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방정식
이론물리학에서 남 방정식(Nahm方程式, 영어: Nahm equation)은 SU(2) 자기 홀극을 나타내는 연립 1차 상미분 방정식이다.
정의
편집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남 방정식의 변수는 위의 3개의 함수
이다. 즉, 이를 통하여 위의 공변 미분
을 정의할 수 있다.
남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즉, 이를 풀어 쓰면 다음과 같다.
이 방정식은 4차원 양-밀스 순간자의 방정식을 1차원으로 차원 축소를 가한 것이다.
자기 홀극의 경계 조건
편집위의 보고몰니 방정식의 자기 홀극 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경계 조건을 사용한다.
- 은 반(反)에르미트 행렬의 리 대수이며, 그 리 괄호는 행렬의 교환자이다.
- 는 길이 2의 열린구간이다.
- 는 해석 함수이다.
- 또는 에서, 는 1차 극을 가지며, 그 유수는 리 대수 의 차원 표현을 이룬다. 즉, 로랑 급수
- 에서,
- 이다.
칼로론의 경계 조건
편집성질
편집게이지 대칭
편집의 리 군이 라면, 남 방정식과 그 경계 조건은 의 게이지 변환을 갖는다.
만약 가 선분인 경우, 게이지 대칭을 사용하여, 으로 놓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 게이지 변환에서 만이 남는다. 즉, 게이지 변환 동치류들은 켤레 작용
에 대하여 불변이다.
게이지에서, 남 방정식의 해의 공간의 차원은 이며, 남은 게이지 변환 에 대한 몫공간의 차원은 이다. 이는 n개의 자기 홀극을 포함하는 해들의 집합과 동형이다.
럭스 쌍
편집남 방정식은 럭스 쌍으로 표현될 수 있다. 즉,
로 놓자. 여기서 는 어떤 형식적 변수이다. 그렇다면, 남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럭스 방정식과 동치이다.
즉, 양변을 에 대한 멱급수로 전개하고 차수별로 비교하면,
가 된다.
이에 따라, 방정식
으로 정의되는 스펙트럼 곡선은 에 대하여 불변이다. 이 방정식은 에 대한 차 방정식이다. 여기서, 는 자연스럽게 사영 직선 의 좌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는 그 접공간 위의 좌표를 이룬다. 이는 미니트위스터 공간과 같다. 즉, 남 방정식의 스펙트럼 곡선은 미니트위스터 공간 속의 대수 곡선이다. 3차원 자기 홀극 방정식은 미니트위스터 공간을 통해서도 작도할 수 있으며, 스펙트럼 곡선은 남 방정식을 통한 작도와 트위스터를 통한 작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자기 홀극과의 관계
편집유클리드 3차원 SU(2) 게이지 이론이 다음과 같은 장들을 가진다고 하자.
- SU(2) 게이지장
- 딸림표현의 실수 스칼라장 . 이는 퍼텐셜을 갖지 않는다.
(이러한 계는 4차원 순수 양-밀스 이론에서 차원 축소를 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의 퍼텐셜이 0이므로 임의의 진공 기댓값 를 줄 수 있다 (힉스 가지). 이에 따라서 게이지 군은 그 카르탕 부분군 U(1)으로 깨지고, 이에 따라 엇호프트-폴랴코프 자기 홀극들이 존재하게 된다. 개의 자기 홀극을 포함하는 상태들은 남 방정식을 통해 작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들의 모듈라이 공간의 차원은 아티야-싱어 지표 정리를 통해 계산할 수 있고, 이다.[3][4]
여기서 지수를 이고, 이라고 하자.
남 방정식의 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디랙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를 매개 변수로 갖는 행렬 에 작용한다. 즉,
이다.
가 의 여핵에 속한다고 하자. 즉, 그 수반 작용소 는
이므로,
인 를 생각하자. 이러한 를 찾으면, 와 는 다음과 같다.
끈 이론을 통한 해석
편집남 방정식은 초끈 이론을 통해 해석될 수 있다. ⅡB 초끈 이론에서, 다음과 같은 D-막의 배열을 생각하자.
0 | 1 | 2 | 3 | 4 | … | |
---|---|---|---|---|---|---|
D3-막 | × | × | × | × | ||
D1-막 | × | × |
여기서 D1-막은 D3-막에 붙어 있다. 또한, D3-막의 수가 , D1-막의 수가 이라고 하고, 이 상태가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 상태는 다음과 같이 묘사될 수 있다.
- D3-막 위의 이론은 𝒩=4 초대칭 양-밀스 이론이며, 모든 장이 시간 불변이라면 이는 보고몰니 방정식이다. D1-막은 그 위의 개의 자기 홀극이다.
- D1-막 위의 이론은 (모든 장이 시간 불변이라면) 남 방정식이다. (이 경우, 1차원 공간에서 게이지장을 0이 되게 게이지 고정할 수 있다.)
- 남 방정식의 지표는 1,2,3 방향의 O(3) 대칭에 해당한다.
- 남 방정식의 장 는 D1-막의 1,2,3 방향의 위치에 해당한다. 만약 각 가 대각 행렬이라면, 그 개의 대각 성분은 개의 D1-막의 위치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좌표가 대각 행렬이 아닌 것은 D-막이 겹쳐졌을 때 발생하는 비가환 기하학에 의한 효과이다.
따라서, 남 방정식과 보고몰니 방정식 사이의 관계는 10차원 초끈 이론의 한 상태를 서로 다르게 표현한 것이다.
아벨 리 대수의 경우
편집가 ( 과 같은) 아벨 리 대수일 경우, 남 방정식은 선형 상미분 방정식이다. 즉,
이므로, 그 해는 상수 함수이다.
역사
편집베르너 남(독일어: Werner Nahm)이 1981년 도입하였다.[5] 이후 사이먼 도널드슨[6]과 나이절 히친[7] 등이 이를 연구하였다.
각주
편집- ↑ Nógrádi, Dániel (2005). 《Multi‐calorons and their moduli》 (영어). 박사 학위 논문. 레이던 대학교. arXiv:hep-th/0511125.
- ↑ Nye, Thomas M. W. (2001). 《The geometry of calorons》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에든버러 대학교. arXiv:hep-th/0311215.
- ↑ Weinberg, Erick J. (1979). “Parameter counting for multi-monopole solutions”. 《Physical Review D》 (영어) 20: 936.
- ↑ Weinberg, Erick J. (1980년 5월 19일). “Fundamental monopoles and multimonopole solutions for arbitrary simple gauge groups”. 《Nuclear Physics B》 (영어) 167 (3): 500–524. doi:10.1016/0550-3213(80)90245-X.
- ↑ Nahm, Werner (1983). 〈All self-dual multimonopoles for arbitrary gauge groups〉 (PDF). 《Structural Elements in Particle Physics and Statistical Mechanics》. NATO Advanced Study Institutes Series (영어) 82. Plenum Press. 301–310쪽. doi:10.1007/978-1-4613-3509-2_21. ISBN 978-1-4613-3511-5.
- ↑ Donaldson, Simon (1984). “Nahm’s equations and the classification of monopoles”.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96 (3): 387–407. doi:10.1007/BF01214583.
- ↑ Hitchin, Nigel (1983). “On the construction of monopoles”.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89 (2): 145–190. doi:10.1007/BF01211826.
- Atiyah, Michael Francis; Nigel Hitchin (1988). 《The geometry and dynamics of magnetic monopoles》. Porter Lectures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8480-0. Zbl 0671.53001.
- Tong, David (2005). “TASI Lectures on Solitons” (영어). arXiv:hep-th/0509216. Bibcode:2005hep.th....9216T.
- Bielawski, Roger (2005). “Lie groups, Nahm's equations and hyperkaehler manifolds” (영어). arXiv:math/0509515. Bibcode:2005math......9515B.
- Biquard, Olivier (1996). “Sur les équations de Nahm et la structure de Poisson des algèbres de Lie semi-simples complexes”. 《Mathematische Annalen》 (프랑스어) 304 (2): 253–276. doi:10.1007/BF01446293.
외부 링크
편집- Cherkis, Sergey; Durcan, Brian; Leen, David; McNamee, Dan; Stanley, Jessica; Blair, Chris; O’Byrne, Eoin; Palmer, Sam; Shee, Ronan. “Islands: A project exploring the Nahm equations, monopoles & more” (영어). 2013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0월 2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