau de modules cohérent ) 또는 단순히 연접층 (連接層)은 유한 계수 벡터 다발 (국소 자유층)의 핵 · 여핵 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군층 이다. 연접 가군층은 벡터 다발과 마찬가지로 공간의 기하학적 성질과 밀접하게 연관된 좋은 성질을 가지며, 카르탕 정리 나 가가 정리 등 대수기하학과 복소해석기하학에서의 여러 정리가 성립한다.
벡터 다발은 수학 의 여러 분야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대수기하학에서 세르-스완 정리 에 따라 (유한 차원) "벡터 다발"은 (유한 계수) 국소 자유 가군층 에 대응한다. 그러나 주어진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에 주어진 벡터 다발과 선형 다발 사상 의 범주
Vect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Vect} (X)}
는 아벨 범주 를 이루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벡터 다발의 핵 과 여핵 은 항상 층 으로서 존재하지만 벡터 다발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
{\displaystyle E}
가
X
{\displaystyle X}
위의
n
{\displaystyle n}
차원 실수 벡터 다발이고,
f
:
X
→
R
{\displaystyle f\colon X\to \mathbb {R} }
가 연속 함수 라고 하자. 그렇다면
f
∗
:
E
→
E
{\displaystyle f^{*}\colon E\to E}
,
f
∗
:
v
∈
E
x
↦
f
(
x
)
v
∈
E
x
{\displaystyle f^{*}\colon v\in E_{x}\mapsto f(x)v\in E_{x}}
는 선형 다발 사상이다. 만약
f
{\displaystyle f}
가 어느 곳에서도 0이 아니라면, 핵
ker
f
∗
{\displaystyle \ker f^{*}}
는 0차원의 자명한 벡터 다발이고, 공핵
coker
f
∗
≅
E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f^{*}\cong E}
또한
n
{\displaystyle n}
차원 벡터 다발이다. 그러나
f
{\displaystyle f}
가
x
∈
X
{\displaystyle x\in X}
에서 0이라면, 이 점에서
f
∗
{\displaystyle f^{*}}
의 핵
ker
f
∗
{\displaystyle \ker f^{*}}
는 0차원이 아니라
n
{\displaystyle n}
차원이며, 반대로
coker
f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f^{*}}
는 0차원이다. 벡터 다발의 모든 올들은 차원이 같아야 하므로, 이 경우
f
∗
{\displaystyle f^{*}}
의 핵과 여핵은
X
{\displaystyle X}
벡터 다발을 이루지 않는다.
이 경우,
ker
f
∗
{\displaystyle \ker f^{*}}
는 부분 공간
f
−
1
(
0
)
⊂
X
{\displaystyle f^{-1}(0)\subset X}
위에만 존재하는 "벡터 다발"이며,
coker
f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ker} f^{*}}
는 부분 공간
f
−
1
(
R
∖
{
0
}
)
⊂
X
{\displaystyle f^{-1}(\mathbb {R} \setminus \{0\})\subset X}
위에만 존재하는 "벡터 다발"이다. 이와 같이 "부분 공간 위의 벡터 다발"을 허용하여 유한 차원 벡터 다발의 범주를 더 확장시켜 얻는 아벨 범주 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아벨 범주는 존재하며, 그 원소를 연접 가군층 이라고 한다.
환
R
{\displaystyle R}
위의 왼쪽 가군
R
M
{\displaystyle _{R}M}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연접 왼쪽 가군 (連接-加群, 영어 : coherent left module )이라고 한다.[ 1] :140, Definition 4.51
마찬가지로 연접 오른쪽 가군 (連接-加群, 영어 : coherent right module )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연접 가군의 개념을 국소화하면, 연접 가군층 의 개념을 얻는다. 즉, 국소환 달린 공간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에서, 다음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연접 가군층 이라고 한다.[ 2] :208, Définition §2.2 [ 3] :47, (5.3.1)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유한 생성 가군층 이다.
임의의 열린집합
U
{\displaystyle U}
, 임의의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임의의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층 사상
ϕ
:
O
X
n
|
U
→
F
|
U
{\displaystyle \phi \colon {\mathcal {O}}_{X}^{n}|_{U}\to {\mathcal {F}}|_{U}}
에 대하여, (층으로서의) 핵
ker
ϕ
{\displaystyle \ker \phi }
또한
O
X
|
U
{\displaystyle {\mathcal {O}}_{X}|_{U}}
-유한 생성 가군층 이다.
위 정의는 장피에르 세르 나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가 사용하는 정의다. 로빈 하츠혼 이 사용하는 정의[ 4] :111 는 조금 다르지만, 뇌터 스킴 의 경우에는 위 정의와 동치이다.
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환을 왼쪽 연접환 (-連接環, 영어 : left-coherent ring )이라고 한다.
R
R
{\displaystyle _{R}R}
는 연접 왼쪽 가군이다.[ 1] :138, Definition 4.45 즉, 모든 유한 생성 왼쪽 아이디얼 은 유한 표시 왼쪽 가군 이다.
R
{\displaystyle R}
위의 (유한 또는 무한 개의) 평탄 오른쪽 가군 들의 직접곱 은 평탄 오른쪽 가군 이다.[ 1] :139, Theorem 4.47 [ 5] :460, Theorem 2.1 (※왼쪽 가군 이 아닌 것에 주의)
임의의 기수
κ
{\displaystyle \kappa }
에 대하여, 직접곱
(
R
κ
)
R
{\displaystyle (R^{\kappa })_{R}}
은 평탄 오른쪽 가군 이다.[ 1] :139, Theorem 4.47 (※왼쪽 가군 이 아닌 것에 주의)
R
{\displaystyle R}
위의 모든 유한 표시 왼쪽 가군 이 연접 왼쪽 가군이다.[ 1] :140, Corollary 4.52
임의의
r
∈
R
{\displaystyle r\in R}
및 유한 생성 왼쪽 아이디얼
R
A
{\displaystyle _{R}{\mathfrak {A}}}
에 대하여,
r
−
1
A
=
{
s
∈
R
:
r
s
∈
A
}
{\displaystyle r^{-1}{\mathfrak {A}}=\{s\in R\colon rs\in {\mathfrak {A}}\}}
는 유한 생성 왼쪽 아이디얼 이다.[ 1] :142, Corollary 4.60(2)
임의의
r
∈
R
{\displaystyle r\in R}
에 대하여
Ann
(
R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Ann} (_{R}r)}
는 유한 생성 왼쪽 아이디얼 이며, 임의의 두 유한 생성 왼쪽 아이디얼 의 교집합 은 유한 생성 왼쪽 아이디얼 이다.[ 1] :142, Corollary 4.60(3)
오른쪽 연접환 (-連接環, 영어 : right-coherent ring )도 마찬가지로 정의된다. 물론, 가환환 의 경우 왼쪽·오른쪽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보다 일반적으로, 국소환 달린 공간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에서, 만약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 (스스로 위의 가군층 으로서) 연접 가군층이라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를 연접 공간 (連接空間, 영어 : coherent space )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가 스킴이면 위의 일반적인 정의는 보다 명시적인 정의와 동일하다.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 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이 준연접층 임과 각각의 열린 아핀 부분 스킴
U
=
Spec
A
{\displaystyle U=\operatorname {Spec} A}
위에서 제한
F
|
U
{\displaystyle {\mathcal {F}}|_{U}}
이
A
{\displaystyle A}
위에 가군
M
=
Γ
(
U
,
F
)
{\displaystyle M=\Gamma (U,{\mathcal {F}})}
과 관련된 층
M
~
{\displaystyle {\tilde {M}}}
과 동형임이 동치이다..
X
{\displaystyle X}
이 국소적 뇌터 스킴이면,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연접층 임과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준연접층이고 위의 가군
M
{\displaystyle M}
을 유한 생성 으로 볼 수 있음이 동치이다.
아핀 스킴
U
=
Spec
A
{\displaystyle U=\operatorname {Spec} A}
에서 가군
M
{\displaystyle M}
을 연관된 층
M
~
{\displaystyle {\tilde {M}}}
으로 가져가며
A
{\displaystyle A}
-가군에서 준연접층으로 가는 범주 동치 가 있다. 역 동치는
U
{\displaystyle U}
위의 준연접층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F
{\displaystyle {\mathcal {F}}}
의 전역 단면의
A
{\displaystyle A}
-가군
F
(
U
)
{\displaystyle {\mathcal {F}}(U)}
로 가져간다.
다음은 스킴에 대한 준연접층의 몇 가지 추가 특성이다.[ 6]
X
{\displaystyle X}
가 스킴이고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그 위에서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이라 하자. 그러면 다음 명제들은 동치이다.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준 연접층이다.
X
{\displaystyle X}
의 각 열린 아핀 부분 스킴
U
{\displaystyle U}
에 대해,
F
|
U
{\displaystyle {\mathcal {F}}|_{U}}
는
O
U
{\displaystyle {\mathcal {O}}_{U}}
-가군으로서 어떤
O
(
U
)
{\displaystyle {\mathcal {O}}(U)}
-가군
M
{\displaystyle M}
과 연관된 층
M
~
{\displaystyle {\tilde {M}}}
과 동형이다.
덮개
{
U
α
}
{\displaystyle \{U_{\alpha }\}}
의 각
U
α
{\displaystyle U_{\alpha }}
에 대해,
F
|
U
α
{\displaystyle {\mathcal {F}}|_{U_{\alpha }}}
가 어떤
O
(
U
α
)
{\displaystyle {\mathcal {O}}(U_{\alpha })}
-가군과 연관된 층과 동형인
X
{\displaystyle X}
의 열린 아핀 덮개
{
U
α
}
{\displaystyle \{U_{\alpha }\}}
가 존재한다.
X
{\displaystyle X}
의 각 열린 아핀 부분 스킴
V
⊆
U
{\displaystyle V\subseteq U}
쌍에 대해, 자연 준동현사상
O
(
V
)
⊗
O
(
U
)
F
(
U
)
→
F
(
V
)
,
f
⊗
s
↦
f
⋅
s
|
V
{\displaystyle {\mathcal {O}}(V)\otimes _{{\mathcal {O}}(U)}{\mathcal {F}}(U)\to {\mathcal {F}}(V),\,f\otimes s\mapsto f\cdot s|_{V}}
은 동형사상이다.
X
{\displaystyle X}
의 각 열린 아핀 부분 스킴
U
=
Spec
A
{\displaystyle U=\operatorname {Spec} A}
와 각
f
∈
A
{\displaystyle f\in A}
에 대해,
f
{\displaystyle f}
가 영이아닌
U
{\displaystyle U}
의 열린 부분 스킴을
U
f
{\displaystyle U_{f}}
로 쓰면, 자연 준동형사상
F
(
U
)
[
1
f
]
→
F
(
U
f
)
{\displaystyle {\mathcal {F}}(U){\bigg [}{\frac {1}{f}}{\bigg ]}\to {\mathcal {F}}(U_{f})}
은 동형사상이다. 이 준동형사상은 국소화의 보편성질로부터 온다.
임의의 환 달린 공간 위에서,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연접 가군층 ⊆[ 3] :47, (5.3.2) 유한 표시 가군층 ⊆[ 3] :46, (5.2.5) 준연접층 ∩ 유한 생성 가군층
국소 자유 가군층 ⊆ 준연접층 [ 3] :48, (5.4.1)
국소 뇌터 스킴 위에서는 구조층이 연접 가군층이므로,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7]
유한 계수 국소 자유 가군층 ⊆[ 3] :48, (5.4.1) 연접 가군층 = 유한 표시 가군층 = 준연접층 ∩ 유한 생성 가군층
국소 뇌터 스킴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의 준연접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4] :111
F
{\displaystyle {\mathcal {F}}}
는 연접 가군층이다.
X
{\displaystyle X}
의 어떤 아핀 열린 덮개
{
Spec
R
i
}
i
∈
I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_{i}\}_{i\in I}}
에 대하여,
F
|
Spec
R
i
{\displaystyle {\mathcal {F}}|_{\operatorname {Spec} R_{i}}}
는
O
Spec
R
i
{\displaystyle {\mathcal {O}}_{\operatorname {Spec} R_{i}}}
-가군층으로서 어떤
R
i
{\displaystyle R_{i}}
-유한 생성 가군 으로부터 유도된
O
Spec
R
i
{\displaystyle {\mathcal {O}}_{\operatorname {Spec} R_{i}}}
-가군층 과 동형이다.
스킴 사상에 대하여, 준연접층 의 밂은 “거의 항상” 준연접층 이다. 즉, 매우 약한 조건 아래 준연접성이 보존된다. 그러나 연접성을 보존하려면 이는 매우 강한 조건(유한 사상 )이 필요하다.
즉,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두 스킴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스킴 사상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만약
f
{\displaystyle f}
에 대한 가군층 의 밂
f
∗
{\displaystyle f_{*}}
또는 당김
f
∗
{\displaystyle f^{*}}
이 가군층의 특정 성질을 보존하기 위한 충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왼쪽 연접환
R
{\displaystyle R}
위의 연접 왼쪽 가군 들의 범주
R
Coh
{\displaystyle _{R}\operatorname {Coh} }
는 아벨 범주 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환 달린 공간
(
X
,
O
X
)
{\displaystyle (X,{\mathcal {O}}_{X})}
위의 연접 가군층들의 범주
Coh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h} (X)}
는 아벨 범주 이다. 즉, 핵 과 여핵 등이 존재하며, 호몰로지 대수학 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거의 항상) 완비 범주 나 쌍대 완비 범주 가 아닌데, 이는 유한 계수 국소 자유 가군층 들의 무한 직합 또는 직접곱은 유한 계수가 아니어서 연접 가군층이 아니기 때문이다.
뇌터 가환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다음 세 개념이 일치한다.
R
{\displaystyle R}
위의 유한 생성 가군
R
{\displaystyle R}
위의 유한 계수의 국소 자유 가군
R
{\displaystyle R}
의 스펙트럼
Spec
R
{\displaystyle \operatorname {Spec} R}
위의 연접 가군층
또한,
R
{\displaystyle R}
위의 유한 생성 가군 들의 범주
fgMod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fgMod} (R)}
와 연접 가군층의 범주
Coh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h} (X)}
는 서로 동치 이다.
구체적으로,
F
∈
Coh
(
X
)
{\displaystyle {\mathcal {F}}\in \operatorname {Coh} (X)}
라면, 이에 대응하여
F
|
X
{\displaystyle {\mathcal {F}}|_{X}}
는
O
X
|
X
≅
R
{\displaystyle {\mathcal {O}}_{X}|_{X}\cong R}
의 유한 생성 가군 이다.
임의의 고정된 스킴에 대한 준연접층은 아벨 범주를 형성한다. 가버는 모든 스킴의 준연접층이 특히 좋은 성질을 가진 아벨 범주인 그로텐디크 범주 를 형성함을 보여주었다.[ 8] 준콤팩트 준분리 스킴
X
{\displaystyle X}
(예: 체에 대한 대수 다형체)은
X
{\displaystyle X}
위의 준연접층의 아벨 범주에 의해 동형사상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로젠버그는 의해 가브리엘의 결과를 일반화했다.[ 9]
환 달린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
F
{\displaystyle {\mathcal {F}}}
은 유한 랭크 국소 자유 또는 선형 다발 이라고 한다.
X
{\displaystyle X}
의 모든 점에 대해 다음이 성립하는 열린 이웃
U
{\displaystyle U}
이 있다: 제한
F
|
U
{\displaystyle {\mathcal {F}}|_{U}}
이
O
X
|
U
{\displaystyle {\mathcal {O}}_{X}|_{U}}
의 복사본들의 유한 직합과 동형이다. 만약에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X
{\displaystyle X}
의 모든 점 근처 같은 랭크
n
{\displaystyle n}
인 자유대상이면, 선형 다발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랭크
n
{\displaystyle n}
이라 한다.
스킴
X
{\displaystyle X}
위에서 이 층론적 의미의 선형 다발들은, 스킴
E
{\displaystyle E}
와 사상
π
:
E
→
X
{\displaystyle \pi :E\to X}
, 열린 집합
U
α
{\displaystyle U_{\alpha }}
로 이뤄진
X
{\displaystyle X}
의 덮개와
U
α
{\displaystyle U_{\alpha }}
위에
U
α
∩
U
β
{\displaystyle U_{\alpha }\cap U_{\beta }}
에 대한 두 개의 동형 사상이 선형 자기 동형 사상을 기준으로 다른
π
−
1
(
U
α
)
≅
A
n
×
U
α
{\displaystyle \pi ^{-1}(U_{\alpha })\cong \mathbb {A} ^{n}\times U_{\alpha }}
로 주어진 동형사상을 고려하면 보다 기하학적인 방식으로 정의된 선형 다발과 동일하다.[ 10] (비슷한 동치성은 복소 해석 공간에도 적용된다. ) 예를 들어, 주어진 선형 다발
E
{\displaystyle E}
에 대해 이 기하학적 의미에서 대응하는 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은
X
{\displaystyle X}
의 열린 집합
U
{\displaystyle U}
위에서,
O
(
U
)
{\displaystyle {\mathcal {O}}(U)}
-가군
F
(
U
)
{\displaystyle {\mathcal {F}}(U)}
가 사상
π
−
1
(
U
)
→
U
{\displaystyle \pi ^{-1}(U)\to U}
의 단면 집합이도록 정의된다. 선형 다발의 다발론적 해석은 선형 다발(국소 뇌터 스킴에서)이 연접층의 아벨 범주에 포함된다는 이점이 있다.
국소 자유 층은 표준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가군 연산으로 갖춰 오지만 국소 자유 층을 돌려준다.
X
=
Spec
(
R
)
{\displaystyle X=\operatorname {Spec} (R)}
,
R
{\displaystyle R}
은 뇌터 환이라 하자. 그러면
X
{\displaystyle X}
위의 선형 다발들은
R
{\displaystyle R}
위의 유한 생성 사영 가군 과 연관된 층이다. 또는 (동등하게)
R
{\displaystyle R}
위의 유한 생성 평탄 가군 이다.[ 11]
R
{\displaystyle R}
이
N
{\displaystyle \mathbb {N} }
-등급 뇌터환일 때,
X
=
Proj
(
R
)
{\displaystyle X=\operatorname {Proj} (R)}
가 뇌터 환
R
0
{\displaystyle R_{0}}
위의 사영 스킴 이라 하자. 그럼 각
Z
{\displaystyle \mathbb {Z} }
-등급
R
{\displaystyle R}
-가군
M
{\displaystyle M}
은
F
|
{
f
≠
0
}
{\displaystyle {\mathcal {F}}|_{\{f\neq 0\}}}
이
R
[
f
−
1
]
0
{\displaystyle R[f^{-1}]_{0}}
-가군
M
[
f
−
1
]
0
{\displaystyle M[f^{-1}]_{0}}
와 관련된 층인
X
{\displaystyle X}
위의 준연접층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결정한다. 여기서
f
{\displaystyle f}
는
R
{\displaystyle R}
의 양의 차수 동차 원소들이고
{
f
≠
0
}
=
Spec
R
[
f
−
1
]
0
{\displaystyle \{f\neq 0\}=\operatorname {Spec} R[f^{-1}]_{0}}
는
f
{\displaystyle f}
가 영이 아닌 궤적이다.
예를 들어 각 정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해 ,
R
(
n
)
{\displaystyle R(n)}
이
R
(
n
)
l
=
R
n
+
l
{\displaystyle R(n)_{l}=R_{n+l}}
로 주어지는 등급
R
{\displaystyle R}
-가군이라 하자. 그럼 각
R
(
n
)
{\displaystyle R(n)}
는
X
{\displaystyle X}
위의 준연접층
O
X
(
n
)
{\displaystyle {\mathcal {O}}_{X}(n)}
을 결정한다. 만약에
R
{\displaystyle R}
이
R
1
{\displaystyle R_{1}}
에 의해
R
0
{\displaystyle R_{0}}
-대수로서 생성된다면,
O
X
(
n
)
{\displaystyle {\mathcal {O}}_{X}(n)}
는
X
{\displaystyle X}
위의 선다발 (가역 다발)이다. 그리고
O
X
(
n
)
{\displaystyle {\mathcal {O}}_{X}(n)}
는
O
X
(
1
)
{\displaystyle {\mathcal {O}}_{X}(1)}
의
n
{\displaystyle n}
-번째 텐서승이다. 특히,
O
P
n
(
−
1
)
{\displaystyle {\mathcal {O}}_{\mathbb {P} ^{n}}(-1)}
는 사영
n
{\displaystyle n}
-공간에서 보편 선다발 이라고 한다.
선형 다발이 아닌
P
2
{\displaystyle \mathbb {P} ^{2}}
위의 연접층의 간단한 예는 다음 열에서 여핵에 의해 제공된다.
O
(
1
)
→
⋅
(
x
2
−
y
z
,
y
3
+
x
y
2
−
x
y
z
)
O
(
3
)
⊕
O
(
4
)
→
E
→
0
{\displaystyle {\mathcal {O}}(1){\xrightarrow {\cdot (x^{2}-yz,y^{3}+xy^{2}-xyz)}}{\mathcal {O}}(3)\oplus {\mathcal {O}}(4)\to {\mathcal {E}}\to 0}
이는 두 다항식의 영점 궤적에 제한된
E
{\displaystyle {\mathcal {E}}}
가 2차원 올을 갖고 다른 곳에서는 1차원 올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데알 층 : 만약
Z
{\displaystyle Z}
가 국소적 뇌터 스킴
X
{\displaystyle X}
의 닫힌 부분 스킴이면,
Z
{\displaystyle Z}
에서 영인 모든 정규 함수들의 층
I
Z
/
X
{\displaystyle {\mathcal {I}}_{Z/X}}
는 연접층이다. 마찬가지로, 만약
Z
{\displaystyle Z}
가 복소 해석 공간
X
{\displaystyle X}
의 닫힌 해석 부분 공간이면, 이데알 층
I
Z
/
X
{\displaystyle {\mathcal {I}}_{Z/X}}
은 연접층이다.
국소적 뇌터 스킴의
X
{\displaystyle X}
의 닫힌 부분 스킴
Z
{\displaystyle Z}
의 구조 층
O
Z
{\displaystyle {\mathcal {O}}_{Z}}
는
X
{\displaystyle X}
위의 연접층으로 볼 수 있다. 정확히 말하면 직상층
i
∗
O
Z
{\displaystyle i_{*}{\mathcal {O}}_{Z}}
이다. 여기서
i
:
Z
→
X
{\displaystyle i:Z\to X}
는 포함 사상이다. 이는 복소 해석 공간의 닫힌 해석 부분 공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층
i
∗
O
Z
{\displaystyle i_{*}{\mathcal {O}}_{Z}}
는 열린 집합
X
−
Z
{\displaystyle X-Z}
의 점에서 0차원 올(아래에 정의됨)을 가지고,
Z
{\displaystyle Z}
의 점에서 1차원 올을 가진다.
X
{\displaystyle X}
위의 연접층의 짧은 완전열 이 있다:
0
→
I
Z
/
X
→
O
X
→
i
∗
O
Z
→
0.
{\displaystyle 0\to {\mathcal {I}}_{Z/X}\to {\mathcal {O}}_{X}\to i_{*}{\mathcal {O}}_{Z}\to 0.}
선형 대수학 의 대부분의 연산은 연접층을 보존한다. 특히, 환 달린 공간
X
{\displaystyle X}
에서 두 연접층
F
{\displaystyle {\mathcal {F}}}
와
G
{\displaystyle {\mathcal {G}}}
의 텐서곱 층
F
⊗
O
X
G
{\displaystyle {\mathcal {F}}\otimes _{{\mathcal {O}}_{X}}{\mathcal {G}}}
과 준동형 사상 층
H
o
m
O
X
(
F
,
G
)
{\displaystyle {\mathcal {H}}om_{{\mathcal {O}}_{X}}({\mathcal {F}},{\mathcal {G}})}
은 연접층이다.[ 12]
준연접층의 간단한 반례 가 0 함자에 의한 확장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X
=
Spec
(
C
[
x
,
x
−
1
]
)
→
i
Spec
(
C
[
x
]
)
=
Y
{\displaystyle X=\operatorname {Spec} (\mathbb {C} [x,x^{-1}]){\xrightarrow {i}}\operatorname {Spec} (\mathbb {C} [x])=Y}
[ 13]
에 대해
i
!
O
X
{\displaystyle i_{!}{\mathcal {O}}_{X}}
을 고려하자. 이 층은 자명하지 않은 줄기를 가지고 있지만 전역 단면이 없기 때문에 준연접층이 아니다. 이는 아핀 스킴의 준연접층이 기저에 깔린 환에 대한 가군의 범주와 동일하고 adjunction이 전역 단면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스킴의 사상
X
→
Y
{\displaystyle X\to Y}
에 대해
X
{\displaystyle X}
가
Y
{\displaystyle Y}
위에서 분리되어 있으면
Δ
:
X
→
X
×
Y
X
{\displaystyle \Delta :X\to X\times _{Y}X}
를 닫힌 몰입 인 대각 사상 이라 하자. 그리고
I
{\displaystyle {\mathcal {I}}}
가
X
×
Y
X
{\displaystyle X\times _{Y}X}
안에서
X
{\displaystyle X}
의 이데알 층이라 하자. 그러면 미분 형식 층
Ω
X
/
Y
1
{\displaystyle \Omega _{X/Y}^{1}}
은
X
{\displaystyle X}
로
I
{\displaystyle {\mathcal {I}}}
를 당김
Δ
∗
I
{\displaystyle \Delta ^{*}{\mathcal {I}}}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층의 단면을
Y
{\displaystyle Y}
위에서
X
{\displaystyle X}
의 제 1미분형식 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들은
X
{\displaystyle X}
에서 국소적으로 정규 함수
f
j
{\displaystyle f_{j}}
,
g
j
{\displaystyle g_{j}}
들의 유한합
∑
f
j
d
g
j
{\displaystyle \textstyle \sum f_{j}\,dg_{j}}
으로 쓸 수 있다. 만약에
X
{\displaystyle X}
가 체
k
{\displaystyle k}
에 대해 국소적으로 유한 유형이면,
Ω
X
/
k
1
{\displaystyle \Omega _{X/k}^{1}}
는
X
{\displaystyle X}
에서 연접층이다.
만약에
X
{\displaystyle X}
가
k
{\displaystyle k}
위에서 매끄러우면 ,
Ω
1
{\displaystyle \Omega ^{1}}
(
Ω
X
/
k
1
{\displaystyle \Omega _{X/k}^{1}}
를 의미)는
X
{\displaystyle X}
위의 선형 다발이고,
X
{\displaystyle X}
의 여접다발 이라고 부른다. 그러면 접다발
T
X
{\displaystyle TX}
는 쌍대 다발
(
Ω
1
)
∗
{\displaystyle (\Omega ^{1})^{*}}
로 정의된다.
k
{\displaystyle k}
위에서 매끄럽고 모든 곳에서
n
{\displaystyle n}
차원인 .
X
{\displaystyle X}
에 대해 접다발은 랭크
n
{\displaystyle n}
를 갖는다.
만약에
Y
{\displaystyle Y}
가
k
{\displaystyle k}
위의 매끄러운 스킴
X
{\displaystyle X}
의 매끄러운 닫힌 부분 스킴이면,
Y
{\displaystyle Y}
위에서 선형 다발의 짧은 완전열이 있다:
0
→
T
Y
→
T
X
|
Y
→
N
Y
/
X
→
0
,
{\displaystyle 0\to TY\to TX|_{Y}\to N_{Y/X}\to 0,}
이를
X
{\displaystyle X}
안에서
Y
{\displaystyle Y}
에 대한 법다발
N
Y
/
X
{\displaystyle N_{Y/X}}
의 정의로 사용할 수 있다.
체
k
{\displaystyle k}
위에서 매끄러운 스킴
X
{\displaystyle X}
와 자연수
i
{\displaystyle i}
,에 대해,
X
{\displaystyle X}
위의 제
i
{\displaystyle i}
미분 형식 의 선형 다발
Ω
i
{\displaystyle \Omega ^{i}}
은
i
{\displaystyle i}
-여접다발의 외승 ,
Ω
i
=
Λ
i
Ω
1
{\displaystyle \Omega ^{i}=\Lambda ^{i}\Omega ^{1}}
과 같이 정의된다.
k
{\displaystyle k}
위에서
n
{\displaystyle n}
차원 매끄러운 다형체
X
{\displaystyle X}
에 대해, 표준 다발
K
X
{\displaystyle K_{X}}
은 선다발
Ω
n
{\displaystyle \Omega ^{n}}
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준 다발의 단면은 의 대수-기하학적에서 미분기하학의 부피 형식 과 비슷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k
{\displaystyle k}
위에서 아핀 공간
A
n
{\displaystyle \mathbb {A} ^{n}}
의 표준 다발 단면은
f
(
x
1
,
…
,
x
n
)
d
x
1
∧
⋯
∧
d
x
n
,
{\displaystyle f(x_{1},\ldots ,x_{n})\;dx_{1}\wedge \cdots \wedge dx_{n},}
로 쓸 수 있다. 여기서
f
{\displaystyle f}
는 계수가
k
{\displaystyle k}
의 원소인 다항식이다.
R
{\displaystyle R}
이 가환환이고
n
{\displaystyle n}
을 자연수라 하자. 각 정수
j
{\displaystyle j}
에 대해 ,
O
(
j
)
{\displaystyle {\mathcal {O}}(j)}
라고 불리는,
R
{\displaystyle R}
위에서 사영 공간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에 선다발의 중요한 예가 있다. 이를 정의하기 위해 어떤
R
{\displaystyle R}
-스킴의 사상을 고려하자:
π
:
A
n
+
1
−
0
→
P
n
{\displaystyle \pi :\mathbb {A} ^{n+1}-0\to \mathbb {P} ^{n}}
이는 좌표로 표현하면
(
x
0
,
…
,
x
n
)
↦
[
x
0
,
…
,
x
n
]
{\displaystyle (x_{0},\ldots ,x_{n})\mapsto [x_{0},\ldots ,x_{n}]}
로 주어진다. (즉, 사영 공간을 아핀 공간의 1차원 선형 부분 공간의 공간으로 생각하면 아핀 공간에서 0이 아닌 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보낸다.) 그러면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의 열린 부분 집합
U
{\displaystyle U}
위의
O
(
j
)
{\displaystyle {\mathcal {O}}(j)}
의 단면은
π
−
1
(
U
)
{\displaystyle \pi ^{-1}(U)}
위에서
j
{\displaystyle j}
차 동차 정규 함수
f
{\displaystyle f}
로 정의된다. 이는
A
1
−
0
)
×
π
−
1
(
U
)
{\displaystyle \mathbb {A} ^{1}-0)\times \pi ^{-1}(U)}
위의 정규 함수로서
f
(
a
x
)
=
a
j
f
(
x
)
{\displaystyle f(ax)=a^{j}f(x)}
가 성립함을 뜻한다. 모든 정수
i
{\displaystyle i}
,
j
{\displaystyle j}
에 대해,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위의 선다발의 동형
O
(
i
)
⊗
O
(
j
)
≅
O
(
i
+
j
)
{\displaystyle {\mathcal {O}}(i)\otimes {\mathcal {O}}(j)\cong {\mathcal {O}}(i+j)}
이 있다.
특히,
R
{\displaystyle R}
위에서 모든
j
{\displaystyle j}
차 동차 다항식
x
0
,
…
,
x
n
{\displaystyle x_{0},\ldots ,x_{n}}
은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위에서
O
(
j
)
{\displaystyle {\mathcal {O}}(j)}
의 전역 단면으로 볼 수 있다. 사영 공간의 모든 닫힌 부분 스킴은 동차 다항식의 어떤 모임의 영점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선다발
O
(
j
)
{\displaystyle {\mathcal {O}}(j)}
의 어떤 단면의 영점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17] 이는 닫힌 부분 스킴이 단순히 어떤 정규 함수 모음의 영점 집합인 단순한 아핀 공간의 경우와 대조된다.
R
{\displaystyle R}
위의 사영 공간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의 정규 함수들은 단지 "상수"(환
R
{\displaystyle R}
)이며, 따라서 선다발
O
(
j
)
{\displaystyle {\mathcal {O}}(j)}
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세르 는 아핀 공간에서 연접층보다 더 미묘한 사영 공간의 모든 연접층에 대한 대수적 설명을 제공했다.
R
{\displaystyle R}
이 뇌터 환(예: 체)이라 하고,
x
i
{\displaystyle x_{i}}
각각이 1등급인 등급환 으로서 다항식 환
S
=
R
[
x
0
,
…
,
x
n
]
{\displaystyle S=R[x_{0},\ldots ,x_{n}]}
를 고려하자. 그러면 모든 유한 생성 등급
S
{\displaystyle S}
-가군
M
{\displaystyle M}
은 연관된
R
{\displaystyle R}
위의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에서의 연접층
M
~
{\displaystyle {\tilde {M}}}
을 가지고 있다.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에서의 모든 연접층은 유한 생성 등급
S
{\displaystyle S}
-가군
M
{\displaystyle M}
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예를 들어, 선다발
O
(
j
)
{\displaystyle {\mathcal {O}}(j)}
은
j
{\displaystyle j}
로 등급이 낮아진
S
{\displaystyle S}
-가군
S
{\displaystyle S}
와 연관된 층이다.) 하지만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위에서 주어진 연접층을 생성하는
S
{\displaystyle S}
-가군
M
{\displaystyle M}
은 유일하지 않고,
M
{\displaystyle M}
을 기껏해야 유한하게 많은 등급에서만 0이 아닌 임의의 등급 가군으로 바꾼 것들을 동치로 보았을 때 유일하다. 보다 정확하게,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위의 연접층의 아벨 범주는 유한 생성 등급
S
{\displaystyle S}
-가군 범주를 기껏해야 유한하게 많은 등급에서만 0이 아닌 가군 범주의 세르 부분 범주로 자른 몫이다.[ 18]
체
k
{\displaystyle k}
위의 사영 공간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의 접다발은 선다발
O
(
1
)
{\displaystyle {\mathcal {O}}(1)}
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즉, 다음 짧은 완전열인 오일러 수열이 있다.
0
→
O
P
n
→
O
(
1
)
⊕
n
+
1
→
T
P
n
→
0.
{\displaystyle 0\to {\mathcal {O}}_{\mathbb {P} ^{n}}\to {\mathcal {O}}(1)^{\oplus \;n+1}\to T\mathbb {P} ^{n}\to 0.}
표준 다발
K
P
n
{\displaystyle K_{\mathbb {P} ^{n}}}
(접다발의 행렬식 다발 의 쌍대)는
O
(
−
n
−
1
)
{\displaystyle {\mathcal {O}}(-n-1)}
과 동형이다. 이것은 대수 기하학의 기본 계산이다. 예를 들어, 표준 다발이 풍부한 선다발
O
(
1
)
{\displaystyle {\mathcal {O}}(1)}
의 음의 배수라는 사실은 사영 공간이 파노 다형체 임을 의미한다. 복소수에 대해 이것은 사영 공간에 양의 리치 곡률 을 갖는 켈러 계량 이 있음을 의미한다.
d
{\displaystyle d}
차 동차 다항식
f
{\displaystyle f}
에 의해 정의된 매끄러운
d
{\displaystyle d}
차원 초곡면
X
⊂
P
n
{\displaystyle X\subset \mathbb {P} ^{n}}
를 고려하자. 그러면 다음 완전열이 있다.
0
→
O
X
(
−
d
)
→
i
∗
Ω
P
n
→
Ω
X
→
0
{\displaystyle 0\to {\mathcal {O}}_{X}(-d)\to i^{*}\Omega _{\mathbb {P} ^{n}}\to \Omega _{X}\to 0}
여기서 두 번째 사상은 미분 형식의 당김이고 첫 번째 사상은
ϕ
↦
d
(
f
⋅
ϕ
)
{\displaystyle \phi \mapsto d(f\cdot \phi )}
이 열은
O
(
−
d
)
{\displaystyle {\mathcal {O}}(-d)}
가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에서
X
{\displaystyle X}
의 여법층임을 알려준다. 이것을 쌍대화하면 완전열
0
→
T
X
→
i
∗
T
P
n
→
O
(
d
)
→
0
{\displaystyle 0\to T_{X}\to i^{*}T_{\mathbb {P} ^{n}}\to {\mathcal {O}}(d)\to 0}
이 생성된다. 따라서
O
(
d
)
{\displaystyle {\mathcal {O}}(d)}
는
P
n
{\displaystyle \mathbb {P} ^{n}}
에서
X
{\displaystyle X}
의 법다발이다. 랭크
r
1
{\displaystyle r_{1}}
,
r
2
{\displaystyle r_{2}}
,
r
3
{\displaystyle r_{3}}
선형 다발들의 완전열이 주어진 사실을 사용하면
0
→
E
1
→
E
2
→
E
3
→
0
{\displaystyle 0\to {\mathcal {E}}_{1}\to {\mathcal {E}}_{2}\to {\mathcal {E}}_{3}\to 0}
다음과 같은 선다발 동형사상이 있다:
Λ
r
2
E
2
≅
Λ
r
1
E
1
⊗
Λ
r
3
E
3
{\displaystyle \Lambda ^{r_{2}}{\mathcal {E}}_{2}\cong \Lambda ^{r_{1}}{\mathcal {E}}_{1}\otimes \Lambda ^{r_{3}}{\mathcal {E}}_{3}}
그러면, 동형사상
i
∗
ω
P
n
≅
ω
X
⊗
O
X
(
−
d
)
{\displaystyle i^{*}\omega _{\mathbb {P} ^{n}}\cong \omega _{X}\otimes {\mathcal {O}}_{X}(-d)}
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ω
X
≅
O
X
(
d
−
n
−
1
)
{\displaystyle \omega _{X}\cong {\mathcal {O}}_{X}(d-n-1)}
를 보여준다.
랭크 2 선형 다발을 구성하는 유용한 방식 중 하나는, 매끄러운 사영 다형체
X
{\displaystyle X}
위의 랭크 2 선형 다발
E
{\displaystyle {\mathcal {E}}}
와 여차원 2인 부분 다형체
Y
{\displaystyle Y}
사이의 대응 관계를
X
{\displaystyle X}
위의 특정
Ext
1
{\displaystyle {\text{Ext}}^{1}}
-군 계산을 이용해 설정하는 세르 구성[ 19] [ 20] pg 3 이다. 이는 선다발
∧
2
E
{\displaystyle \wedge ^{2}{\mathcal {E}}}
의 코호몰로지 조건에 의해 제공된다.(아래 참조).
한 방향의 대응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단면
s
∈
Γ
(
X
,
E
)
{\displaystyle s\in \Gamma (X,{\mathcal {E}})}
에 대해 영점 궤적
V
(
s
)
⊂
X
{\displaystyle V(s)\subset X}
을 연관시킬 수 있다. 만약에
V
(
s
)
{\displaystyle V(s)}
가 여차원 2인 부분 다형체이면,
이는 국소적 완전 교차점이다. 즉, 아핀 좌표 조각
U
i
⊂
X
{\displaystyle U_{i}\subset X}
를 사용하면,
s
|
U
i
∈
Γ
(
U
i
,
E
)
{\displaystyle s|_{U_{i}}\in \Gamma (U_{i},{\mathcal {E}})}
는 함수
s
i
:
U
i
→
A
2
{\displaystyle s_{i}:U_{i}\to \mathbb {A} ^{2}}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s
i
(
p
)
=
(
s
i
1
(
p
)
,
s
i
2
(
p
)
)
{\displaystyle s_{i}(p)=(s_{i}^{1}(p),s_{i}^{2}(p))}
이고
V
(
s
)
∩
U
i
=
V
(
s
i
1
,
s
i
2
)
{\displaystyle V(s)\cap U_{i}=V(s_{i}^{1},s_{i}^{2})}
.
선다발
ω
X
⊗
∧
2
E
|
V
(
s
)
{\displaystyle \omega _{X}\otimes \wedge ^{2}{\mathcal {E}}|_{V(s)}}
은
V
(
s
)
{\displaystyle V(s)}
위의 표준 다발
ω
V
(
s
)
{\displaystyle \omega _{V(s)}}
과 동형이다.
다른 방향에서[ 21] , 여차원 2인 부분 다형체
Y
⊂
X
{\displaystyle Y\subset X}
과 다음과 같은 선다발
L
→
X
{\displaystyle {\mathcal {L}}\to X}
H
1
(
X
,
L
)
=
H
2
(
X
,
L
)
=
0
{\displaystyle H^{1}(X,{\mathcal {L}})=H^{2}(X,{\mathcal {L}})=0}
ω
Y
≅
(
ω
X
⊗
L
)
|
Y
{\displaystyle \omega _{Y}\cong (\omega _{X}\otimes {\mathcal {L}})|_{Y}}
에 대해, 표준 동형사상
Hom
(
(
ω
X
⊗
L
)
|
Y
,
ω
Y
)
≅
Ext
1
(
I
Y
⊗
L
,
O
X
)
{\displaystyle {\text{Hom}}((\omega _{X}\otimes {\mathcal {L}})|_{Y},\omega _{Y})\cong {\text{Ext}}^{1}({\mathcal {I}}_{Y}\otimes {\mathcal {L}},{\mathcal {O}}_{X})}
이 있다. 이는 여차원
2
{\displaystyle 2}
인 부분 다형체 포함 사상에 대해 함자적이다. 더욱이, 왼쪽에 주어진 모든 동형은 오른쪽 확장의 중간에 국소 자유 층에 해당한다. 즉, 동형사상
s
∈
Hom
(
(
ω
X
⊗
L
)
|
Y
,
ω
Y
)
{\displaystyle s\in {\text{Hom}}((\omega _{X}\otimes {\mathcal {L}})|_{Y},\omega _{Y})}
에 해당하는 다음 짧은 완전열에 맞는 랭크 2 국소 자유 다발
E
{\displaystyle {\mathcal {E}}}
이 있다:
0
→
O
X
→
E
→
I
Y
⊗
L
→
0
{\displaystyle 0\to {\mathcal {O}}_{X}\to {\mathcal {E}}\to {\mathcal {I}}_{Y}\otimes {\mathcal {L}}\to 0}
그러면 이 선형 다발은 안정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코호몰로지 불변량을 사용하여 추가로 연구할 수 있다. 이것은 주극화된 아벨 다형체 와[ 20] K3 곡면 같은 많은 특정 경우에서 안정적인 선형 다발의 모듈라이 공간 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22]
모든 왼쪽 뇌터 환 은 왼쪽 연접환이며, 오른쪽 뇌터 환 은 오른쪽 연접환이다.[ 1] :138, Example 4.46(a) 국소 뇌터 스킴 은 연접 공간이다. 즉, 그 구조층 은 연접 가군층을 이룬다. ([ 4] :111, Example II.5.2.1 에는 모든 스킴의 구조층이 연접 가군층이라고 서술돼 있다. 그러나 하츠혼의 연접 가군층의 정의는 여기서 정의된 연접 가군층의 정의와 다르다. 두 정의는 뇌터 스킴의 경우 동치이다.)
국소 뇌터 스킴
X
{\displaystyle X}
의 아이디얼 층 은 (연접층
O
X
{\displaystyle {\mathcal {O}}_{X}}
의 부분 가군층이므로) 연접층이다. 특히, 국소 뇌터 스킴 의 닫힌 부분 스킴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에 대응하는 아이디얼 층은 연접층이다.
오카 연접성 정리 (영어 : Oka coherence theorem )에 따르면, 복소다양체
M
{\displaystyle M}
위의 정칙 함수 의 층은 연접 가군층이다.[ 23] 보다 일반적으로,
M
{\displaystyle M}
위의 해석적 벡터 다발
E
↠
M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M}
이 주어졌을 때,
E
{\displaystyle E}
의 단면층은 연접 가군층이다.
R
{\displaystyle R}
가 왼쪽 뇌터 환 일 경우, 임의의 집합
I
{\displaystyle I}
에 대하여 다항식환
R
[
x
i
]
i
∈
I
{\displaystyle R[x_{i}]_{i\in I}}
는 항상 왼쪽 연접환이지만, 만약
I
{\displaystyle I}
가 무한 집합 이라면 이는 왼쪽 뇌터 환 이 아니다.
연접층의 코호몰로지 이론은 대수기하학에서 근본적인 방법이다. 1950년대에야 도입되었지만 대수 기하학의 많은 초기 방법은 연접층에 적용된 층 코호몰로지 로 명확해진다. 대체로 말하면, 연접층 코호몰로지는 지정된 성질을 가진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선다발 또는 보다 일반적인 층의 단면은 일반화된 함수로 볼 수 있다. 해석적 복소기하학에서도 연접층 코호몰로지는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연접층 코호몰로지의 핵심 결과로는 코호몰로지의 유한 차원성에 대한 결과, 다양한 경우에 코호몰로지가 사라지는 결과, 세르 쌍대성 등의 쌍대성 정리, 호지 이론 등 위상 수학과 대수 기하학의 관계, 리만-로흐 정리 와 같은 연접층의 오일러 지표 공식 등이 있다.
연접 가군층의 개념은 원래 앙리 카르탕 이 1944년 경에 다변수 복소해석학에서 도입하였다. 1946년에 오카 기요시 는 오카 연접성 정리를 증명하였다.[ 23]
1955년에 장피에르 세르 는 유명한 논문 〈대수적 연접층〉[ 2] 에서 연접층의 개념을 대수기하학에 응용하였다.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Lam, Tsit-Yuen (1999). 《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89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612-0525-8 . ISBN 978-0-387-98428-5 . MR 1653294 .
↑ 가 나 Serre, Jean-Pierre (1955). “Faisceaux algébriques cohérents” (PDF) . 《Annals of Mathematics》 (프랑스어) 61 (2): 197–278. doi :10.2307/1969915 . ISSN 0003-486X . JSTOR 1969915 . MR 0068874 . 2016년 4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Grothendieck, Alexandre ; Dieudonné, Jean (1960). “Éléments de géométrie algébrique: I. Le langage des schémas” . 《Publications Mathématiques de l’IHÉS》 (프랑스어) 4 . doi :10.1007/bf02684778 . ISSN 0073-8301 . MR 0217083 . 2016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Hartshorne, Robin (1977).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2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757-3849-0 . ISBN 978-0-387-90244-9 . ISSN 0072-5285 . MR 0463157 . Zbl 0367.14001 .
↑ Chase, Stephen U. (1960년 12월). “Direct products of modul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97 : 457–473. doi :10.1090/S0002-9947-1960-0120260-3 . ISSN 0002-9947 .
↑ Mumford 1999 , Ch. III, § 1, Theorem-Definition 3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Mumford1999 (help ) .
↑ Stacks project: 29.9
↑ 《Stacks Project, Tag 077K》
↑ Antieau 2016 , Corollary 4.2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Antieau2016 (help )
↑ Hartshorne 1977 , Exercise II.5.18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Hartshorne1977 (help )
↑ 《Stacks Project, Tag 00NV》
↑ Serre 1955 , §14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Serre1955 (help )
↑ Hartshorne 1977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Hartshorne1977 (help )
↑ Hartshorne 1977 , Example III.12.7.2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Hartshorne1977 (help )
↑ Grothendieck & Dieudonné 1960 , Ch. 0, 5.2.7
↑ Eisenbud 1995 , Exercise 20.13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Eisenbud1995 (help )
↑ Hartshorne 1977 , Corollary II.5.16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Hartshorne1977 (help )
↑ 《Stacks Project, Tag 01YR》
↑ Serre, Jean-Pierre (1960–1961). “Sur les modules projectifs” . 《Séminaire Dubreil. Algèbre et théorie des nombres》 (프랑스어) 14 (1): 1–16.
↑ 가 나 Gulbrandsen, Martin G. (2013년 5월 20일). “Vector Bundles and Monads On Abelian Threefolds” (PDF) . 《Communications in Algebra》 41 (5): 1964–1988. arXiv :0907.3597 . doi :10.1080/00927872.2011.645977 . ISSN 0092-7872 .
↑ Hartshorne, Robin (1978). “Stable Vector Bundles of Rank 2 on P3” . 《Mathematische Annalen》 238 : 229–280.
↑ Huybrechts, Daniel; Lehn, Manfred (2010). 《The Geometry of Moduli Spaces of Sheaves》 . Cambridge Mathematical Library 2판.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128,238-243쪽. doi :10.1017/cbo9780511711985 . ISBN 978-0-521-13420-0 .
↑ 가 나 Oka, Kiyoshi (1950), “Sur les fonctions analytiques de plusieurs variables. VII. Sur quelques notions arithmétiques” , 《Bulletin de la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프랑스어) 78 : 1–27, ISSN 0037-9484 , MR 0035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