멱결합 대수 의 원소가 최소 다항식을 가질 필요충분조건 은 대수적 원소 이다. 따라서 대수적 대수 (특히 유한 차원 대수)의 모든 원소는 최소 다항식을 갖는다.
체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에 대하여,
L
{\displaystyle L}
은 가환
K
{\displaystyle K}
-단위 결합 대수 를 이룬다. 체의 확대에서, 최소 다항식은 항상 기약 다항식 이다. 귀류법 을 써서,
L
/
K
{\displaystyle L/K}
에서
a
∈
L
{\displaystyle a\in L}
의 최소 다항식
p
a
∈
K
[
x
]
{\displaystyle p_{a}\in K[x]}
가 인수 분해가 가능하다면 (
p
a
=
q
r
{\displaystyle p_{a}=qr}
),
K
{\displaystyle K}
는 정역 이므로
q
(
a
)
=
0
{\displaystyle q(a)=0}
이거나
r
(
a
)
=
0
{\displaystyle r(a)=0}
이며,
deg
q
,
deg
r
<
deg
p
{\displaystyle \deg q,\deg r<\deg p}
이다. 그러나
p
a
{\displaystyle p_{a}}
는
J
a
{\displaystyle {\mathfrak {J}}_{a}}
의 최소 차수 일계수 다항식이므로, 이는 불가능하다.
대수적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에서,
K
{\displaystyle K}
가 완전체 라면 임의의
a
∈
L
{\displaystyle a\in L}
에 대하여
p
a
(
x
)
∈
K
[
x
]
⊂
K
¯
[
x
]
{\displaystyle p_{a}(x)\in K[x]\subset {\bar {K}}[x]}
의 (대수적 폐포
K
¯
{\displaystyle {\bar {K}}}
에서의) 근들은 서로 겹치지 않는다. 그러나
K
{\displaystyle K}
가 완전체가 아닐 경우 이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L
/
K
{\displaystyle L/K}
가 분해 가능 확대 가 아니라고 한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정사각 행렬 의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K}
-단위 결합 대수
Mat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K)}
에서, 임의의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은 최소 다항식을 갖는다. 행렬의 최소 다항식은 행렬의 닮음 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가역 행렬
G
∈
GL
(
n
;
K
)
{\displaystyle G\in \operatorname {GL} (n;K)}
에 대하여,
M
{\displaystyle M}
과
G
−
1
M
G
{\displaystyle G^{-1}MG}
의 최소 다항식은 같다. 또한, 만약
L
{\displaystyle L}
이
K
{\displaystyle K}
를 포함하는 더 큰 체일 경우,
M
{\displaystyle M}
의
Mat
(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K)}
에서의 최소 다항식과
Mat
(
n
;
L
)
{\displaystyle \operatorname {Mat} (n;L)}
에서의 최소 다항식은 일치한다.
체
K
{\displaystyle K}
위의
n
×
n
{\displaystyle n\times n}
행렬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M
{\displaystyle M}
의 최소 다항식은 1차 다항식들의 곱이다.
M
{\displaystyle M}
은 삼각화 가능 행렬 이다.
또한,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M
{\displaystyle M}
의 최소 다항식은 서로 다른 1차 다항식들의 곱이다.
M
{\displaystyle M}
은 대각화 가능 행렬 이다.
케일리-해밀턴 정리 에 따라,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최소 다항식은 특성 다항식 을 나눈다. 또한 최소 다항식과 특성 다항식의 근의 집합은 (중복도를 무시하면) 일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M
∈
Mat
(
n
;
K
)
{\displaystyle M\in \operatorname {Mat} (n;K)}
의 최소 다항식의 소인수 분해 가
p
M
(
x
)
=
∏
p
p
n
p
(
x
)
{\displaystyle p_{M}(x)=\prod _{p}p^{n_{p}}(x)}
라면,
deg
p
∣
dim
ker
p
n
p
(
M
)
{\displaystyle \deg p\mid \dim \ker p^{n_{p}}(M)}
n
p
≤
dim
ker
p
n
p
(
M
)
/
deg
p
{\displaystyle n_{p}\leq \dim \ker p^{n_{p}}(M)/\deg p}
det
(
x
−
M
)
=
∏
p
p
dim
ker
p
n
p
(
M
)
/
deg
p
{\displaystyle \det(x-M)=\prod _{p}p^{\dim \ker p^{n_{p}}(M)/\deg p}}
이다.[ 2] :196, §6.3, (6-8); 237, §7.2, Theorem 4
체의 확대
L
/
K
{\displaystyle L/K}
에서,
a
∈
K
{\displaystyle a\in K}
라면,
p
a
(
x
)
=
x
−
a
∈
K
[
x
]
{\displaystyle p_{a}(x)=x-a\in K[x]}
이다.
실수체 의 확대인 복소수체
C
/
R
{\displaystyle \mathbb {C} /\mathbb {R} }
에서,
z
∈
C
{\displaystyle z\in \mathbb {C} }
의 최소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p
z
(
x
)
=
{
x
−
z
z
∈
R
(
x
−
z
)
(
x
−
z
¯
)
=
x
2
−
2
(
z
+
z
¯
)
x
+
z
z
¯
z
∈
C
∖
R
{\displaystyle p_{z}(x)={\begin{cases}x-z&z\in \mathbb {R} \\(x-z)(x-{\bar {z}})=x^{2}-2(z+{\bar {z}})x+z{\bar {z}}&z\in \mathbb {C} \setminus \mathbb {R} \end{cases}}}
실수 행렬
M
=
(
1
2
0
0
2
0
−
2
−
2
−
1
)
∈
Mat
(
3
;
R
)
{\displaystyle M={\begin{pmatrix}1&2&0\\0&2&0\\-2&-2&-1\end{pmatrix}}\in \operatorname {Mat} (3;\mathbb {R} )}
의 특성 다항식은
det
(
x
−
M
)
=
(
x
+
1
)
(
x
−
1
)
(
x
−
2
)
{\displaystyle \det(x-M)=(x+1)(x-1)(x-2)}
이며, 이는 이미 중복되지 않는 1차 다항식들의 곱이다. 최소 다항식은 특성 다항식을 나누고 특성 다항식과 같은 근의 집합을 가져야 하므로,
M
{\displaystyle M}
의 최소 다항식 역시
p
M
(
x
)
=
(
x
+
1
)
(
x
−
1
)
(
x
−
2
)
{\displaystyle p_{M}(x)=(x+1)(x-1)(x-2)}
이다.
이차 수체
Q
(
d
)
/
Q
{\displaystyle \mathbb {Q} ({\sqrt {d}})/\mathbb {Q} }
에서,
d
{\displaystyle d}
가 제곱 인수가 없는 정수 라고 하자. 그렇다면
d
{\displaystyle {\sqrt {d}}}
의 최소 다항식은
x
2
−
d
∈
Q
[
x
]
{\displaystyle x^{2}-d\in \mathbb {Q} [x]}
이다.
2
+
3
{\displaystyle {\sqrt {2}}+{\sqrt {3}}}
의
Q
{\displaystyle \mathbb {Q} }
위에서의 최소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p
2
+
3
(
x
)
=
x
4
−
10
x
2
+
1
=
(
x
−
2
−
3
)
(
x
+
2
−
3
)
(
x
−
2
+
3
)
(
x
+
2
+
3
)
{\displaystyle p_{{\sqrt {2}}+{\sqrt {3}}}(x)=x^{4}-10x^{2}+1=(x-{\sqrt {2}}-{\sqrt {3}})(x+{\sqrt {2}}-{\sqrt {3}})(x-{\sqrt {2}}+{\sqrt {3}})(x+{\sqrt {2}}+{\sqrt {3}})}
원분체
Q
(
ζ
n
)
/
Q
{\displaystyle \mathbb {Q} (\zeta _{n})/\mathbb {Q} }
에서,
ζ
n
{\displaystyle \zeta _{n}}
의 최소 다항식은 원분 다항식
Φ
n
{\displaystyle \Phi _{n}}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다.
Φ
1
(
x
)
=
x
−
1
{\displaystyle \Phi _{1}(x)=x-1}
Φ
2
(
x
)
=
x
+
1
{\displaystyle \Phi _{2}(x)=x+1}
Φ
3
(
x
)
=
x
2
+
x
+
1
{\displaystyle \Phi _{3}(x)=x^{2}+x+1}
Φ
4
(
x
)
=
x
2
+
1
{\displaystyle \Phi _{4}(x)=x^{2}+1}
Φ
5
(
x
)
=
x
4
+
x
3
+
x
2
+
x
+
1
{\displaystyle \Phi _{5}(x)=x^{4}+x^{3}+x^{2}+x+1}
Φ
6
(
x
)
=
x
2
−
x
+
1
{\displaystyle \Phi _{6}(x)=x^{2}-x+1}
Φ
7
(
x
)
=
x
6
+
x
5
+
x
4
+
x
3
+
x
2
+
x
+
1
{\displaystyle \Phi _{7}(x)=x^{6}+x^{5}+x^{4}+x^{3}+x^{2}+x+1}
Φ
8
(
x
)
=
x
4
+
1
{\displaystyle \Phi _{8}(x)=x^{4}+1}
Φ
9
(
x
)
=
x
6
+
x
3
+
1
{\displaystyle \Phi _{9}(x)=x^{6}+x^{3}+1}
Φ
10
(
x
)
=
x
4
−
x
3
+
x
2
−
x
+
1
{\displaystyle \Phi _{10}(x)=x^{4}-x^{3}+x^{2}-x+1}
⋮
{\displaystyle \vdots }
특히,
n
{\displaystyle n}
이 소수 일 경우
Φ
n
(
x
)
=
1
+
x
+
x
2
+
⋯
+
x
n
−
1
{\displaystyle \Phi _{n}(x)=1+x+x^{2}+\cdots +x^{n-1}}
이다.
분해 가능 확대가 아닌 확대에서의 최소 다항식
편집
분해 가능 확대 가 아닌 체의 확대
(
F
p
(
x
)
[
y
]
/
(
y
p
−
x
)
)
/
F
p
(
x
)
{\displaystyle (\mathbb {F} _{p}(x)[y]/(y^{p}-x))/\mathbb {F} _{p}(x)}
에서,
y
∈
F
p
(
x
)
[
y
]
/
(
y
p
−
x
)
{\displaystyle y\in \mathbb {F} _{p}(x)[y]/(y^{p}-x)}
의 최소 다항식은
p
y
(
X
)
=
X
p
−
x
∈
F
p
(
x
)
[
X
]
{\displaystyle p_{y}(X)=X^{p}-x\in \mathbb {F} _{p}(x)[X]}
이다. 이 경우,
F
p
(
x
)
¯
{\displaystyle {\overline {\mathbb {F} _{p}(x)}}}
위에서
p
y
(
X
)
=
(
X
p
−
(
x
p
)
p
)
=
(
X
−
x
p
)
p
{\displaystyle p_{y}(X)=(X^{p}-({\sqrt[{p}]{x}})^{p})=(X-{\sqrt[{p}]{x}})^{p}}
이다. 즉,
p
y
{\displaystyle p_{y}}
는 분해 가능 다항식이 아니다.